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한나라당 "금강산관광대금 6억불 당.군 유입" 본문
Guide Ear&Bird's Eye/통일부 정책모니터링조사 패널(수집)
한나라당 "금강산관광대금 6억불 당.군 유입"
CIA Bear 허관(許灌) 2006. 10. 29. 18:35한 "금강산관광대금 6억불 당.군 유입"
(서울=연합뉴스) 추승호 기자 = 한나라당은 29일 지난 1998년 이후 금강산관광 사업 관련대금 6억달러 가량이 북한군과 노동당 등에 유입된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국회 국방위 소속 김학송(金鶴松), 재정경제위 소속 최경환(崔炅煥), 이혜훈(李惠薰) 의원은 이날 염창동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이 말했다.
김학송 의원 등은 현대아산이 금강산관광 대가로 지금까지 4억5천만 달러를 마카오의 방코델타아시아(BDA) 은행 북한계좌를 통해 북한으로 송금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사치품 구입 및 군비증강 등 북한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의 통치자금으로 사용된 의혹이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지난해 9월 미국의 BDA 북한계좌 동결조치 이후에는 오스트리아 소재 북한 대성은행 자회사인 금별은행, 중국인민은행과 조선중앙은행이 합작설립한 화려은행, 중국은행 마카오지점 대성은행 계좌 등 다른 은행 북한계좌로 금강산관광 대가가 송금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 등은 또 목란관, 옥류관, 고성회집 등 금강산관광단지내 시설의 수익금으로 추정되는 1억4천만 달러 정도가 조선백호무역총회사와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선전부를 거쳐 군비로 이용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금강산관광 사업은 형식적으로 북한 아태평화위와 민경련이 계약당사자이지만 실질 운영자는 조선백호무역총회사이며 이는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선전부 산하의 무역회사라고 이들은 덧붙였다.
특히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선전부 책임자는 북한 핵실험 주도 3인방중 한명으로 알려진 박재경 인민군 대장(총정치국 선전부국장)으로, 지난 2000년 9월 김 위원장의 추석선물인 칠보산 송이를 전달하기 위해 서울을 방문했던 인물이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 등은 김신조씨의 증언을 인용, 박 대장이 1968년 1.21 청와대 습격사건 당시 남파 무장공비 31명중 유일하게 북한으로 도주한 인물이며 송이 전달차 방한했을 당시, 국가정보원이 그의 무장공비 전력을 알면서도 묵인한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금강산관광 관련 대금 추정액 6억 달러 정도면 핵무기 4개 정도는 만들 수 있는 규모"라며 "금강산관광 수입이 핵개발 등 북한 군비증강에 전용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명확히 입증될 때까지 금강산관광 사업을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부는 해외 북한계좌로 송금된 내역을 국민에게 소상히 밝혀야 하고 국회는 한국은행 등 외환거래당국에 대한 현장검증을 통해 대북 송금사실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chu@yna.co.kr
(끝)
|
국회 국방위 소속 김학송(金鶴松), 재정경제위 소속 최경환(崔炅煥), 이혜훈(李惠薰) 의원은 이날 염창동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이 말했다.
김학송 의원 등은 현대아산이 금강산관광 대가로 지금까지 4억5천만 달러를 마카오의 방코델타아시아(BDA) 은행 북한계좌를 통해 북한으로 송금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사치품 구입 및 군비증강 등 북한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의 통치자금으로 사용된 의혹이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지난해 9월 미국의 BDA 북한계좌 동결조치 이후에는 오스트리아 소재 북한 대성은행 자회사인 금별은행, 중국인민은행과 조선중앙은행이 합작설립한 화려은행, 중국은행 마카오지점 대성은행 계좌 등 다른 은행 북한계좌로 금강산관광 대가가 송금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 등은 또 목란관, 옥류관, 고성회집 등 금강산관광단지내 시설의 수익금으로 추정되는 1억4천만 달러 정도가 조선백호무역총회사와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선전부를 거쳐 군비로 이용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금강산관광 사업은 형식적으로 북한 아태평화위와 민경련이 계약당사자이지만 실질 운영자는 조선백호무역총회사이며 이는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선전부 산하의 무역회사라고 이들은 덧붙였다.
특히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선전부 책임자는 북한 핵실험 주도 3인방중 한명으로 알려진 박재경 인민군 대장(총정치국 선전부국장)으로, 지난 2000년 9월 김 위원장의 추석선물인 칠보산 송이를 전달하기 위해 서울을 방문했던 인물이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 등은 김신조씨의 증언을 인용, 박 대장이 1968년 1.21 청와대 습격사건 당시 남파 무장공비 31명중 유일하게 북한으로 도주한 인물이며 송이 전달차 방한했을 당시, 국가정보원이 그의 무장공비 전력을 알면서도 묵인한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금강산관광 관련 대금 추정액 6억 달러 정도면 핵무기 4개 정도는 만들 수 있는 규모"라며 "금강산관광 수입이 핵개발 등 북한 군비증강에 전용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명확히 입증될 때까지 금강산관광 사업을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부는 해외 북한계좌로 송금된 내역을 국민에게 소상히 밝혀야 하고 국회는 한국은행 등 외환거래당국에 대한 현장검증을 통해 대북 송금사실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chu@yna.co.kr
(끝)
'Guide Ear&Bird's Eye13 > 통일부 정책모니터링조사 패널(수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北 올해 22차례 남북해운합의서 위반" (0) | 2006.11.01 |
---|---|
국제사회의 전직 지도자와 노벨평화상 수상자 등 유력인사 3명이 10월 30일 북한 인권보고서를 발표 (0) | 2006.10.31 |
이한구 "개성공단 대다수 입주기업 적자" (0) | 2006.10.29 |
유엔 대북제재위원장 ‘금강산, 개성공단 제재여부 논의할 것’ (0) | 2006.10.28 |
朝, 朝韓관계발전 입장 개변치 않아(중국 국제방송) (0) | 2006.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