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역대 노벨경제학상 수상자(1969년--2003년) 본문
Guide Ear&Bird's Eye2/합리적 금욕과 소비는 플러스 투자삶
역대 노벨경제학상 수상자(1969년--2003년)
CIA Bear 허관(許灌) 2007. 2. 26. 18:46
|
노벨상은 물리학, 화학, 생리 및 의학, 문학, 평화 등 5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경제학상은 1969년부터 추가되었는데 노벨상 기금과는 별도의 것으로 스웨덴 국립은행의 기념사업으로 시작된 것이며, 스웨덴 과학아카데미가 전형을 맡고 있다 ●1969 랑나르 프리슈(Ragnar Frisch) 노르웨이, 얀 틴베르헨 (Jan Tinbergen) 네덜란드.
통계적 기법과 관련된 수학적 모형을 경제 데이터에 적용하고 발전시킨 계량경제학의 선구자들로서 그 공을 인정받아 제1회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는 영광을 안았다.
●1970 폴 A. 새뮤얼슨(Paul Anthony Samuelson) 미국.
뛰어난 경제이론가로 알려진 새뮤얼슨은 훌륭한 수학적 기법을 도입하여 다양한 부문의 경제이론을 주창하여 노벨상을 수상했다.
●1971 시몬 쿠즈네츠(Simon Smith Kuznets) 러시아.
미의 국민소득 분석과 좀더 일반적인 경제적 시계열 분석을 발전시켜, 국민경제 성장에 대한 연구의 폭을 넓혔다. 경제자료의 복잡성을 강조하고 대량 관찰의 중요성과 역사적 경험의 한 측면만을 근거로 하는 단순모형의 한계에 대해 역설했다.
●1972 존 힉스(Sir John Richard Hicks) 영국, 케네스 J.애로(Kenneeth Joseph Arrow) 미국.
경제의 능동적 요인들에 의해 서로의 효과가 상쇄될 때 균형이 달성된다는 일반균형이론을 확립하는데 선구적인 공헌을 했다. 이들의 이론은 공공부문이나 사적 부문의 외국무역, 투자정책, 가격 등을 결정하는 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1973 바실리 레온티예프(Wassily Leontief), 미국.
경제계획 및 예측을 위해 50여 산업선진국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는 계량경제한 분야인 ‘투입-산출 분석(input-output analysis)과 ’선행계획‘을 발전시킨 공을 인정받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1974 군나르 위르달(Karl Gunnar Myrdal) 스웨덴, 프리드리히 폰 하에크(Friendrich A ugust von Hayek) 오스트리아.
경제적, 사회적, 제도적 현상의 상호의존에 대한 선구적 분석으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1975 레오니드 V. 칸토로비치(Leonid Vitalyevich Kantorovich) 소련, 찰링 C. 피만스(Tjalling Charles Koopmans), 미국.
주어진 경제적 목표를 최소비용으로 달성하기 위한 ‘희소자원의 최적배분에 대한 연구’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1976 밀턴 프리드먼(Milton Friedman), 미국.
자유방임주의를 옹호하는 프리드먼은 소비분석과 화폐이론, 그리고 경제 안정화에 대한 연구로 노벨 경제학상의 영광을 안았다.
●1977 베르틸 울린(Bertil Gotthard Ohlin) 스웨던, 제임스 미드(James Edward Meade) 영국.
국제무역이론에 대한 공헌으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1978 하버트 A. 사이먼 (Herbert Alexander Simon), 미국.
복잡성과 위험은 최소화하면서 이윤을 포함한 여러 경제적 변수를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획득하는 기업의 의사결정 이론에 대한 연구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1979 W. 아서 루이스(Sir William Arthur Lewis ), 영국.
개발도상국의 경제개발에 관한 연구와 교역조건에 관한 혁신적 모델을 제안한 업적으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1980 로렌스 R. 클레인(Lawrence Robert Klein), 미국.
국가경제, 지역경제, 세계경제에 대한 거시 계량경제 모형인 워턴 모형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 경제학상을 품에 안았다.
●1981 제임스 토빈(James Tobin) 미국.
금융시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실제적 가치를 지닌 ‘경험적 거시경제 이론’을 수립한 업적으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1982 조지 스티글러(George Joseph Stigler) 미국.
시장행동과 정부규제의 효과에 대한 예리하고 비정통적인 연구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1983 제라르 드르뢰(Gerald Debreu) 프랑스.
수요와 공급 균형을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하는 기법, 수요와 공급의 균형현상에 대한 수학적인 기초를 세우는 중요한 경제이론을 발달시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1984 리처드 스톤(Richard Stone) 영국.
국민경제활동, 나아가 국제적 규모의 경제활동을 추적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회계모형을 발전시켜 노벨 경제학상을 받을 스톤은 국민소득회계의 아버지라 불린다.
●1985 프랑코 모딜리아니(Franco Modigliani) 미국.
여러 가지 실용적인 경제 이론 분야에서 선구적인 연구 성과를 올린 모딜리아니는 가계저축과 금융시장의 동학에 관한 연구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1986 제임스 맥길 뷰캐넌 (James Mccgill Buchanan) 미국.
경제적, 정치적 의사결정을 분석하는 독특한 방법인 ‘공공부문의 선택이론’을 발전시킨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1987 로버트 M. 솔로(Robert Merton Solow) 미국.
국민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보여주는 수리 모형을 개발하면서 경제성장이론을 크게 발전시킨 공로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1988 모리스 알레(Maurice Allais) 프랑스.
거대 독점기업의 효율적인 가격결정과 자원배분을 제시하는 원리를 발전시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1989 크리그베 호벨모(Trygva Haavelmo) 노르웨이.
국민경제의 경로에 대한 쉬운 예측과 보다 정확한 경제정책 입안을 가능하게 해준 계량경제학 모형을 발전시킨 공로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1990 해리 M. 미코위치(Harry M. Markowite) 미국, 머턴 H. 밀러(Merton H. Miller) 미국, 윌리엄 F. 샤프(William F. Sharpe) 미국.
주식시장의 위험수익을 평가하고 기업의 주식 및 채권의 가치를 평가하는 이론을 내놓아 노벨 경제학상을 공동으로 수상했다.
●1991 로널드 H. 코스(Ronald H. Coase) 미국.
법률 연구에 경제원칙을 적용해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1992 게리 S. 베커(Gary S. Becker) 미국 , 더글라스 노스 미국.
사회학에 경제이론을 적용해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1993 로버트 W. 포겔(Robert W. Fogel) 미국, 더글라스 C. 노스(Douglass C. North) 미국.
세계 경제사에 공헌한 점을 인정받아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1994 존 C. 하사니(John C. Harsanyi) 미국, 존 F. 내시(John F. Nash Jr.) 미국, 라인하르트 젤텐(Reinhard Selten) 독일.
게임 이론을 개발해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1995 로버트 E. 루커스 2세(Robert E. Lucas Jr.) 미국.
합리적 기대 가설’을 발전, 적용시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1996 제임스 A. 멀리스(James A. Mirrlees) 영국, 월리엄 비크리(William Vickrey) 미국.
정보가 불균형한 상태에서의 경제적 인센티브에 대한 이론을 확립해 노벨 경제학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1997 아이런 새뮤얼 숄스(Myron S. Scholes) 미국, 로버트 C. 머턴(Robert C. Merton) 미국.
주식 옵션과 다른 파생물의 가치를 측정하는 방안을 제시해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1998 아미르티아 센(Amartya Sen) 인도.
복지경제학과 사회적 선택에 대한 연구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1999 먼델(Robert A. Mundell) 캐나다.
서로 다른 환율체제하의 통화, 재정 정책과 최적 통화지역 분석으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특히 재정․통화정책의 혼용에 관한 이론 개발에 선구적 역할을 했으며, 인플레와 이자율, 경제성장에 관한 이론, 국제수지에 대한 통화론적 접근 및 공급 경제학의 주창자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00 헥크만 (JAMES J. H ECKMAN), 미국 맥패든 (D ANIEL L. MCF ADDEN), 미국.
개인 및 가계의 행위 와 관련해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통계적 분석기법을 개발한 공로로 노벨상을 수상했다.
●2001 조지 애컬로만(George A. Akerlof) 미국, 마이클 스펜스(A. Michael Spence) 미국, 조지프 스티글리츠(Joseph E. Stiglitz) 미국.
시장 참여자들의 불균등한 정보 소유가 시장에 끼치는 영향 분석하여 노벨상을 수상했다.
●2002 버논 L. 스미스(Vernon L. Smith) 미국, 다니엘 카너먼(Daniel Kahneman) 미국.
실험경제학 분야 개척으로 노벨상을 수상했다.
●2003 로버트 F 엥글 미국, 클라이브 W J 그레인저 미국.
경제성장 지표와 가격 금리 등의 시계열 지표분석방법을 개선했다. 통계 분석 방법을 개선해 미래 예측의 정확성을 높인 공을 인정받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
'Guide Ear&Bird's Eye2 > 합리적 금욕과 소비는 플러스 투자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노조가입 근로자 수 갈수록 줄어 (Eng) (0) | 2007.03.04 |
---|---|
''차이나 증시 쇼크'' 하루새 시가총액 18조 날아가 (0) | 2007.02.28 |
[경제] 中외환보유고 1조달러 넘어 - 국제 금융 질서 교란될 위기 (eng) (0) | 2006.12.11 |
북한노동신문 "최근 남조선 경제는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경기 침체를 보이고 있다" (0) | 2006.12.05 |
달러화의 대 유로화 약세 계속 (0) | 2006.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