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모택동 탄생 120주년 귀중한 사진으로 되돌아 보는 위인(偉人)의 생애(生涯) 본문

同一介中華(中國)/북경정부-中華人民共和國(中國)

모택동 탄생 120주년 귀중한 사진으로 되돌아 보는 위인(偉人)의 생애(生涯)

CIA Bear 허관(許灌) 2013. 12. 28. 13:01

 

                                 1972년 2월, 미국의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중국을 방문한 닉슨 대통령이 모택동(마오쩌둥)과 악수를 나누고 있는 모습

올해 2013년 12월 26일이 모택동(毛澤東) 탄생 120주년 기념일이다  모택동은 중국 공산당과 중국 인민해방군 창시자이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자이다

모택동은 중화민국 건국 이후 손문,장개석등 중국 민족의 위대한 지도자 셋 분 중 한 분이다

 

                                                                                            1920년도 모택동 모습

 

                                                                                                       1927년, 모택동 

 

1935年、遵義会議後(준의 회의 후) 모택동 

 

                                                                         1937년 봄 모택동과 그의 부인 하자진 (賀子珍, 허즈젠) 모습(연안)

*허즈젠 (賀子珍, 1910–1984) - 1928년 5월 결혼 1939년까지, 마오안홍과 리민 그리고 다른 네 아이의 모친

 

                                                              1938년 중앙기관 조직의 고찰단(考察団)에 구체적인 지시를 내리는 모택동 

 

                                                       피난 중 집무 모습 (1938년):1938 년 봄, 옌안에서 「論持久戦(론지구전) '를 집필하는 모택동

 

                                                                합감(陝甘) 영변지역의 노동 영웅 모범 제조자 대회에서 연설하는 모택동

                                                                              1946년 모택동과 그의 아들 모안영(毛岸英, 마오안잉) 모습(연안)

*마오안잉 (毛岸英) (1922년 ~ 1950년) - 양카이후이(楊開慧)의 소생으로 한국 전쟁에서 사망[대독전쟁 참전, 국제여단(연합군) 출신-한국전쟁 주도는 친소 국제여단 출신으로 파악]

 

 

                                           1949년 4월, 모택동과 그의 아들 모안영(毛岸英), 모안영의 처 류송림(劉松林), 모택동 딸 이눌(李訥)[북경 향산]

*모택동 4녀 리나 (李訥) (1940년~)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수립을 선포하는 모택동(마오쩌둥)

 

 

 

                                                                          1951년 사진을 보고 있는 모택동과 그의 딸 이민(李敏)

* 모택동 3녀 리민 (李敏) (1936년~)

 

 

                                                                                                 모택동과 그의 딸 이민, 이눌

 

 

                                                                                          1952년 10월 황하를 시찰하는 모택동

 

 

 

                                                                                               1954년 모택동과 어린이

 

 

                                                                                전국의 미술 전시회를 감상하는 모택동

 

 

                                                                             1957년 1월 모스크바 공항에 내려 선 모택동

 

                                                                    1958년 8월 8일 소련 제4대 최고지도자 니키타 흐​​루시초프와 모택

 

                                  1959 년 9 월 모택동 딸 이민(李敏)과 공령화(孔令華)의 결혼식에 참석 한 모택동 그리고 등영초(주은래 부인,前列左2)등..

 

                                                                          1960 년 북대하(北戴河)에서 수영하고 휴식을 취하고 있는 모택동

 

 

                                                             1962년 모택동과 그의 아들 모안청(毛岸青) 그리고 모안청의 처 소화(邵華)

*마오안칭 (毛岸靑) (1923년 ~ 2007년) - 양카이후이(楊開慧)의 소생

 

 

 1962년 봄 중남해(中南海) 자택에서 가족들과 함께 있는 모택동)왼쪽에서 毛岸青(모청안)、張少林(장소림)、毛沢東(모택동)、劉松林(유송림)、邵華(소화)、楊茂之(양무지)..

 

                                                                                                  1962년, 산책 중인 모택동

 

 

 

 

 

 

 

헨리 키신저 박사와 교류하는 마오. 중미 관계의 새로운 시대의 개막을 제안하고있다[1972년 베이징에서 헨리 키신저(왼쪽)와 환담을 나누고 있는 모택동, 가운데는 주은래)

 

 

                                                                                                  모택동과 강청

 

 

 

 

 

 

 

마오쩌둥(모택동,毛澤東  1893년 12월 26일 ~ 1976년 9월 9일)은 중국의 군인, 투쟁가, 혁명가이며 중화인민공화국을 건국한 정치가이자 초대 국가주석이다. 그는 이른바 '마오쩌둥주의'를 창시한 사상가로도 족적을 남겼으며 시인이나 서예가로도 이름이 있다 초기 중국 공산당의 최고지도자였으며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인 중앙 제7차 전국대표대회 이후로 장제스와 당시 중화민국 정부에 대항한 국공 내전에서 승리를 거두고 1949년 중국 대륙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하였다. 1949년 혁명 군사위원회 주석과 1950년 임시 국가수반을 거쳐 1954년부터 1959년까지 초대 중화인민공화국 국가 주석으로 권력을 행사했다. 국가주석 재직 중 제2차 5개년계획의 개시와 더불어 3면홍기 운동을 폈고 문화대혁명을 일으켜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였다. 1959년 국가주석에서 물러난 뒤에는 후임 주석으로 오른 류사오치와 갈등하다가 린뱌오 등을 사주하여 1959년 류샤오치를 실각시키고 사망 직전까지 막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다.

마오쩌둥이 중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친 데에는 이견이 없으나, 오늘날까지도 그에 대한 평가는 논쟁이 분분하다  일각에서는 장제스를 격파하고 중국 대륙에 공산주의 국가를 건설한 혁명가이자 전략가로 평가하고 있지만, 대약진 운동의 실패로 약 2천 5백만 명, 문화 대혁명으로 약 2천~3천만 명의 인명 피해를 초래하였다. 대약진 운동문화대혁명에 이르기까지 계속된 급진적인 정책이 중국의 문화, 사회, 경제, 외교관계에 입힌 물적, 인적, 문화적 피해는 수치로 계산이 힘들 정도다. 그 밖에 국공 내전과 한국 전쟁 당시 기아로 사망한 약3천 5백여만 명의 사망자까지 초래함으로써 악명 높은 학살자의 한사람으로 이름을 남기게 됐다. 1931년 이후 중국 공산당의 지도적 역할을 맡아 왔으며, 1949년부터 1959년까지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을 지냈다. 국가주석직에서 물러난 후에도 중국 공산당 당주석에 전임하며 사망할 때까지 실권을 행사했다. 자(字)는 룬즈(潤之, 윤지), 융즈(咏芝, 영지)이며, 호(號)는 쯔런(子任, 자임)이다. 후난 성 샹탄 출신.

 

1.출생과 유년기

마오쩌둥은 1893년 12월 26일 후난 성 샹탄(호남성 상담)의 부유한 농가에서 농부 마오순성(毛順生)(모순성)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셋째 아들이었으나, 위의 형제 두 명이 요절했기 때문에, 사실상 맏이가 되었다. 원래는 명문 호족의 후손이었다가 빈농으로 전락하였으나 그의 아버지 마오순성이 농업과 곡물상 등을 하면서 재산을 모으고 가세를 일으켜 부농이 되었다. 유모와 하인을 두었던 마오는 풍족한 환경에서 자라났으며, 8세(1900) 때 마을 서당에 입학하여 유교경전의 기초지식을 익혔다.

유년기부터 민족주의적인 사상을 접하게 된 그는 청나라를 이민족의 침략자라 생각하고 은연중 반청 사상을 갖게 되었다. 이후 학교에 들어가 정식 초등교육을 받았는데, 집안이 상대적으로 넉넉했기 때문에, 그는 같은 시대를 살던, 학교에 다닐수 없었던 동년배들과는 달리 학교에 갈 수 있었다. 그러나 그는 교육의 용도는 문서기록이나 계산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집안 분위기 속에서 성장했다

 

2.가출과 학창 시절

13세(1905) 때 학업을 중단하고 아버지의 강요로 집안의 농장에서 일하게 되었다 상급 학교에 진학하고 공부를 하고자 했던 그는 부친의 강요에 의해 학업을 중단하였으나 공부의 꿈을 포기하지 않았다.당시의 풍습대로 마오쩌둥도 조혼을 하게 되었으나 부모가 정해준 여자와 결혼시키려고 하자 을 나와 현립(縣立) 동산고등소학교에 입학했다. 이후 하숙과 아르바이트로 생활했고, 후에 창사(長沙)(장사)에 있는 상향중학교로 전학하고 계속 학업에 정진하여 주성중학에 입학했다.

독서를 좋아한 그는 학교에 재학하며 역사책과 소설을 탐독하였으며, 반청나라활동가들의 소식을 접하게 된다. 1911년 신해혁명이 터지자 혁명군에 가담했다 1911년 10월 10일 후난성 혁명군 소속의 한 부대에 배속되어 사병으로 6개월을 보냈다

 

3.소년기와 항일활동

1912년 봄이 되어 중화민국이 개국했고 이후 학교로 복학하여 다시 학업에 매달렸으며, 1912년 수석의 성적으로 후난성 공립고등중학교에 들어갔다. 그러나 1년 동안 경찰·법률·상업 학교 등을 전전, 이것저것에 손을 대며 방황하였다 중학교에서 역사를 공부하기도 했고 여러 고전들을 읽으면서 여러 달을 보내기도 했다. 1913년에는 후난 성립 제1사범학교에 입학하였다.

상급학교 진학의 꿈이 좌절, 대학 공부나 외국 유학을 하지 못하였으나 그는 제1사범학교에 재학 중, 영국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유학파 출신으로 당시 중국의 봉건사상을 비판하던 교사 양창지[楊昌濟](양창제)를 만났고, 그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제1사범학교 재학 중인 1917년 그는 개혁성향의 꿈을 꾸던 동료학생들과 신민학회(新民學會)를 조직하였는데, 회원은 대부분이 제1사범학교 학생들이었고, 신민학회 출신은 훗날 후난성 혁명 지식인의 모태가 된다.

1918년 후난 성립 제일사범학교(창사 소재)를 졸업한 그는 베이징 대학에 취직, 베이징 대학 도서관 사서보(司書補)로 근무하였다. 1918년 "신민학회"를 창립하고, 이해 사범학교를 졸업후, 스승이자 훗날 장인이 되는 양창지와 함께 베이징으로 왔다. 1919년 양창지는 베이징 대학의 교수가 되었고, 그의 추천으로 마오는 도서관의 사서로 일할 수 있었다. 마오는 한편으로 일하면서 한편으로는 천두슈(진독수), 첸쉬엔퉁(전현동)과 같은 당시 지식인들의 강의를 접하고 수많은 사상, 혁명과 전쟁에 관한 책들도 읽을 수 있었다. 이때의 학습으로 훗날 마오사상의 기초를 다졌다. 1919년 여름에 그는 창사에서 농민을 제외한 학생·상인·노동자 들만의 연대단체를 결성, 조직해 당시 국민당 정부에 항일운동을 촉구하는 시위를 주도했다 동시에 각 언론에 글을 발표하여 계몽을 촉구하였는데, 글의 주제는 주로 전 세계에 '홍위병'(紅衛兵)의 창설을 촉구하고 러시아 혁명을 찬양하는 내용이었다

 

4.언론, 교육, 계몽 활동

1920년 고향으로 돌아와 잡지 《상강평론》를 창간했지만 성정부의 탄압으로 폐간되었다. 이후 천두슈(진독수), 리다자오(이대소)와 만나고 교육사업의 중요성을 깨닫고, 학교창립을 주도, 창샤사범학교 부속 초등학교 교장이 되었다. 사업은 성공적이었고, 아버지의 유산까지 물려받아 생활이 안정되자, 그는 양창지의 딸이자 동급생이었던 양카이휘(양개혜)와 결혼했다. 마오쩌둥은 양카이휘와 부부생활을 하면서 아들을 두 명 두었다.

상향중학교 시절부터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연구하던 그는 1920년 상하이(上海)(상해)로 건너가 공산주의 사상가 천두슈(陳獨秀)를 만났으며 다시 창사로 돌아왔다. 1920년 말 그는 창사제1사범학교의 부속소학교 교장 겸 사범학부 어문(語文學) 교사가 되었고, 1924년까지 창사 제1사범학교에 재직했다. 창사제1사범학교 교사 재직 중 1921년 1월부터 그는 마르크스주의를 본격적으로 수용하고 혁명가의 길에 투신을 결심하였다.

 

5.중국공산당 창립

이때부터 마오는 공산주의에 심취하기 시작했고, 1921년 8월 상하이에서 열린 중국 공산당 제1차 전당대회에 창립대회에 참석하였다. 이때 참석한 멤버 중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때까지 중국 공산당에 남아 있었던 사람은 마오와 둥비우(동필무) 두 사람뿐이었다. 나머지는 혁명운동 중에 죽거나 혹은 변절하여 중국 국민당이나 일본 제국으로 전향하였다. 이 대회에서 마오는 회의서기를 맡아 보았다. 이후 고향으로 돌아와 10월에는 중국 공산당 후난성(호남성) 지부를 창립하고 서기로 취임하였다

 

6.정치 활동

(1)국공 합작 시절

1923년에는 제3차 전당대회에 출석하여 5명의 책임비서 중 한명으로 선출되었다. 공산당은 국민당과 함께 항일연대를 위해 국공합작을 추진했고 곧 성사되었다. 국공합작이 성립되자 1924년에는 중국 국민당의 제1기 중앙후보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이어 중국 국민당 중앙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고, 동시에 1924년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 공산당 선전부장 대리, 중화민국 중앙농민운동 강습소장, 정치주보 사장 등을 겸임하였다. 1925년 제4차 국민당 당대회에 참석하였으나 중앙위원회 위원이 되는 데 실패하였다. 1925년 10월에는 국민당 선전부장 대리로 임명되었다. 그동안 후난성 농민운동의 동향을 관찰하고 그 혁명성을 주목한 《후난농민운동고찰보고》를 발표했다. 공산혁명의 동력으로 농민을 주목한 마오사상의 특징은 여기에서부터 비롯된 것이다.

1926년 11월 마오는 고향인 후난 성(호남성)으로 다시 돌아갔다. 1927년 1월2월 그는 고향의 농민운동을 연구하고 살펴봤다. 농민운동을 살펴본 그는 가까운 장래에 수억 명의 중국 농민들이 '폭풍우처럼' 봉기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는 농민의 힘이 너무나 엄청나고 폭발적이기 때문에 아무리 커다란 세력이라도 그것을 억누르지 못할 것이라고 예측하였으나, 장제스는 그 가능성을 낮게 보았다.

장제스는 노동자•농민을 자기 편으로 만드는 데 노력하지 않았고, 1927년 4월에는 국민당의 상하이 입성을 도왔다가 소비에트 요원이 된 상하이 노동자들을 학살했다 국민당과 제휴해 혁명을 완수하려는 스탈린의 전략이 수포로 돌아갔고 중국공산당은 도시에서 거의 전멸, 지방에서는 1/10 이상이 파괴되었다 국공합작은 실패했고 1927년 10월 마오는 후난(호남)의 추수봉기에서 살아 남은 수백 명의 농민운동가들 이끌고 피신, 장시성(江西)(강서)과 후난성 접경지역에 있는 징강 산(井崗山)(정강산)으로 퇴각 한동안 은신하며 농민부대를 재정비했다.

 

(2)장시 소비에트 시절

 1927년 마오는 창샤에서 추수 봉기를 이끌었다. 여기서 그는 "중국공농혁명군"이라고 이름붙은 무장병력을 이끌었지만, 토벌군에게 진압당하여 패잔병을 이끌고 장시 성의 싼완으로 도주했다. 여기서 병력을 재편성하고 다시 장시 성의 징강 산으로 옮겼다. 마오의 군대에 지역 토비와, 또다른 공산당 지도자인 주더(주덕)의 군대가 합류하여 "중국공농홍군"(약칭 홍군) 제4방면군을 구성하였다.

1931년에서 1934년까지 홍군은 영향력을 넓혀 중화소비에트공화국(中华苏维埃共和国)이라는 과도정부를 건설하고 마오는 주석겸 중국 공산당 중앙집회위원회 주석을 맡았다. 1930년 추수 봉기 이후 떨어져 지냈던 양카이휘가 국민당에 잡혀 처형되었고, 마오는 이곳에서 허쯔전과 재혼하였다. 마오는 전문적인 군사교육을 받았던 주더(주덕)의 도움을 받아 매우 효율적인 부대를 조직하였으며, 특히 민폐를 끼치지 못하게 하는 엄정한 군율로 농민을 지지세력으로 삼아 농촌을 근거지로 하는 게릴라전략으로 계속되는 국민당군의 토벌전을 분쇄하였다.

국민당 정부를 이끌던 장제스는 이러한 소비에트를 분쇄하기 위해 4번의 토벌전을 펼쳤으나, 번번이 홍군에 패했고, 국민당군이 버리고 도주한 군사물자는 오히려 홍군의 성장을 촉진시켰다. 1932년 6월까지 홍군은 45만 명의 정규병력과 보조병력으로 20만 명의 민병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국공합작이 결렬된 이후 불법화된 공산당원들은 국민당의 체포와 탄압을 피해 장시 소비에트(강서 소비에트) 지역으로 몰려들기 시작했다. 그러나 장시 소비에트로 피난해온 중국공산당 고위급들이 많아지면서 마오의 지도력은 흔들리기 시작하였다. 특히 옛 소련에서 정통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공부하고 돌아온 "28인의 볼셰비키" 그룹은 코민테른의 지지를 받아 당권을 장악하였고, 그들은 유격전을 중심으로 한 마오의 전략을 버리고 정규전을 결정했다.

 

(3)장정과 옌안시절

한편 국민당군은 100만의 병력을 동원해 제5차 토벌전을 시작하였다. 국민당에 파견된 독일 군사고문단의 한스 폰 젝트의 조언으로 진지와 토치카를 구축하면서 천천히 진격했고, 이에 1931년부터 마오를 대신해 군사지휘권을 장악한 "28인의 볼셰비키" 그룹의 보구와 코민테른에서 파견된 독일인 군사고문 오토 브라운은 이에 정면으로 대응하다가 커다란 인명손실을 내었다. (양측이 모두 독일인 군사고문의 조언에 의해 움직였다) 또한 게릴라전을 수행하는 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배후 촌락이 모두 국민당의 손에 넘어가 소비에트는 붕괴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1934년 10월 가을, 공산당 지도부는 장시 소비에트를 포기하고 산시 성에 있는 근거지로 옮기기로 결정했다. 마오를 비롯한 중국공산당 지도부는 1만킬로미터를 걸어 결국 산시에 도착하였다. 장정 도중 1935년 1월 열린 쭌이 회의에서 "28인의 볼셰비키" 그룹은 붕괴하고, 마오에게 공산당의 절대적인 지도권이 넘어왔다. 1935년 10월, 마오가 이끄는 부대는 티베트와 같은 소수민족 지역을 거쳐 목적지에 도달했고, 1936년 국민당군의 토벌전을 피해 이동을 개시한 나머지 부대들도 이곳에 합류하였다.

1936년 장제스는 만주사변이후 일본군에게 근거지를 잃고 근처에 주둔한 장쉐량(장학량)의 군대에게 도주해온 공산군의 토벌을 명령했다. 토벌전을 독전하기 위해 장제스는 장쉐량이 주둔해 있던 시안을 방문하였다. 공산당에 동정적이었던 장쉐량은 일본제국의 침략에 무대응으로 일관하면서도 공산군 토벌만 주장하는 장제스에 불만을 품고 도리어 장제스를 체포하는 시안 사태을 일으켰다. 장제스는 풀려나는 조건으로 항일을 위한 공산당과의 휴전과 제2차 국공합작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홍군은 국민혁명군 제8로군신사군으로 개편되어 형식상 국민당군에 소속되었지만, 실제로는 독립적으로 존재했다. 이후 공산당은 일본군이 점령한 화북지역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하였다.

 

(4)정풍 운동

1942년부터 마오는 공산당의 본부가 있던 옌안에서 정풍운동을 개시하였다. 이는 마오의 당에 대한 지도권을 재확인하고 당에 남아있던 마오의 반대파들을 약화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 왕밍등 한때 마오에 반기를 들었던 당내 주요인사들은 대중앞에서 스스로 과오를 인정하는 자아비판을 할 수밖에 없었으며, 보안조직을 이끌었던 캉셩에 의해 트로츠키주의자로 낙인찍힌 몇몇인사들은 체포되거나 처형되었다.

한편 마오는 1937년 허쯔전이혼하고 다시 배우 출신 장칭과 재혼하였다

 

 

7.국공내전과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수립

1945년 8월 일본제국이 패망하여 항복한 이후, 중국 국민당중국 공산당미국의 중재로 공동정부를 구성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하였으나 실패했고, 이어 본격적인 내전이 개시되었다. 초기국면에서 국민당군은 병력수에 있어서 공산군보다 월등히 우세했고, 미국의 지원으로 무장하고 있어서 초기에 유리한 국면을 선점하였다. 그리하여 1947년에는 후쫑난 지휘하의 20만명의 병력이 중국공산당의 본부가 있던 옌안을 점령하기도 했다. 그러나 무리하게 점령지를 늘린 국민당군은 지나치게 병력이 분산되는 전략적으로 오류를 범하게 되었다. 게다가 국민당 정부의 총체적 부패, 인플레이션로 인한 경제붕괴, 그리고 이미 떠난 민심이 어우러져 1948년부터는 공산당측에 유리하게 내전이 전개되었다. 군인들이 민중들에게 폐를 끼치지 못하게 한 군율도 중국 공산당 군대가 국민당 군대와의 전쟁에서 이긴 이유 중 하나였다.

1948년 가을 극동지역 소련군 지원을 받은 린뱌오가 지휘하는 동북인민해방군이 만주에서 국민당군을 격파하는 것을 시작으로 전세는 역전되어 1949년 2월에는 베이징이 함락되었고, 이어 파죽지세로 4월에는 창 강을 건너 국민당 정부의 수도 난징을 함락시켰다. 이어 5월에는 최대도시 상하이를 함락시켰고 10월에는 국민당손에 남아있던 최후의 대도시인 청두마저 함락되어 장제스의 중화민국 정부는 타이완으로 도피하였다.

1949년 10월 1일 마오쩌둥은 베이징에서 중화인민공화국정부의 수립을 선포하고 국가주석에 취임하였다.

(1)대약진운동과 백화제방

마오는 건국선포 직후 소련을 방문하여 원조를 청하고, 광범위한 토지개혁을 실시하였다. 토지개혁에는 지주계급의 숙청이 전제조건이었으므로 수많은 지주들이 집회에서 처형되거나 강제노역지에 수용되었다. 이는 새로운 정권에 위협이 될 만한 반혁명세력을 뿌리뽑는다는 이유도 있었다.

1950년 5월 13일, 북한김일성박헌영이 베이징에 도착하여 마오쩌둥과 면담하고 스탈린이 모스크바 회담 때 ‘현 국제환경은 과거와는 다르므로 북한이 행동을 개시할 수 있으나 최종결정은 마오쩌둥과의 협의를 통해 이뤄야한다’고 했음을 설명했다. 5월 14일 스탈린은 마오쩌둥에게 보낸 특별전문에서 “국제정세의 변화에 따라 통일에 착수하자는 조선사람들의 제청에 동의한다. 그러나 이는 중국과 조선이 공동으로 결정해야 할 문제이고 중국동지들이 동의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검토할 때까지 연기되어야 한다.”고 했다 5월 15일, 모스크바의 메시지를 받은 뒤 마오는 김일성 · 박헌영과 구체적으로 의견을 교환하였다. 김일성은 북조선이 ‘군사력 증강-평화통일 대남제의-대 한민국쪽의 평화통일 제의 거부 뒤 전투행위 개시’의 3단계 계획을 세웠다고 언급했다. 마오가 이 계획에 찬성을 표명하고 일본군의 개입 가능성을 물은 데 대해 김일성은 일본군이 참전할 가능성은 별로 없는 것으로 보나 미국이 2만~3만명의 일본군을 파견할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는 없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일본군의 참전이 상황을 결정적으로 변화시키지는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마오는 만일 미군이 참전한다면 중국은 병력을 파견해 북한을 돕겠다고 했다. 소련은 미국쪽과 38선 분할에 관한 합의가 있기 때문에 전투행위에 참가하기가 불편하지만 중국은 이런 의무가 없으므로 북한을 도와줄 수 있다고 했다. 북한이 현 시점에서 작전 개시를 결정함으로써 이 작전이 양국간 공동의 과제가 되었으므로 이에 동의하고 필요한 협력을 제공하겠다고 했다.

이후 한국전쟁의 참전을 결정하여 막대한 전비때문에 신국가 건설이 잠시 지체되지만, 1953년부터 소련의 차관과 기술의 원조를 받아 소련을 본뜬 제1차 5개년계획을 실시하여 특히 농업생산에서 커다란 진전을 보였고, 공업발전을 위한 기초산업을 건설하였다. 결과에 고무된 마오는 제2차 5개년계획을 발표하였고, 농업을 집단화하기 시작했다. 일종의 집단농장이라고 할 수 있는 인민공사가 마을마다 구성되어 농민들은 여기에 수용되었다. 또한 공산 체제가 어느 정도 안정된 1956년에는 공산주의 사상과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는 "백화제방백가쟁명(百花齐放百家争鸣)" 방침을 내놓았지만, 이후 사태가 자신의 권위를 위협하는 데에 이르자 돌연 방침을 180도 전환하여 1957년에는 당내 사상의 자유도 탄압하는 "반우파운동"을 전개하여 반체제인사의 숙청에 나섰다.

마오는 제2차 5개년 계획을 시작하면서 수년안에 중국을 농업국가에서 공업국가로 탈바꿈시키고, 이의 지표라고 할 수 있는 철생산량을 늘려 영국을 따라잡겠다는 대약진 운동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기술의 미비와 농업의 경시, 게다가 기후이상으로 인한 나쁜 작황으로 말미암아 대기근이 일어나 수많은 사람이 아사하였다.

(2)주석 퇴임과 막후실권 행사

리더스 다이제스트》에 따르면 1958년에 마오가 참새를 가리키며 “저 새는 해로운 새다.”라고 말했는데, 이 말 때문에 중국에는 참새잡이 광풍이 불어 1959년에는 중국 참새의 씨가 말랐다. 곤충을 먹이로 하는 참새가 없어지면서 각종 해충이 창궐하여 대흉년의 발생으로 3천만 명이 굶어죽었다. 1959년에 열린 루산 회의에서 국방부장을 맡고 있던 펑더화이가 대약진 운동을 전개한 마오를 비판하지만, 도리어 펑더화이 자신이 해임당하고 말았다. 대약진 운동의 실패로 아사자와 처형당한 수는 약 2천 500만 명을 헤아렸다. 1959년 대약진 운동에 대한 비난 여론이 확대될 조짐을 보이자 마오쩌둥은 국가주석직을 사임하였다. 그러나 마오의 뒤를 이어 국가주석에 취임한 류샤오치는 대약진 운동을 강하게 비판하였고, 덩샤오핑과 함께 경제개혁을 주도하게 되었다.

마오는 배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려 하였으나 류샤오치는 친정 의사를 내비쳤고, 암암리에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그와 수시로 갈등했다. 한편 스탈린의 뒤를 이어 집권한 흐루쇼프가 서방과의 관계를 개선하자, 마오는 이를 규탄하여 중소간의 관계에 균열이 일어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1962년에는 티베트를 둘러싸고 인도공화국과 국경분쟁을 벌이기도 했다. 그리하여 미국뿐만 아니라 서방에서 안보적 위협이 증가하자 중국의 독자적 핵무기 개발을 실시하여 1964년 핵실험에 성공하였다. 마오쩌둥은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당대표 및 북조선의 최용건이 참석한 가운데 "아시아 지역 혁명에 대해 논의"에서 대한민국에서 무장 게릴라 봉기를 일으키라고 강요했다.(1965년 3월) 이에 대해서, 북조선의 김일성은 "남조선에는 해안이 많고, 산이 벌거벗었으며, 교통이 비교적 발달해 있는 데다 미군까지 주둔하고 있다"는 이유를 들어 반대하는 대신 "시간을 들여서 대중 속에 '비공연(非公然) 조직'을 만들어 대중운동을 전개해야한다. 이러한 투쟁이 아니고서는 소모일뿐, 승리는 어렵다"는 의견이었다

(3)문화 대혁명

류샤오치덩샤오핑은 각각 국가주석과 당서기를 맡아 파멸적 결과를 초래한 대약진 운동의 뒷수습을 하면서 점점 마오를 제치고 실권자로 떠오르게 되었다. 이런 상황하에서 마오는 점점 이름뿐이고 상징적인 위치로 몰려갔다. 그러자 마오는 류샤오치의 실각을 위한 공작을 계속 하는 한편, 1966년 문화 대혁명을 일으켜 다시한번 실권을 장악하려 시도하였다.

전국에서 마오를 맹목적으로 따르는 홍위병들이 일어났고, 이들은 "공산주의의 적"을 제거한다는 구실로 사회 원로와 종교인 등에게 무자비한 폭행과 조리돌림을 행했다. 이러한 혼란하에서 마오의 의도대로 류샤오치와 덩샤오핑은 실각하여 다시한번 마오는 권력의 전면에 나섰다. 대량의 학살과 인민재판, 숙청으로 지적 물적 자원을 손실했고, 만력제를 비롯한 명나라, 청나라의 황제 및 고관들의 능과 묘소는 파헤쳐졌다. 저우언라이류샤오치 등은 혁명에 부정적이었으나 입장 표명이나 언급을 회피했다. 문화 대혁명 기간 중 약 2천~3천만 명 이상의 학살로 인한 인명피해를 초래했다. 문화 대혁명으로 반체제 인사와 야당 인사, 반마오쩌둥 인사를 제거한 그는 자신의 권력을 한층 강화하였고, 특히 류샤오치에 맞서 마오를 지지한 국방부장 린뱌오는 일약 마오의 후계자로 떠올랐다.

(4)린뱌오의 쿠데타 음모

린뱌오 등의 도움을 얻어 마오는 류샤오치의 실각음모를 꾸몄고, 1969년 류샤오치를 실각시키는데 성공한다. 이후 국가주석직은 일시적으로 공석이 되었고, 부주석 둥비우쑹칭링을 주석대행에 앉힌 뒤 사실상의 주석직 복귀와 다를 바 없는 실권을 행사한다. 그리고 류샤오치 제거에 공을 세운 린뱌오를 후계자로 승인한다.

린뱌오가 후계자 자리를 굳히는 듯했으나, 승계시기를 둘러싸고 린뱌오와 마오의 사이에 균열이 생겼고, 린뱌오는 빨리 정권을 넘겨주지 않는 마오에 불만을 품게 되었다. 린뱌오는 마오를 제거하고 정권을 잡기 위해 쿠데타 음모를 꾸몄고, (1971년) 마오는 남중국을 시찰하면서 돌연 린뱌오를 비난했다. 그러나 린의 음모는 실패로 끝났고, 린뱌오는 아들과 함께 소련으로 망명하던 중 비행기가 추락하여 사망하였다. 린뱌오의 쿠데타에 관한 상세한 정보는 현재에도 정치적으로 민감한 주제이기 때문에 상세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린뱌오의 쿠데타가 실패로 돌아간 이후 그의 의심 증세는 강화되었다.

(5)4인방의 득세

린뱌오가 사망한 이후, 노쇠한 마오를 대신하여 정치실권은 혁명원로들을 제치고 장칭 등 사인방과 캉셩이 장악하였고, 린뱌오와 공자를 비난하자는 "비공비림" 운동을 전개하여 자신들의 권력을 공고히하려고 하였다. 1970년 헌법수정초안을 채택하여 1인 체제를 확립하고 사실상의 중국의 최고지도자로 군림하였다. 그러나 마오는 이러한 와중에서 파킨슨씨병 또는 운동뉴런장애로 짐작되는 중병을 앓고 있었기 때문에 거의 활동을 못했고, 공식 업무는 후처 장칭이 사실상 업무를 대행하다시피 했다.

1971년부터 72년에는 저우언라이(周恩來) 정무원 총리를 중심으로 하여 문화대혁명의 가치관과 1966년 이전의 정치·경제 질서 사이에 일종의 절충이 시도되어 사회갈등의 조정을 노력했다. 미국의 헨리 키신저가 1971년 8월 비밀리에 베이징을 방문해서 저우언라이 총리와 회담을 가졌고, 그 결과 1972년 2월 21일 베이징을 방문한 리처드 닉슨 대통령과 마오쩌둥 간의 미․중 정상회담이 이뤄졌다 냉전 기류의 해소에는 일부 기여하였으나 그 이상의 성과는 없었다. 1976년 1월 저우언라이의 사망 이전에 벌써 문화대혁명 가치관과 이전의 질서 간 절충, 조정 노력은 균열이 보였고, 저우언라이가 사망하면서 사회갈등 조정노력은 실패하였다. 마오는 전문기술의 중요성을 인정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광란적인 당원과 야심가들의 정치적 수사(修辭)에 묻혀버리고 말았고, 외국에서 온 것은 모두 반혁명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6)1차 천안문 시위와 사망

1972년부터 병으로 고생하였다. 암살과 테러를 의심했던 그는 고층 건물에 오르는 것과 비행기 탑승을 주저하거나 꺼렸다고 한다. 와병 중이던 1976년 4월 4일 제1차 천안문 사건(天安門事件)이 발생했다. 이는 대규모의 민중봉기였다. 4월 5일 분노한 시위대는 반란을 일으켜 건물과 관공서, 자동차 등에 방화를 하는 등 일대 소요가 야기되었다. 교통은 마비되었고, 플래카드에는 마오쩌둥의 부인 장칭을 비롯한 4인방과 측근인 야오원위안(姚文元) 등을 비판하는 구호와 시가 많이 게재되어 있었고, 뒤에는 마오의 퇴진을 요구하는 내용까지 올라왔다. 이 사건은 공안당국과 군에 의해 반혁명사건으로 철저히 탄압되었으며, 마오는 이를 덩샤오핑(鄧小平) 당시 중국공산당 부주석 겸 국무원 부총리를 제거할 기회로 삼고 덩샤오핑에게 책임을 물어, 4월 7일 그의 모든 직무를 박탈함으로써 실각시켰다.

그러나 소요사태는 쉽게 수그러들지 않았고 마오의 퇴진을 외치며 시위가 격화되며사태가 확산되어 가던 중 그는 진압을 시도했으나 군은 움직여주지 않았고 그는 완전히 고립된 채 생을 마감하게 된다. 1976년 9월 9일 그는 베이징에서 사망했다. 사망 당시 그의 나이는 84세 였다. 그의 유해는 자신의 시체를 매장하라는 유언과는 상당히 다르게, 화장하라는 자신의 희망에도 불구하고, 레닌과 마찬가지로 시신 보존되어 베이징의 "마오주석기념관"에 안치되었다

 

8.사후

1981년 덩샤오핑이 정권을 잡은 후, '마오쩌둥의 문화 대혁명은 내란이었다고 공식 입장을 밝히고, 문화 대혁명 당시 학살과 소요사태의 책임을 마오쩌둥에게 있다고 규정했다. 그러나 마오쩌둥에게 숙청당할 위기에까지 몰렸던 덩샤오핑은 그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은 자제하거나, 공은 공 과는 과 라고 선을 그었다

 

9.저서

(1)《지구전론》(持久戰論)

(2)《신단계론》

(3)《신민주주의론》

 

10. 모택동 영향

(1)마오쩌둥의 공산주의 혁명이론

마오쩌둥은 공산주의 혁명의 주체 세력을 농민으로 보아 농촌에서의 공산주의 전파 활동에 중점을 두었다. 산업노동자를 혁명의 원동력으로 본 레닌의 입장을 중국의 현실에 맞게 수정한 것이다. 실례로 그는 엉덩이가 없으면 사람이 서거나 앉을 수 없다고 할 정도로, 중국 공산당과 농민의 관계는 뗄 수 없다고 보았다.

그의 공산주의 이론과 군사이론은 각국의 혁명가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그리하여 20세기 후반에 호치민, 폴포트, 그리고 체 게바라와 같은 동남아나 중남미의 혁명가들은 그의 전략에 따라 농민을 혁명의 원동력으로 하는 농촌혁명과 게릴라전을 통해 궁극적으로 공산주의 혁명을 달성하려고 하였다. 또한 그의 급진적 사상은 장폴 사르트르 같은 서구 지식인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2)마오쩌둥 개인숭배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홍위병에 의해 마오는 종교적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그의 초상화는 공공기관에 필수적으로 게시되도록 하였으며, 그의 저작이나 연설에서 발췌한 문장을 모아놓은 수첩크기의 붉은 책인 《모주석어록》은 누구나 휴대하여야만 했다. 덩샤오핑 집권 이후 공개적인 마오의 개인숭배는 사라졌지만, 중국의 농촌지역에는 관우와 마찬가지로 마오의 사진이나 조각을 사당에 모셔놓고 신의 하나로서 숭배하는 일도 종종 보도되고 있다.

(3)마오쩌둥의 공산혁명 수출

마오쩌둥의 주도하에, 중화인민공화국은 개발도상국들 특히 동남아시아에 공산주의 혁명을 수출하였는데, 그러한 노선에 입각해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의 국제 공산주의운동, 민족민주운동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마오는 공산정권 수립 후 개발도상국에 친미 정부가 들어서지 못하도록 미얀마,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등지에 공산주의노선을 지지하고 무기, 경제, 기술, 식량 지원 등을 하였다. 문화대혁명 때는 《모주석어록》이 대량으로 영어나 스페인어 등으로까지 번역, 유통되어 외국에서 마오식 투쟁노선의 지도서가 되던 때도 있었다.

모택동주의 특징이 NLPDR이론이다

모택동주의는 봉건주의와 투쟁에서 농민과 NLPDR노선으로 정립돼 이론이다

21세기는 자본주의민주주의 혁명 이후 자유주의(자유권)와 사회주의(사회권) 공존(존중) 자유사회이다

공산주의는 이상사회이며 실현될 수 없는 이론이다

공산주의 반대는 자본주의이며 민주주의 반대는 독재주의(전체주의)이다

자본주의민주주의 혁명을 거부하는 나라는 망할 수 밖에 없다

 

11.모택동 평가와 비판

(1)평가

중국에 공산주의 국가를 세우고 오랫동안 실질적 영도자의 권력을 행사한 데 대해 지식인, 상공인, 고급기술자의 자유을 말살해버리는 대신 노농에는 절대적 권력을 부여해 인민을 피억압에서 일어서게 했다. 장제스의 전시 정치체제를 종결시키고 중국을 소비에트식 국가로 바꾼 프롤레타리아 혁명가이자 전략가의 시각이 있다. 문화 대혁명으로 중국의 고귀한 전통 문화 뿐 아니라, 소수 민족들의 제도와 문화도 대거 파괴됨으로써 문화 간 이질성을 약화시켰다는 평도 마오주의 추종자들이 그를 높이 평가하는 이유이다. 미국의 언론인 에드거 스노우는 마오쩌둥을 포함한 홍군소년병 같은 활동가들을 만난 이야기인 《중국의 붉은 별》에서 토론에서 박식함, 겸손함, 건강함 등이 그의 좋은 점이라 말했다.

 

(2)비판

자신의 일방적 이념으로 중국사회를 개조하려고 한 광인(狂人)으로, 대량의 인류의 사망 및 인류에 대한 학살을 저지른 독재자로 비판을 받을 때가 많으며 중국의 전통 문화(유교, 도교, 불교 등)와 중국의 사회구조의 유대 및 협력고리를 완전히 끊어놓은 폭력정치인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는 개인적으로 의심이 많았고 그자신을 30년 이상 성실히 보좌하던 친구이자 정치적 동지인 저우언라이조차도 의심했다고 한다. 자신이 사망하면 저우언라이가 집권할 것을 염려하여 그가 와병중 임에도 불구하고 약을 복용하지 못하게 하거나, 휴가를 주지 않고 오히려 과다한 임무를 부과했다고 한다.

한국전쟁에 대규모 군사를 보내 한국과 국제사회와 오랜 갈등을 빚게 했고, 대약진 운동의 실패로 약 2천 5백만 명, 문화 대혁명으로 약 2천~3천만 명의 인명 피해를 초래하여, 그가 펼친 정책의 과단성, 무모함과 커다란 피해에 대한 지적과 함께 중국의 문화, 사회, 경제, 외교 관계에 막대한 물적, 인적 피해를 입혔다는 비판을 받는다

 

 

 

世界潮流浩浩 蕩蕩順之則昌 逆之則亡(세계조류호호 탕탕순지칙창 역지칙망) 세계조류에 순응하면 법(국가)이 번창하고 세계조류에 거역하면 법(국가)이 망한다 (浩-클 호, 蕩-쓸어버릴 탕, 則-법칙 칙)

“Democracy reverse is dictatorship (Totalitarianism) which Communism is not

and capitalism reverse is Communism.

Since Jabonjuuiminjuju's revolution[capitalismDemocracy's revolution], liberalism(Civil liberties) and socialism(living rights) coexistence(Respect) democratic republic(freedom society) It is.

민주주의 반대는 공산주의가 아닌 독재주의(전체주의)이고 자본주의 반대는 공산주의입니다.

자본주의민주주의 혁명 이후 자유주의(자유권)과 사회주의(사회권) 공존(존중)이 민주공화국(자유사회)입니다“

 

                                                                                            중경에서 장개석과 함께 한 모택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