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폼페이오 “북 주민 돕기 위해 김정은과 대화 원해” 본문
앵커: 미국의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경제난과 코로나19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북한을 돕고 싶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그러면서도 미국의 임무는 여전히 ‘한반도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한 비핵화(CVID)’라고 말했습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자입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9일 밤 미국 폭스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건강이나 신상에 대해서는 말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현재 경제상황 악화와 코로나19 문제 등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고, 미국이 북한 주민을 도울 수 있도록 김 위원장과 다시 대화하길 바란다고 답했습니다.
그러면서, 최근 미국 일간지 워싱턴포스트의 밥 우드워드 부편집인이 발간한 책 ‘격노(Rage)’와 관련해서도 언급할 것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폭스뉴스 측은, 우드워드 부편집인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018년 싱가포르에서 김 위원장을 만났을 때 ‘똑똑하다’고 했다”며 폼페이오 장관은 김 위원장을 어떻게 보느냐고 물었습니다.
이에 대해 폼페이오 장관은 “대통령에게 보고한 것 말고는 그 책에 대해 말하고 싶지 않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에게 ‘한반도의 완전하고 검증가능한 비핵화’라는 임무를 주었고, 우리는 그것을 위해 계속 일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 나는 보고서와 정보를 접했지만 그것(김정은 상황)에 대해 말할 수 없습니다. 다만, 북한은 경제적 도전은 물론 코로나19 등 여러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우리는 인도주의적 (대북)지원을 통해 그들이 일련의 도전에 맞설 수 있도록 돕길 원합니다. (Well, I’ve seen the reports and the intelligence. I can’t comment on it, other than to say: Look, North Korea has had a number of challenges; they’ve got economic challenges; they have the risk of COVID in their country as well. We hope that we can get humanitarian assistance there to assist them against that set of challenges.)
그러면서 폼페이오 장관은 또 “북한 주민을 위해 할 수 있는 최선의 일은 완전한 비핵화라는 것과, 또 그것이 북한 주민을 더 밝은 미래로 이끌 수 있다는 것을 김정은 위원장에게 다시 한번 설득할 수 있는 그런 진지한 대화를 나눌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10일 오전 자신의 인터넷 사회연결망 트위터에 김정은 위원장이 건강하다는 글을 올려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은 건강하다. 절대 그를 과소평가하지 말라(Kim Jong Un is in good health. Never underestimate him!)”고 말했지만 다른 추가 설명은 하지 않았습니다[자유아시아방송]
폼페이오 美국무 "북한과 진지한 대화 나누고 싶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북한과의 진지한 대화를 희망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10일(현지시간) 미 국무부가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폼페이오 장관은 전날 폭스뉴스 섀넌 브림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김정은 상태에 대해 말해줄 수 있느냐. 그가 공개석상에 모습을 적게 드러내는 것 등에 대한 미 정보기관이나 행정부 내에 우려가 있는가'라는 질문에 "관련 보고와 정보를 들었지만 언급할 수 없다"며 즉답을 피했다.
다만 "북한은 많은 도전을 겪어 왔다. 그들은 경제적 도전이 있었고 나라 내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험도 있다"면서 "우리는 인도주의적 지원을 통해 그들의 이러한 일련의 도전을 지원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 다음 김정은과 북한 주민들을 위한 최선은 완전한 비핵화와 이로 인해 이어지는 북한 주민들의 더 밝은 미래라는 점을 납득시키기 위한 진지한 대화를 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인터뷰에서 '워터게이트' 특종 기사로 유명한 밥 우드워드 워싱턴포스트(WP) 부편집인의 신간 '격노(Rage)'와 관련,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질문에 "책에 있다고 보도된 내용에 대해 말하고 싶지 않다"고 답했다.
그는 "나는 행정부에서 처음으로 이러한 회담을 위해 김정은을 만난 첫 미국인이다.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으로 처음으로 그곳에 갔다"며 돌아와서는 대통령에게 "우리는 자신 나라의 필요를 이해하면서 그의 핵무기 비축에 대한 대화를 나눌 준비가 된적을 상대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이를 기반으로 만들어 갔다"고 설명했다.
'-미국 언론- > 자유아시아방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 국방차관보 대행 “북 군사위협, 인도∙태평양지역에 악영향” (0) | 2020.09.17 |
---|---|
인천상륙작전 70주년…‘한미동맹 강조’ 행사 열려 (0) | 2020.09.16 |
통일장관 “남북 호혜적 협력, 미북 비핵화 큰 흐름도 앞당길 것” (0) | 2020.09.08 |
유엔 사무총장 “북, 대화에 나서야…외교가 유일한 해법” (0) | 2020.09.08 |
퀸타나 “인권 논의없는 평화, 북 주민에 이익되지 않아” (0) | 2020.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