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중국, 북한 선박 입항 금지 조치 취한 듯' 본문
중국 르자오 항에 입항하려던 북한 선박이 입항을 거부당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지난 8일 보도했다. 중국 산둥성 르자오 항. (자료사진)
유엔의 새 결의에 따라 유엔 회원국 입항이 금지된 북한 원양해운관리회사 소속 선박들이 중국 입항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들 선박들은 중국 항구 근처를 맴돌거나, 상당수 북한으로 돌아가고 있는 모습이 포착됐습니다
중국 르자오 항에 입항하려던 북한 선박이 입항을 거부당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지난 8일 보도에서 르자오 항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중국 당국이 북한 화물선 ‘그랜드 카로’ 호에 정박 허가를 내주지 않았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적어도 두 척의 북한 선박이 중국 항구로부터 입항을 거부당한 상태로 해안가에 머물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랜드 카로 호 등 중국 항구에 입항하지 못하고 있는 선박들은 북한의 ‘원양해운관리회사’ 소속 선박 31 척의 일부로, 이들은 유엔의 새 대북 결의 2270호에 따라 유엔 회원국 입항이 전면 금지됐습니다.
실제로 ‘VOA’가 10일 선박의 입항 기록 등을 보여주는 민간 웹사이트 ‘마린 트래픽’ (MarineTraffic)’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현재 중국 항구 인근 해역을 맴돌고 있는 선박은 그랜드 카로 호와 골드 스타 3호, 려명 호 등 3 척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랜드 카로 호는 란샨 항에서 약 30km 떨어진 바다 한 가운데에 있고, 골드 스타 3호는 홍콩 항구에 10km까지 접근했다가 현재는 30km 바깥 해역에 떠 있습니다. 또 려명 호는 룽커우 항에서 약 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특히 마린 트래픽의 지도에는 이들의 과거 항로가 선으로 표시되는데, 이들은 꽤 오랜 시간 한 곳에 머문 듯 항로 선이 이들 선박을 중심으로 복잡하게 엉켜있습니다.
중국 정부가 이들 선박의 입항을 거부했고, 이 때문에 항구 주변을 맴돌고 있다는 추정을 가능하게 하는 대목입니다.
‘VOA’는 북한 선박에 대한 입항 거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유엔주재 중국대표부에 문의했지만 대표부는 “중국은 완전하게, 충실히 유엔 결의 2270호를 따를 것”이라는 훙레이 외교부 대변인의 발언을 참고하라고만 대답했습니다.
한편 원양해운관리회사 소유 31 척 중 지난 24시간 이내 위치가 파악되는 선박은 이들 3 척을 포함해 모두 8 척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중 1 척은 필리핀 정부 당국이 몰수를 결정한 진텅 호이고, 또 다른 1 척은 러시아 보스토치니 항구에 입항한 것으로 보이는 보통강 호입니다.
보통강 호는 한반도 시간으로 10일 오후 5시 현재 보스토치니 항에 입항한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실제 하역 작업이나 선원들의 승하선 등이 이뤄졌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VOA’는 보통강 호의 입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유엔주재 러시아대표부에 문의했지만 답변을 듣지 못했습니다.
그밖에 3 척은 모두 북한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것이 확인됐습니다.
특히 회령 호와 미림 2호는 서해상에서 중국을 출발해 북한 방향으로 가는 항로를 끝으로 레이더 망에서 사라졌습니다.
이들 역시 중국 입항 여부는 확인되지 않지만 항로를 추적해 보면 출발지가 항구가 아닌 항구 앞 바다로 나타나, 중국 측으로부터 입항이 거부당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 철령 호는 한반도 시간으로 10일 오전 11시께 대한해협 대마도 남쪽 해상에서 북동쪽으로 향하는 모습을 잠깐 나타냈습니다. 지난 2월22일 이후 행적이 묘연했던 철령 호는 선박자동식별장치 (AIS)를 끈 상태로 항해하다가 일본 해역을 지나면서 단 몇 시간 동안만 위치를 드러낸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이들 3척은 모두 북한 항구에 도착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VOA 뉴스 함지하 입니다.
북한 기항 제3국 선박 상당수 중국, 시에라리온, 캄보디아 국적
지난 2013년 7월 쿠바에서 신고하지 않은 무기를 싣고 항해하다 파나마 정부에 적발된 북한 선박 청천강 호. (자료사진)
한국 정부가 최근 발표한 대북 독자 제재에는 북한에 기항했던 제3국 선박의 입항을 금지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다. 이 때문에 북한을 입항하는 해외 선박들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데요. 국적은 중국, 이용 항구는 남포 항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북한에 입항했던 해외 선박 중 가장 많은 숫자를 차지하는 건 역시 중국 선박들이었습니다.
‘VOA’가 지난달 18일과 이달 9일, 선박의 입출항 기록을 보여주는 민간 웹사이트 ‘마린 트래픽’ (MarineTraffic)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북한 항구를 도착지로 예고한 해외 선박은 중국 선박이 두 번의 조사 기간 각각 13 척과 9 척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들 선박이 실제로 입항을 했는지 여부는 파악하기 어렵지만, 중국 선박들이 다른 국적 배에 비해 월등히 많이 북한을 입항 예정지로 둔 겁니다.
중국 선박들이 가장 많이 입항을 예고한 항구는 청진 항이었습니다. 지난달 18일 기준으로 중국 선박들은 청진 항에 10 척, 남포 항과 라선 항에 각각 2 척과 1 척씩 입항을 예고했고, 9일을 기준으로 했을 땐 9 척 모두 청진 항을 도착지로 지정했습니다.
중국 선박 외에 북한을 가장 활발히 드나든 건 시에라리온 선박이었습니다. 시에라리온을 국적으로 한 선박들은 9일을 기준으로 10 척, 지난달에는 4 척이 입항을 예고했습니다.
지난달 18일을 기준으로 했을 땐 파나마 선박과 뉴질랜드령 섬나라인 니우에 국적이 2 척, 캄보디아와 탄자니아, 러시아, 키리바시, 싱가포르, 라이베리아의 선박이 각각 1 척씩 최종 목적지를 북한 항구로 보고했습니다.
이달 조사에선 캄보디아 선박 5 척, 파나마 선박 2 척, 탄자니아와 일본 선박이 각각 1 척씩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번 두 번의 조사에서 집계된 총 56 척의 선박들은 화물선이 43 척으로 가장 많았고, 유조선은 10 척이었습니다.
항구 별로 살펴 보면, 이들 선박들의 움직임이 가장 활발한 곳은 남포 항이었습니다.
남포 항은 지난달 18일 조사에서 모두 15 척이 입항을 예고해 해외 선박이 가장 많은 곳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국 선박이 다수인 청진 항이 11 척, 이어 원산 항 5 척, 라선 항 2 척, 신포 항 1 척 순이었습니다.
한국 정부는 8일 유엔 안보리 대북 결의 2270 호에 따른 후속 조치로 독자적인 대북 제재 조치를 발표하면서 북한에 기항한 외국 선박에 대해 180일 이내 한국 입항을 전면 금지했습니다.
특히 제3국 국적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북한 소유 선박의 한국 입항은 기간과 상관 없이 불허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때문에 당장 이번 조사에서 드러난 해외 선박들은 한국 입항을 할 수 없게 될 것으로 보이지만, 이들 선박들이 북한 외에 한국을 기항해 왔는지 여부는 확인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다만 이번에 드러난 해외 선박들이 주로 중국과 북한을 오가는 것으로 나타난 점은 눈 여겨 볼 대목입니다. 서아프리카 국가나, 오세아니아 섬 나라, 캄보디아 등에 등록된 선박들도 실제로는 한반도 서해상을 운항하면서 중국을 왕복하고 있었습니다.
특히 탄자니아 선박인 ‘큰자리’ 호나, 캄보디아의 ‘전원67’호 등은 북한에서 통용되는 단어라는 점에서 실제 선주가 북한이라는 추정도 가능합니다.
현재 북한의 항구들은 선박의 입출항 정보를 외부에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이번 조사는 출발지 항구의 정보를 토대로 제한적으로 이뤄졌습니다.
‘마린트래픽’의 팀 소어 미디어 담당관은 9일 ‘VOA’와의 통화에서 북한 항구들이 선박자동식별장치 (AIS)의 수신기를 끈 것으로 추정되지만, 출발지 항구가 북한으로 향하는 선박의 목적지를 기록하면서 이들 선박의 정보가 공개됐다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 입니다.
'수소핵폭탄(핵탄두) 실험과 KN-08'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 킹 특사 "새 대북 제재, 북한에 타격 주기 시작" (0) | 2016.03.16 |
---|---|
China, Russia oppose DPRK's nuclear program (0) | 2016.03.12 |
러시아 전문가 "북한, 탄도 미사일에 핵탄두 장착 능력 없다" (0) | 2016.03.10 |
한국 대북제재, 북 지도부에 경고 의미 (0) | 2016.03.09 |
[인터뷰: 파네타 전 미 국방장관] "북한 공포정치, 혼란 조성...사드 1년 내 배치될 것" (0) | 2016.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