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동안 북한은 위성 발사를 위한 로켓 개발과 발사 실험을 해오고 있다. 그렇지만 유엔안전보장이사회는 미사일 실험에 북한이 핵탄두를 장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경제 재재를 감행했었다.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한국 국민, 사드 배치-개성공단 중단 과반수 찬성 본문
지난 2013년 9월 미군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인 '사드(THAAD)' 시험발사 장면. 사진 제공: 미 미사일방어청.
한반도 사드 배치로 북한 장거리 탄도 미사일(로켓) 인공위성과 지상레이다를 차단하거나 파괴하는 것이 필요하다[북한 군사용 로켓에게 동북아 지역 上空(상공, 높은 하늘)을 내어줄 필요는 없다]
한국 국민의 과반수가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와 개성공단 가동 전면 중단 조치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 ‘연합뉴스’와 ‘KBS’ 방송은 지난 11일부터 12일 여론 조사기관(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1천 13명으로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해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67.1%가 북한의 위협에 사드를 배치해야 한다고 답변했습니다. 반면 배치에 반대한 의견은 26.2%에 그쳤습니다.
또 개성공단 가동 전면 중단 조치가 “잘한 일”이라고 답한 응답은 54.4%, 지금처럼 가동해야 한다는 응답은 41.2% 로 나타났습니다.
북한의 핵 위협에 대응해 한국이 독자적인 핵무기 개발이나 미군 전술핵을 재배치해야 한다는 응답도 52.5%로 비핵화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 41.1% 보다 높게 나왔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도는 잘하고 있다는 긍정적 평가가 46%로 나왔습니다.
VOA 뉴스
*사드는 미국의 미사일 요격 체계 중 하나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로 번역한다. 탄도미사일이 발사됐을 때 인공위성과 지상 레이다에서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요격미사일을 발사시켜 40~150km의 높은 고도에서 직접 충돌하여 파괴하도록 설계됐다
한반도 사드 배치로 북한 장거리 탄도 미사일(로켓) 인공위성과 지상레이다를 차단하거나 파괴하는 것이 필요하다[북한 군사용 로켓에게 동북아 지역 上空(상공, 높은 하늘)을 내어줄 필요는 없다]
미사일이든 인공위성이든 로켓(추진체)으로 쏘아 올리는 원리는 같다. 단순화하면 장거리 미사일에 핵탄두를 탑재하면 핵미사일이 되는 것이고, 인공위성을 실으면 우주발사체가 된다. 발사체를 탄도 미사일로 바꾸려면 대기권 재진입시 고열과 고압을 견뎌낼 수 있는 특수제어장치가 필요하다. 발사체의 경우 탄도 미사일보다 더 높이 올라가야 하기 때문에 미사일보다 추진력이 더 높은 연료를 사용한다는 특이점도 있다
미군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인 '사드(THAAD)'
사거리 1만 킬로미터가 넘는 대륙간탄도미사일 '토폴-M'
사거리 1만 킬로미터가 넘는 대륙간탄도미사일 '토폴-M' 모습(사진)
러시아 모스크바의 붉은 광장에서 제2차 세계대전 승전 69주년을 맞아 대규모 군사행진에는 1만1천명의 병력과 70여대의 전투기, 탱크와 미사일, 핵 미사일, 전략폭격기등 이 등장해서 1시간 가량 군사력을 과시했고, 또 사거리 1만 킬로미터가 넘는 대륙간탄도미사일 '토폴-M'을 비롯한 신형 핵심무기들도 공개했습니다.
RT-2UTTKh 토폴-M(러시아 전략 로켓군)
RT-2UTTKh «토폴-M» (РТ-2УТТХ «Тополь-М»은 최근에 러시아가 배치한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이후 러시아가 최초로 개발한 대륙간 탄도 미사일이다.
이름을 보면 РТ는 "ракета твердотопливная," Raketa Tverdotoplivnaya ("고체연료 로켓")이란 뜻이며, УТТХ - 는 "улучшенные тактико-технические характеристики," uluchshenniye taktiko-tekhnicheskie kharakteristiki ("향상된 전략 및 기술적 특성")을 뜻한다. 마지막으로 "Topol" (тополь)은 러시아어로 사시나무를 뜻한다. 토폴-M의 디자인과 개발은 모스크바 열 공학 연구소(Moscow Institute of Thermal Technology)에서 하였으며, 봇킨스크 기계 생산 플랜트(Votkinsk Machine Building Plant)에서 생산하고 있다
1.특징
토폴-M 미사일은 콜드 런치 방식의 3단 고체연료를 사용하며, 사일로나 혹은 차량으로 발사할 수 있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이다. 토폴-M 미사일의 길이는 22.7 미터이며, 1단 로켓의 직경은 1.9미터이다. 미사일의 총 무게는 47,200 Kg이며, 여기엔 1,000 ~ 1,200 Kg의 재돌입 장치가 포함된다. 토폴-M은 800 킬로톤 핵무기를 하나 장착하고 있지만, MIRV 탄두도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 토폴-M의 최고 설계자인 유리 솔로모프(Yury Solomonov)는 토폴-M이 4~6개의 핵무기를 실을 수 있다고 한다. 토폴-M의 최소 사정거리는 2,000 Km이며, 최대 10,500 Km의 사정거리를 지니고 있다. 또한 글로나스 수신기가 장착된 관성 유도 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여러 러시아제 ICBM중에서 최고의 정확도라고 알려져 있으며, 이 미사일의 원형 공산 오차는 200m이다.
토폴-M은 강화 핵미사일 사일로에 배치될 수 있으며, 아님 16개의 바퀴가 달린 MZKT-79221 차량 발사대에도 배치될 수 있다. MZKT-79221은 길이 없는 지형에서도 움직일 수 있으며, 가는 길 중 어느 곳에서도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 토폴-M의 사일로 발사형의 이름은 RS-12M2로 믿어지고, 차량 발사형의 이름은 RS-12M1로 믿어진다.토폴-M 미사일의 1단 로켓 모터는 두 기술을 연구하는 소유즈 연방 센터에서 개발되었다. 토폴-M은 다른 ICBM보다 훨씬 높은 가속력을 갖고 있다. 토폴-M은 7,320 m/s의 속도로 가속할 수 있고, 탄도 궤도중 수평 궤도에선 10,000 km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다.
또한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미사일이기 때문에 신속하게 발사할 수 있다.
2.개발과 전력화
1968년 RT-2(SS-13, 사일로), 1972년 RT-2P(SS-14, 트럭), 1988년 RT-2PM 토폴(SS-25, 트럭), 1997년 RT-2UTTKh 토폴-M(SS-27, 트럭)이 실전배치되었다.
토폴-M 미사일의 개발은 1980년대 말에 SS-25 토폴의 혁신적인 업그레이드로 출발하였으며, 1992년에 재디자인 되었다. 최초의 비행 테스트는 1994년 12월 20일에 실시하였으며, 1997년 12월 SS-19 사일로를 고친 사일로에 전력화 되었다. 그 후 1998년 최초의 사일로 기반 부대가 작전에 들어갔음이 공포되었으며, 그 후 1999년, 2000년, 2003년에 공포 되었다.
그리고 2006년 12월 12일, 최초의 차량 발사형 토폴-M 미사일 시스템이 Teykovo 근처 마을에서 임무에 들어갔다.
2010년 말 러시아의 전략 로켓군은 70기의 토폴-M 미사일을 운영하고 있는데, 그중 52개는 사일로 발사형이었고, 18기가 차량 발사형이었다. 또한 8기의 토폴-M 미사일이 2011~2012년중에 전략 로켓군의 운영목록에 포함될 예정이다.
러시아 전략로켓군 편제에서 전력화 된 토폴-M 미사일:
-근위 미사일 27군 (HQ: 블라디미르)
(1)Tatishchevo 근방의 60 미사일 사단 - 52기의 사일로 발사형 토폴-M
(2)Teykovo 근방의 54 근위 미사일 사단 - 18기의 차량 발사형 토폴-M
3.미사일 방어 회피 능력
러시아는 이 미사일을 미국의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무력화시킬 수 있게 설계하였다 여기엔 재돌입 장치가 MD 단계의 최후 파괴단계의 회피 책략과 더불어 목표에 대한 전자방해책과 더불어 디코이도 포함된다. 또한 재돌입 장치는 방사능과 전자기 펄스, 500m 이상의 핵 폭발에도 버티며, 어떠한 레이저 기술에 대해서도 살아남는다.
토폴-M은 특별한 특징을 갖고 있는데, 발진 단계에서 토폴-M의 엔진을 짧게 가동한후 꺼버리는 것으로 이로 인해서 조기경보 위성에 잡힐 확률을 줄여 상승 단계에서 조기경보와 더불어 미사일 방어 시스템의 방어를 복잡하게 만들어 버린다. 또한 토폴-M은 수평 탄도 궤도를 가져, 방어를 어렵게 만든다.
러시아는 재돌입 장치의 회피 실험에 성공하였다. 이 미사일은 2005년 11월 1일에 러시아의 우주센터인 카푸스틴 야르에서 발사되었다. 이 미사일의 탄두는 발사되고 탄두가 분리될 때 궤도를 바꾸어 재돌입 궤도를 버꾸어 재돌입 궤도 예측을 어렵게 한다.
4.운영
2010년 러시아 전략 로켓군에서만 운영하고 있으며, 70기의 토폴-M 미사일을 배치하고 있다
2010년 모스크바 승전 기념일 퍼레이드 리허설 중인 토폴-M 발사 차량
상트페테르부르크 포병 박물관의 토폴/토폴-M의 발사 지원 차량
상트페테르부르크 포병 박물관의 토폴/토폴-M의 대류권 중계 차량
*토폴-M
1.개요
"향상된"이라는 이름값에 걸맞게, 최고의 성능을 가지고 있다. MD도 뚫어버리는 괴물. 미국-러시아를 통틀어 현역 ICBM중에선 가장 늦게(1997년) 개발된 덕분이기도 하다. 속도는 초속 7,320m(시속 26,350km), 항속거리는 11,000km.
CEP는 SS-18보다 20m 낮은 200m이다. 하지만 이 부분은 러시아와 서방측의 CEP 산출방식이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이는 한국 국방과학연구소의 웹진 <재미로 읽는 미사일 이야기>에서 언급한 사항이기도 하다.
2.성능
3.관련 게임
북한, 국제우주연맹(IAF) 회원국 승인될 듯
조선(북한) 국가우주개발국 (NADA)이 IAF 총회에서 회원국에 오를 수 있도록 승인된 상태라고 북한 전문 매체인 NK뉴스가 보도했다.
NK뉴스는 제66회 국제우주연맹(IAF) 연례 총회에서 회원국에 오를 수 있도록 승인이 이뤄졌다고 보도했다. 이 언론은 IAF 총회 이스라엘 참가자 가운데 한 명의 말을 인용해 북한은 대표단이 오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 이에 대해 모른다고 전했다. IAF는 '평화적인 목적의 우주 항행 개발을 적극 지원한다'는 목적에서 우주 분야와 관련해 모든 국가에 대해 1951년부터 멤버십을 제공해 왔다.
북 NADA가 가입되는 것은 북한의 우주 개발이 평화적인 성격이며 국제사회에 정당성을 인정받는 것을 달성하는 것이다. 북한은 2012년 마지막 로켓 발사를 감행했었으며 이에 따라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사항 위반으로 국제사회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미사일이든 인공위성이든 로켓(추진체)으로 쏘아 올리는 원리는 같다. 단순화하면 장거리 미사일에 핵탄두를 탑재하면 핵미사일이 되는 것이고, 인공위성을 실으면 우주발사체가 된다.
-sputniknews[sputnik 코리아]-
'수소핵폭탄(핵탄두) 실험과 KN-08'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문가 ''이란 러시아 도움으로 미사일방위체제 설치 관심'' (0) | 2016.02.16 |
---|---|
북한 미사일 진행 강경 노선 (0) | 2016.02.15 |
개성공단 근로자 급여 70% 북한 노동당 서기실 39호실 상납 그리고 일부는 김정은 비자금으로 사용 (0) | 2016.02.14 |
한미 '안보리 끝장결의' 공조…케리 "개성공단 용기있는 조치" (0) | 2016.02.13 |
미 상원 이어 하원, 대북제재법안 압도적 채택 (0) | 2016.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