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신임 인민군 총정치국장 김정각 인민군 차수(대장) 본문

Guide Ear&Bird's Eye/북한[PRK]

신임 인민군 총정치국장 김정각 인민군 차수(대장)

CIA Bear 허관(許灌) 2018. 2. 17. 19:06



북한 조선중앙TV가 8일 녹화 중계한 '건군절' 기념 열병식의 주석단에는 황병서에 이어 총정치국장에 오른 것으로 알려진 김정각이 등장했다. 사진은 나란히 경례를 받는 김정각과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

북한 군 서열 1위인 북한군 총정치국장에 황병서의 후임으로 김정각이 임명된 사실이 북한 매체에서 공식 확인됐다.

조선중앙통신은 9일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전날 개최된 '인민군 창건 70돌 경축 열병식' 소식을 전하는 기사에서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인 조선인민군 차수 김정각 동지"라고 언급했다.

김정각이 '군 총정치국장'으로 북한 매체에 호명된 것은 전임 총정치국장이었던 황병서가 북한 공식 보도에서 자취를 감춘 이후 처음이다.

김정각 신임 총정치국장은 8일 조선중앙TV의 열병식 실황 녹화중계에서도 리명수 군 총참모장과 함께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양옆에 서고, 김정은의 연설에 앞서 사회를 봐 새로운 위상이 간접 확인됐다.

이에 앞서 우리 국가정보원은 지난 5일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군 총정치국장에서 해임된 황병서의 후임으로 김정각이 임명된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했다.

황병서는 노동당 조직지도부의 주도로 이뤄진 군 총정치국에 대한 검열 결과 총정치국장에서 해임됐고, 현재 고급당학교에서 사상교육을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국정원은 밝힌 바 있다.

총정치국은 북한군 간부들에 대한 인사·검열·통제권을 틀어쥐고 군인들에 대한 사상교양 사업을 책임진 핵심 기관이다.

김정각은 이날 평양 4·25문화회관에서 열린 군 창건 70주년 경축 인민군 협주단 음악 무용 종합공연을 리명수 총참모장, 박영식 인민무력상, 리영길 총참모부 작전총국장 등과 함께 관람했다고 중앙통신은 별도 기사에서 전했다.

한편, 지난해 11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5'형 시험발사와 12월 군수공업대회 현장에 불참했던 리병철 당 군수공업부 제1부부장이 이번 열병식 주석단에 서 있는 모습이 중앙TV에 포착됐다.

북한의 전략무기 개발을 주도해온 리병철은 '육군 대장'(별 4개) 칭호를 부여받은 사실이 지난해 4월 확인된 바 있지만, 이날은 상장(별 3개) 계급장을 달고 있어 당시와 비교하면 계급 강등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리병철은 김락겸 전략군 사령관 바로 옆에 서 있어 김정은 위원장과도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자리했다

중앙통신은 열병식 기사에서 주석단 '특별석'에 자리 잡은 '당과 정부의 지도간부들' 중 한 명으로 리만건 전 당 군수공업부장을 언급하기도 했다.

군수공업부장 자리는 지난해 10월 열린 노동당 7기 2차 전원회의 이후 리만건에서 태종수로 바뀐 것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위와 같은 보도를 볼 때 리만건은 새로운 직책으로 이동해 업무를 수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




김정각(金正覺, 金鼎珏) 국방위원회 위원----- 총정치국장

김정각(金正閣, 1941720~ )은 북한의 정치인이다.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총정치국 제1부국장이자 정치국 후보위원이다

1941년 일제강점기에 평안남도 증산군에서 태어났다. 19598월 북한 인민군에 입대하여, 김일성군사종합대학을 졸업한 후 대대장, 군단 부사령관, 훈련소 참모장, 소장을 지냈다.그리고 인민무력부 부부장을 거쳐, 20073월부터 현재까지 총정치국 제1부국장으로 있었다.

20109월에 열린 조선로동당 대표회의에서 당중앙위원회 정치국 후보위원에 선임되었다

김정각은 조명록(1928~2010) 총정치국장이 재임 당시 병세가 악화한 2007년부터 제1부국장을 맡아 사실상 총국장 대행 역할을 했다.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 사망 당시인 2011년 12월에는 이른바 '운구 8인방'도 맡았다. 이듬해 4월에는 인민무력부장에 올라 승승장구했지만 7개월 만에 자리에서 물러났다. 덩달아 당 정치국 위원, 국방위원회 위원에서도 해임됐다. 2013년 4월에는 모교인 김일성군사종합대학 총장으로 자리를 옮기며 권력 일선에서 물러났다가 이번에 재기했다. 총정치국은 인민군 안의 당으로 불릴 정도로 권력이 막강하다. 군 간부들에 대한 인사·검열·통제권을 행사하고 군인들에 대한 사상교양 사업을 책임지고 있다.  

중앙통신은 이어 "총정치국장인 인민군 차수 김정각 동지, 총참모장인 인민군 차수 리명수 동지, 인민무력상 육군대장 박영식 동지를 비롯한 인민군 지휘성원과 대연합부대장들이 주석단에 등단했다"고 밝혔다.

 

o 현 직

- 인민군 총정치국 제1부국장, 인민군 대장, 당 중앙위 위원, 최고인민회의 제11기 대의원


o 현 직
- 인민군 총정치국 제1부국장, 인민군 대장, 당 중앙위 위원, 최고인민회의 제11기 대의원
o 출 생
1946년생
o 가족관계
o 주요경력
연도미상 김일성군사종합대학
1991.12 당 중앙위 후보위원
1992. 4 인민군 상장(군창건 60돌)
1992.12 당 중앙위 위원(6기 19차 전원회의)
1992.12 인민무력부 부부장
1994. 7 김일성 국가장의위원회 위원
1995. 2 오진우 국가장의위원회 위원
1998. 9 최고인민회의 제10기 대의원
1998. 9 인민무력성 부상
2000. 9 인민무력부 부부장
2000.10 당 창건 55돌 기념 열병식 열병총지휘관
2002. 4 인민군 대장
2003. 9 최고인민회의 제11기 대의원
2007. 인민군 총정치국 제1부국장
2008.10 박성철 국가장의위원회 위원 
o주요활동
2001. 1 신년 공동사설 과업 관철을 위한 인민무력부 궐기모임 토론 참석
2003. 9 김정일 국방위원장 재추대 경축대회 참석
2003. 9 정권수립 55돌 경축 열병식 및 군중시위 참석
2004. 1 신년공동사설 관철 관련 ‘반제군사전선을 철벽으로 사수하겠다’ 글 발표
2004.11 김일철, 우간다 대표단과 면담시 배석
2005. 3 식수절 기념 인민무력부 군인궐기모임에서 연설
2006. 2 주북 무관단을 위한 인민무력부 주최 연회에서 연설
2006. 4 김영남, 중국 국방부장(차오강촨)과 면담시 배석
2006. 5 김일철, 우간다 군사대표단과 면담시 배석
2006. 8 김정일 선군혁명영도 개시 46돌 경축 중앙보고대회 참석
2006. 9 정권수립 58돌 경축 중앙보고대회 참석
2006.10 핵실험성공 환영 군민대회 참석
2007. 3 김정일, 주북 중국대사관 방문시 수행
2007.10 정상회담 참가차 평양 방문한 노무현 대통령 영접(4.25문회화관 광장)
2007.10 농득마잉 베트남 공산당 총비서를 위한 김정일 주최 오찬 참석
2007.11 김정일, 조선인민군 제31차 군무자예술축전 공연 관람시 수행
2007.11 전국지식인대회 주석단으로 참석
2008. 3 김정일, 주북 중국대사관 방문시 수행
2008. 3 김정일, 국립교향악단 및 국가합창단 경축공연 관람시 수행
2008. 4 김정일, 인민군 제337연합부대 지휘부 시찰시 수행
2008. 4 김정일, 금수산기념궁전 참배시 수행
2008. 4 조선인민군 창건 76돌 경축 중앙보고대회 주석단으로 참석
2008. 7 김정일, 금수산기념궁전 방문시 수행
2008. 9 베트남인민군 고위정치일꾼 대표단과 면담
2008.11 김정일, 조선인민군 제32차 군무자예술축전 공연 관람시 수행
2008.12 김정일 인민군 최고사령관 17돌 경축 중앙보고대회 주석단으로 참석
2008.12 김정일, 공군 제1017군부대·제323군부대 지휘부 시찰시 수행

김정일 인민군 포병사령부 관하 제1489군부대 시찰시 수행(2009.1)
최고인민회의 제12기 대의원 후보자 추천을 위한 제333호선거구 선거자대회에서 토론(2009.2)
김정일 인민군 포병사령부관하 제681군부대 시찰시 수행(2009.2)
김정일 김일성정치대학 시찰 및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선거 참가시 수행(2009.3)
김정일 조선인민군 전초병열성자대회 참가자들 접견시 수행(2009.3)
최고인민회의 제12기 제1차회의 주석단으로 참석(2009.4)
김정일 김일성 생일 97회 기념 축포야회 ‘강성대국의 불보라’ 관람시 수행(2009.4)
김정일 인공위성 ‘광명성2호’의 성과적 발사에 공헌한 과학자 등 접견 및 기념촬영시 수행(2009.4)
조선인민군 정치일꾼대표단장으로 베트남 방문(2009.4.28~5.2)
농득마잉 베트남 공산당 총비서와 면담(2009.4)
김정일 김일성 사망 15주기 금수산기념궁전 참배시 수행(2009.7)
김일성 사망 15주기 중앙추모대회 주석단으로 참석(2009.7)
김정일 김정숙해군대학 시찰시 수행(2009.8)
김정일 연극 ‘네온등밑의 초병’ 공연 관람시 수행(2009.8)
김정일 해군 제597연합부대 종합기동훈련 참관시 수행(2009.9)
원자바오 중국 총리 방북시 공항영접, 가극 ‘홍루몽’ 북-중 친선의 해 폐막식 및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아리랑’ 관람(2009.10)
김정일 인민보안성예술선전대 공연관람시 수행(2009.11)
인민군 정치일꾼대표단장으로 중국 방문(2009.11.17~19)
김정일 해군 제587연합부대 지휘부 시찰시 수행(2009.11)
혁명투사 오중흡 사망 70주기 중앙추모회 주석단으로 참석(2009.12)
인민군 해군사령부협주단 공연 관람(2009.12)
김정일 최고사령관 추대 18돐 기념 중앙보고대회 주석단으로 참석(2009.12)
김정일 인민군 육 · 해 · 공군 합동훈련 참관시 수행(2010.1)
김정일 2월 5일 가극 '예브게니 오네긴' 공연 관람시 수행(2010.2)
2.8비날론연합기업소 준공 경축 함흥시 군중대회 참석(2010.3)
김정일 경희극 '산울림' 관람시 수행(2010.4)
김정일 전승절 즈음 공훈국가합창단의 경축 음악회 관람시 수행(2010.7)
김정일 새로 선거된 조선노동당 중앙지도기관 성원들 당대표자회 참가자들과 기념촬영시 참석(2010.9)
김정일 인민군 제851군부대 군인들의 협동훈련 참관시 수행(2010.10)
북한 군사대표단-중국 고위군사 대표단간 회담 참석(2011.11)
김정일, 중국군 고위군사 대표단(단장: 리지나이) 접견 및 만찬시 배석(2011.11)
김정은, 제105탱크사단 방문시 수행(2012. 1)
김정일 생일 70돐 중앙보고대회 참석(2012. 2)
김정은, 육해공군 합동타격훈련 지도시 영접(2012. 3)
김정일 사망 100일 중앙추모대회 참석(2012. 3)
최현 사망 30돐 중앙추모대회 추모사(2012. 4)
노동당 제4차 대표자회, 최고인민회의 제12기 제5차회의 주석단 참석(2012. 4)
김일성 생일 100돐 중앙보고대회, 열병식, 무장 장비관 개관식 등 참석(2012. 4)
인민군 창건 80돐 중앙보고대회 참석(2012. 4)
우간다 군사대표단 접견 및 담화(2012. 5)
창전거리 준공식 참석(2012. 6)
김정은, 능라인민유원지 준공식 참석(2012. 7)
조국해방전쟁승리 59돐 중앙보고대회 참석(2012. 7)
인민무력부 김일성 · 김정일 동상 제막식 참석(2012. 8)
김정일 선군영도시작 52돐 중앙보고대회에서 보고(2012. 8)
평양민속공원 준공식 참석(2012. 9)
공화국창건 64돐 중앙보고대회 참석(2012. 9)
김정일 당총비서 추대 15돐 중앙보고대회 참석(2012.10)
김일성군사종합대학창립 60돐 기념보고회 참석(2012.10)
김정일 사망 1돐 중앙추모대회 참석(2012.12)
김정은 최고사령관 추대 1돐 중앙보고대회 참석(20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