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북한 예술영화 <임진왜란> 보기 본문
조선예술영화 <임진왜란> 동영상 제1부: <<길은 빌리지못한다>> 보기
조선예술영화 <임진왜란> 동영상 제2부: <<홍의장군>> 보기
조선예술영화 <임진왜란> 동영상 제3부: <<김응서와 계월향>> 보기
첨부된 파일
축소도/다운로드 | 원래 파일명 | 류형 | 크기(K) | 설명 |
동작
*紅衣將軍 곽재우[郭再祐]
*김응서=김경서[金景瑞]
1564(명종 19)~1624(인조 2). 조선 중기의 무장. |
본관은 김해. 초명은 응서(應瑞), 자는 성보(聖甫). 무과에 급제하여 1588년(선조 21) 감찰(監察)이 되었다가 집안이 미천하여 파직당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다시 기용되어 수탄장(守灘將)으로 평양 방위전에서 대동강을 건너오는 적병을 막았다. 그해 8월에는 조방장(助防將)으로 2개월 전에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 군에게 점령당한 평양의 공략에 참가했다. 그뒤 평안도방어사로 승진했으며, 1593년 명나라 이여송(李如松)의 원군과 함께 평양성을 탈환하는 데 공을 세웠다. 전라도병마절도사가 되어 도원수 권율(權慄)의 밑에 있으면서 남원 등지의 도적을 소탕했다. 1595년 경상우도병마절도사로 있으면서 선조의 명에 따라 전사한 동래부사 송상현(宋象賢)의 관을 일본군이 점령하고 있는 지역에서 찾아왔으며, 일본군의 상황을 살피고 정보를 수집하는 등의 활동을 했다. 1603년 충청도병마절도사로 있다가 부정에 연루되어 파직되었으나, 전쟁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1604년 포도대장 겸 도정이 되었다. 1609년(광해군 1) 정주목사가 되었다. 그뒤 만포진첨절제사·북로방어사·길주목사·함경북도병마절도사·평안도병마절도사를 지냈다.
당시 건주(建州)의 누르하치[奴兒哈赤]가 무순(撫順)·청하(淸河) 등의 보(堡)를 함락시키자, 1619년 7월 명나라 조정은 조선에서 군사를 파견하기를 청했다. 조선은 사신을 보내어 "본국의 남쪽 변경에 변란이 있어 군사가 부족하다"고 거절의 뜻을 밝혔으나, 명나라 황제가 칙서를 내려 "속히 군사를 징발하여 토벌에 종사하는 공을 이루라"고 하자 5도도원수(五道都元帥)인 참판 강홍립(姜弘立)과 함께 부원수(副元帥)로 출전했다. 다음해 심하(深河)지방에서 전공을 세우기도 했으나, 명나라 군사가 살이호(薩爾滸)의 전투에서 대패하고 선천군수 김응하(金應河), 운산군수 이계종(李繼宗) 등이 전사했다. 강홍립과 함께 적진에 연락하여 조선과 후금은 본래 적대적인 관계가 아니었으며 출정은 부득이한 것이었다고 말하고 남은 병사와 함께 후금에 투항했다. 당시 강홍립은 출정 전에 형세를 보아 적당히 향배(向背)를 결정하라는 광해군의 밀명을 받고 있었다. 김경서는 적진에 있으면서 남몰래 적진의 사정을 일기에 자세하게 기록하여 조만간에 본국으로 보내려 했으나, 이러한 일을 강홍립이 적에게 고발하여 살해당했다. 우의정에 추증되고, 고향에 그의 충성을 표창하기 위하여 정문(旌門)이 세워졌다. 시호는 양의(襄毅)이다.
*계월향
계월향 桂月香 [?~1592]조선 중기의 평양(平壤) 명기(名妓).당시 평안도병마절도사 김응서(金應瑞)의 애첩이다. 임진왜란 때 왜장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부장(副將)에게 몸을 더럽히게 되자 적장(敵將)을 속여 김응서로 하여금 적장의 머리를 베게 한 뒤 자신은 자결하였다. |
'Guide Ear&Bird's Eye13 > 통일부 정책모니터링조사 패널(수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 예술영화 <춘향전> 보기 (0) | 2007.01.28 |
---|---|
북한영화 <흥부전> 보기 (0) | 2007.01.28 |
북한 예술영화 "임꺽정" 보기 (0) | 2007.01.28 |
남한 검찰, 편법 기금 수령 의혹 대북지원단체 수사 (0) | 2007.01.10 |
영국 기자가 본 북한 사람들 모습 (0) | 2006.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