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쿠사 망명작전은 MI6 ‘작품’이었다 본문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국가원수의 '오른팔'이었던 무사 쿠사 전 외무장관의 망명은 영국 해외 정보기관인 MI6의 '작품'이었다. 쿠사가 영국 판버러 공항에 도착할 때까지도 리비아 지도부는 전혀 눈치채지 못했을 정도로 극비리에 진행됐다.
1일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에 따르면 쿠사 전 장관의 망명작전은 지난달 28일 (현지시간) 해질 무렵 수송차량을 타고 튀니지의 수도 튀니스로 향하면서 시작됐다. 차량에는 쿠사와 그의 아들이 타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튀니지 언론은 쿠사의 방문이 "사적"이라고 보도했고, 보도에 놀란 리비아 정부 대변인은 당황해하며 "외교적 임무"라고 둘러댔다. 망명설이 흘러나왔지만 리비아 정부는 부인했다.
그의 최종 목적지는 영국이었다. 쿠사는 리비아로 돌아가지 않고 튀니지에 머물며 자금을 송금하는 등 망명준비를 서둘렀다. 준비를 마친 쿠사는 30일 오후 4시쯤 가족들과 함께 튀니스 남쪽 400㎞ 떨어진 휴양도시 제르바에서 민간 항공기에 올랐다. 6시간 뒤인 오후 10시쯤 쿠사 일행을 태운 스위스 항공기는 영국의 판버러 공항에 도착했다.
쿠사는 제3국 외교관을 통해 영국 정보당국에 먼저 망명 의사를 타진했다고 인디펜던트는 보안당국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쿠사가 망명을 고민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12월 카다피의 아들 중 한 명과 불화를 겪은 직후부터였을 것으로 리비아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쿠사가 영국을 망명지로 선택한 데에는 그의 전력이 작용했다.
쿠사는 스코틀랜드 로커비에서 270명의 목숨을 앗아간 팬암기 폭파사건 유족들에 대한 보상과 이 사건 범인으로 지목돼 스코틀랜드 교도소에 수감중인 압델 바셋 알메그라히 석방 협상을 이끌었다. 1979년 영국 주재 대사로 부임했으나 1980년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리비아 정부가 반체제 인사 2명을 살해할 계획이라고 발언했다 추방됐다. 2009년 외무장관이 되기 전 정보기관의 수장으로 15년간 일했다. 이 과정에서 중동지역에서 활동하는 영국 요원들과 친분을 쌓았고, 그 친분이 망명 성공에 톡톡히 역할을 했다.
김균미기자 kmkim@seoul.co.kr
'북아프리카 지역 > 리비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군 공세와 내부분열… 궁지 몰린 카다피 (0) | 2011.04.02 |
---|---|
카다피, 2남 대신 4남 세습안 제안 배경은 (0) | 2011.04.02 |
카다피, 영국에 퇴로 타진 밀사 (0) | 2011.04.02 |
카다피 측근 이탈 가속… 내부 붕괴 조짐 (0) | 2011.04.02 |
리비아 알리 압델살람 트레키 전 외무장관 망명 (0) | 2011.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