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中 교통사고 희생자, 좌파 항미원조전쟁 기념 관광단 본문
북한 황해북도에서 지난 22일 대형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은 중국인 32명은 마오쩌둥(毛澤東)의 극좌사상을 신봉하는 이들로 방북길에 니섰다가 변을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 성도일보(星島日報)와 미국의 소리(VOA) 방송은 26일 중국인 희생자들이 강경 좌파 사이트 '우유즈샹(烏有之鄕·유토피아)' 산하 싱훠(星火) 여행사가 조직한 북한 관광단의 일원이라고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싱훠 여행사는 중국 좌파 성향 인사를 대상으로 '항미원조 전쟁(한국전쟁) 승리 65주년 기념' 명목의 관광단을 꾸려 북한을 찾았다가 참변을 당했다.
우유즈샹은 마오쩌둥 사상을 숭배하는 극좌파 인사들이 중국 내외 정치와 경제에 관한 평론을 활발히 게재하는 사이트이다.
싱훠 여행사의 사장이자 우유즈샹의 편집 책임자인 댜오웨이민(刁偉銘)도 관광단을 인솔했다가 운명을 달리했다고 한다.
2003년 개설한 우유즈샹은 성화 여행사를 내세워 2010년부터 중국공산당 역사와 연관된 여행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관광단을 조직해 쿠바와 러시아 등 주로 사회주의 국가를 방문하도록 했다.
우유즈샹은 지난 2015년에는 중국군의 일원으로 한국전쟁에 참전했다가 1950년 폭사한 마오쩌둥 차남 마오안잉(毛岸英)의 65주기를 맞아 방북 추모 활동을 벌이기도 했다.
중국의 대표적인 좌파 지식인 중 하나인 쿵칭둥(孔慶東) 베이징대 교수는 전날 웨이보(微博)를 통해 황해북도에서 사고를 당한 사람들이 싱훠 여행사의 관광단이라고 확인했다.
쿵칭둥은 자신과 다른 좌파 학자 스마난(司馬南)도 그간 여러 차례 싱훠 여행사가 주선한 관광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스마난은 VOA와 가진 인터뷰에서 이번 방북 관광단 경우 우유즈샹의 회원뿐만 아니라 외부인에도 개방해 참가자를 모았다고 전했다.
사고를 만난 방북 관광은 정원 30명, 판매가격이 5990위안(약 102만3900원)으로 18일 단둥(丹東)을 출발해 7일 동안 북한에 소재한 중국 관련 유적지를 둘러보는 일정으로 짜였다.
북한 황해북도에서 버스가 전복돼 심하게 부서진 장면을 CCTV가 보도하고 있다. CCTV 캡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3일 황해북도에서 발생한 중국인 관광객들의 버스 교통사고와 관련, 병원을 찾아 부상자들을 직접 위로했다고 노동신문이 보도했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중국인 30여명이 사망한 황해북도 교통사고와 관련해 평양주재 중국대사관을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노동신문' 등 북한 관영매체들은 오늘(24일) 사고 바로 다음날인 23일 새벽 김 위원장이 평양의 중국대사관과 부상자가 입원한 병원을 방문해 위문하며, 의료진과 치료 대책을 논의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의 중국대사관 방문 사실이 북한 매체를 통해 보도된 것은 집권 이후 처음입니다.
북한 매체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이번 사고와 관련해 "당과 정부가 후속 조치를 최대의 성의를 다해 취할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리진쥔 북한주재 중국대사도 김 위원장의 대사관 방문에 대해 감사의 뜻을 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황해북도에서는 지난 22일 버스 전복 사고로 중국인 관광객 32명과 북한 주민 4명이 숨지고, 중국인 2명이 크게 다쳤습니다.
VOA 뉴스
'Guide Ear&Bird's Eye22 > 북한[P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테르테 “김정은, 불량소년서 영웅 변신” 격찬 (0) | 2018.04.30 |
---|---|
북미 정상회담 개최지 싱가포르 유력 (0) | 2018.04.29 |
김정은 국무위원장 "향후 남북 통일을 믿는다" (0) | 2018.04.27 |
아시아 국가 중 북한 주민들의 영양실조 다수로 유엔이나 선진국 식량원조 대상 국가 (0) | 2018.04.26 |
평양시내 평민층 거주지 모습 (0) | 2018.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