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북한 체제 비판에서 탈북자 의원 당선 소식까지”…대북 전단 다양한 내용과 방식 본문
북한으로 보내는 대북 전단에는 북한 체제 비판에서부터 탈북민 출신 국회의원 당선 소식까지 다양한 내용들이 포함돼 있습니다. 대형 풍선과 조류, 소형 무인기 등 전단을 북한으로 보내는 방법도 발전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탈북민 단체인 ‘자유북한운동연합’과 ‘대북풍선단’ 회원 11명이 지난달 31일 새벽 경기도의 한 마을에서 대북 전단 50만 장을 대형 풍선에 실어 북한으로 날려 보냈습니다.
이처럼 탈북민 단체들을 중심으로 2004년부터 대북 전단 살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북한으로 보내는 전단에는 ‘북한동포여 일어나라’라는 제목으로 북한 체제를 비판하는 내용과 북한 김 씨 일가를 풍자한 만화 등이 담겼습니다.
또 평양에서 열린 남북 월드컵 예선전에서 북한 주민의 관전과 한국 취재진의 참석을 막은 북한의 조치를 비판하는 내용도 있었고, 최근에는 한국 총선에서 탈북민 출신 인사들이 당선된 것을 내용도 포함됐습니다.
아울러 이런 내용의 전단 이외에도 간단한 생활 필수품이나 1달러짜리 미국 지폐, 먹을 것과 옷가지, 소형 라디오, 동영상을 담은 USB나 DVD 같은 것들도 함께 보내고 있습니다.
전단을 북한으로 보내는 방법도 계속 발전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헬륨을 넣은 작은 풍선에 전단지 몇 장을 넣어 보내는 것으로 시작했지만 이제는 대형 풍선을 이용해 한 번에 수십만 장의 전단지를 보내고 있습니다.
또 서해의 조류를 이용해 매달 2회 쌀이 담긴 플라스틱병 수십 개를 북한으로 보내면서 여기에 전단지를 함께 넣어서 보내고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최근에는 소형 무인기를 이용해 경기도 파주에서 약 170km거리인 평양 시내까지 대북 전단 1만 장을 보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북한은 주로 한국의 탈북민 단체들이 보내는 대북 전단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대북 전단 살포가 계속되던 중 2014년 10월, 한 탈북민 단체가 띄운 대북 전단을 향해 북한이 13.5mm 고사총 10여 발을 발사하는 일까지 벌어졌습니다.
이에 불안을 느껴 대북 전단 날리기를 중단해 달라고 요청하는 접경 지역 주민들이 생겼고, 실제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전단 살포가 무산되는 일도 벌어졌습니다.
한국 정부도 경찰을 통해 대북 전단 살포를 제지했고, 지역 주민의 신변 안전 보호 등을 균형 있게 고려해 대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남북한은 2018년 4월 판문점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에서 전단 살포 등 군사분계선 인근 적대행위 금지를 합의했지만, 이후에도 풍선을 이용한 대북 전단 살포는 계속됐습니다.
판문점 선언 한 달 뒤인 2018년 5월, 북한 인권 단체들의 대북 전단 살포 시도가 경찰의 제지와 시민단체의 반발로 무산됐습니다.
하지만 1주일 뒤 전단 살포가 이뤄지자 북한은 이를 판문점 선언 이행에 엄중한 난관이 조성될 수 있다고 한국 정부를 비난했습니다.
일부에서는 대북 전단을 보내는 것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북한으로 보내는 풍선의 일부가 한국 땅에서 발견되는 일이 종종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 지난 2017년 북한으로 날린 대북 전단용 풍선이 경기도 파주와 고양, 동두천 등의 주택과 도로 등에서 잇따라 발견된 바 있습니다.
한국 통일부는 김여정 부부장의 담화가 있은 뒤 대북 전단 살포를 중단시키기 위한 법률 마련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탈북민 단체들은 이에 강력히 반발하며 한국전쟁 70주년인 6월 25일 100만 장의 대북 전단을 북한으로 보낼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VOA뉴스 김시영입니다.
'자유화 민주화운동 세력-탈북민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 인권단체들 “남북한, 탈북민 표현의 자유권 존중해야” (0) | 2020.06.06 |
---|---|
미 전문가들, 대북전단 살포 금지 추진에 비판적 견해 (0) | 2020.06.05 |
유엔 인권위, 집단탈북 종업원 가족 이의신청 각하 (0) | 2020.05.21 |
북한자유주간을 맞아 대북전단 살포 (0) | 2020.05.01 |
태영호 “김정은, 제 발로 서서 사진 한 장 찍을 수 없는 상태”[논설위원 파워 인터뷰] (0) | 2020.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