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일본정부 "북한의 극초음속미사일 요격 곤란으로 일본정부 자체 연구개발로 억지력 강화에 노력" 본문

Guide Ear&Bird's Eye/일본

일본정부 "북한의 극초음속미사일 요격 곤란으로 일본정부 자체 연구개발로 억지력 강화에 노력"

CIA Bear 허관(許灌) 2022. 1. 16. 19:14

ㅗㅁ

북한이 12일 극초음속 미사일 발사 실험에서 최종 확증을 했다고 발표함에 따라 일본을 둘러싼 안보 환경은 한층 엄격해졌다

일본 정부는 군사적 압력을 강화하는 중국 등을 염두에 다양한 미사일방위(MD) 강화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극초음속 미사일은 현재의 미사일 방위(MD)망에서는 요격이 곤란하다. 요격의 가능성을 높이는 기술개발을 하는 한편, 극초음속(極超音速) 미사일과 고속 활공탄(高速滑空弾)을 보유함으로써 억지력 강화를 도모하는 길도 찾고 있다.

 

북한이나 중국 등이 개발을 진행하는 극초음속 활공무기(極超音速滑空兵器, HGV)는 통상의 탄도미사일보다 저고도로 변칙궤도를 그리기 때문에 현재는 추적할 수 없다. 방위성은 미국이 정비를 진행하는 '위성 별자리'로 우주에서 추적할 수 있는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 있다.

위성 콘스텔레이션은 통상의 조기 경계 위성보다 낮은 궤도에 적외선 관측 위성을 다수 배치하는 구상으로, 방위성은 내년도 예산안에 연구비 약 3억엔을 계상했다. 미국은 2년 후부터 150기 이상의 위성으로 시험 운용할 계획으로 일본도 수년 후에는 실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요격태세에 대해서는 전망이 어둡다. 일본의 미사일 방위(MD)는 해상 이지스함에 배치된 요격미사일 SM3과 지상에서 맞아 쏘는 지대공 유도탄 패트리어트(PAC3)2단이지만, 기본적으로는 탄도미사일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방위성은 다층적인 미사일 방위(MD)망을 실현하기 위해 순항 미사일 등 저궤도로 날아오는 미사일에 대한 대응도 진행하고 있지만 극초음속 활공무기(極超音速滑空兵器, HGV)에도 대응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내년도 예산안에 계상한 개량형 요격미사일 'SM6''PAC3MSE'는 개발한 미국이 극초음속 활공무기(極超音速滑空兵器, HGV)에 대한 대처력을 연구 중이다. 일본 정부도 자체 개발한 주로 순항 미사일용 2003식 중거리 지대공 유도탄 개선형(SAM 개조)으로 극초음속 미사일을 요격할 가능성을 찾는다

 

첨단 기술을 활용한 요격 기술 연구에도 착수하고 있다. 하나는 고출력 전파를 조사하여 전자적으로 적 무기를 무력화하는 '지향성 에너지 무기'. 다른 하나는 전자력으로 포탄을 고속 사출하는 '레일건(전자포)'이지만, 모두 연구 개발 단계에서 유효성이 있는지 불투명하다.

 

미사일 요격에 한계가 있는 가운데 동종의 능력을 가지면 억지력이 된다”(방위성 간부)라는 견해도 나왔다. 동성은 2018년부터 섬강 방위용으로서 고속활공탄의 개발을 진행시킨다. 음속의 5(마하 5)에는 도달하지 않지만, 마하 3~4의 속도를 실현한 변칙 궤도탄으로 속도 이외는 극초음속 활공무기(極超音速滑空兵器, HGV)와 동종이다. , 마하 5 이상의 극초음속을 실현하는 제트 엔진의 연구 개발도 동시에 실시하고 있어, 모두 내년도 중에는 시작이 완성할 예정이 되고 있다.

 

북한이 '극초음속미사일' 개발에 매달리는 이유

북한은 11일 발사한 미사일 사진을 12일 공개했다

북한이 11일 진행한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 발사를 성공했다고 밝히며 이번 발사를 "최종 시험 발사"라고 표현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2일 "발사된 미사일에서 분리된 극초음속 활공 비행 탄두부가 600km 시점부터 재도약해 240km를 선회 기동을 하며 날아간 뒤 1000km 수역의 목표물을 명중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 5일 발사된 미사일 보다 300km 더 날아간 것이다.

선회 기동이란 진로를 바꾸며 날아가는 것을 뜻하며, 요격 미사일을 회피할 수 있다는 능력을 과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한국 군은 11일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이 마하 10의 속도로 700km 이상 비행한 것으로 분석했다.

북한 노동신문이 12일 공개한 사진에는 11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미사일 시험 발사 현장에 참관한 자리에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도 참석해 박수를 치고 있다

김정은 참관... 김여정도 이례적 동행

지난해 8차례 진행했던 미사일 시험 발사에 한 번도 참관하지 않았던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이번 미사일 시험 발사 현장에 참관했다. 여동생인 김여정 국무위원도 이례적으로 현장에 동행한 모습이 공개됐다.

김 위원장이 미사일 시험발사 현장을 직접 찾은 것은 2020년 3월 단거리 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이후 1년 10개월 만이다.

북한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은 12일 미사일 사진 3장과 함께 김 위원장의 참관 모습, 개발자들과 찍은 단체 사진 등을 공개했다.

한기호 아주대학교 아주통일연구소 교수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참관 의미는 기술적으로 최종 완성 단계에 있음을 대외적으로 과시하려는 목적이 크다"며 "8차 당대회 과업으로 제시된 전략무기 개발을 김 위원장이 직접 챙기며 중요시하는 경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여정이 동행한 것에 대해서는 "김여정 (당 선전선동부) 부부장의 정치국 진입 실패 이후에도 당내 위상과 김정은과의 보좌 관계에 이상이 없음을 과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북한 로열패밀리의 행보는 일선 참모들의 인사와 결을 달리함으로 일희일비할 필요가 없다"고 덧붙였다.

미사일 시험 발사를 참관하고 있는 김정은 국무위원장

보도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시험발사에 앞서 국방과학원 원장으로부터 극초음속 미사일 무기체계에 대한 종합적인 해설을 들었다. 그는 "나라의 전략적인 군사력을 질량적으로, 지속적으로 강화해야 한다"며 "나라의 전쟁억제력을 비상히 강화하기 위한 역사적인 성업에서 계속 훌륭한 성과들을 쟁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통일부는 이번 김 위원장의 참관 행보에 대해 "과거 사례를 보면 김 위원장이 미사일 시험발사 현장을 참관하는 경우도, 그렇지 않은 경우도 다양하게 있었다"며 "관련 의도를 단정하지 않고 향후 상황을 지켜보며 종합적인 평가를 하겠다"고 밝혔다.

'극초음속미사일'이란?

북한이 이번에 시험 발사한 발사체의 속도는 마하 10 내외로 극초음속 미사일의 성능을 보였다. 마하 10의 속도면 서울 상공에 1분 내 도달한다.

극초음속 미사일은 포물선 형태로 궤적을 그리며 낙하하는 일반 탄도미사일과 달리 빠른 속도로 솟구쳐 올랐다가 낮은 고도로 활공 비행하기 때문에 요격하기가 매우 까다롭다. 특히 회피기동 능력까지 갖추게 되면 요격은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은 "한국은 재래식 무기 분야에서 세계 6위의 군사 강국인 반면 북한은 28위를 차지하고 있다"면서 "북한이 한국을 따라잡기 위해서 미사일 개발하는 것은 북한 시각에서 봤을 때는 당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의 미사일 개발은 대외적 과시용이자 북한 내부적으로는 가시적 성과용으로 필요하다는 것이다.

극초음속 미사일은 보통 1000km 내외의 단거리로 쏴 국제사회의 비판은 피하면서도 강력한 무력시위의 메시지를 보내는 효과가 있다.

정 센터장은 "북한이 설령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에 성공하더라도 북한이 한국을 공격하면 북한 전역도 곧바로 잿더미가 될 것이기 때문에 북한의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이 한미와 북한 간의 전략적 균형에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오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북한이 '극초음속미사일' 개발에 매달리는 이유 - BBC News 코리아

 

북한이 '극초음속미사일' 개발에 매달리는 이유 - BBC News 코리아

지난 11일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에는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김여정 당 부부장이 참관한 가운데 이뤄졌다.

www.bbc.com

북한 전략 로켓군 배치도[미사일 사거리] "북의 한반도 비핵화, 오키나와·괌 미군기지까지 포함"

북한 전략 로켓군 배치도[미사일 사거리]

북한이 주장하는 "조선반도 비핵화라는 것은 남북 영역뿐 아니라 조선반도를 겨냥하는 외부로부터의 모든 핵 위협을 근원적으로 청산하는 것입니다. 한미가 생각하는 ‘한반도 비핵화’는 ‘북한의 비핵화’가 아닙니까. 그런데 북한이 생각하는 ‘조선반도의 비핵화’는 한미가 생각하는 것이 아니에요. 영역에 관한 문제까지 될 수 있습니다만, 북한의 주장대로라면 오키나와와 괌까지 포함하게끔 돼 있습니다"고 하는 류현우 전 쿠웨이트 주재 북한 대리대사 말은 북한 전략 로켓군 배치도[미사일 사거리]와 일치하고 있습니다

북한 전략 로켓군 배치도[미사일 사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전방구역-남한전역

비군사구역 이북 50-90 킬로미터(km) 내 단거리 탄두미사일 배치

2.중앙구역-오키나와 주일미군 기지

비군사구역 이북 90-120킬로미터(km) 내 준중거리나 중거리 탄두미사일 배치

3.후방구역-괌 미군기지

북한 북부 무산군에서 중강군에 이르는 북중(北中) 접경지역([接境地域)에 장거리 탄두미사일 배치

북한은  극초음속 미사일이 자강도에서 발사하여 약  1000 ㎞  비상해 표적에 명중했다는 인식을 보였다 .  만일 북한 동해해안에서 일본을 향해 발사했을 경우 수도권 ( 일본 수도권 ) 을 엿볼 거리가 된다 .

남한은 북한 단거리 미사일 방어능력과 선제타격 능력을 갖추어야 하며 일본은 북한 준(準)중거리와 중거리 미사일 방어능력과 선제 타격 능력을 갖추어야 하며 미국은 북한 장거리 미사일 방어능력과 선제타격 능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북한 핵무기와 핵 탄두미사일은 북한 주변국 남한(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등에게도 큰  위협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