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주례동(周禮洞)은 두리마을(두레마을)을 의미합니다 본문
주례동(周禮洞)은 두리마을(두레마을)을 의미합니다
CIA Bear 허관(許灌) 2009. 6. 25. 15:46주례동(周禮洞)은 '주례(周禮)'라는 말의 어원은 '두리'로 파악되고 있다. '두'와 '주' 가 같은 음이며 '리'가 '례'로 적힌 예도 있다. '두리?도리'는 지명이 되어 불리우는 경우 대개 '주'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周-두루 주, 禮-예절 례)
몇 가지 예를 들면 충청도의 주현(周?), 주성산(周城山), 강원도의 주진(周津), 전라도의 주로치(周路峙), 함경도의 주원(周原) 등이 그것이다.
또한『삼국사기』김유신전에는 일작 두솔(兜率)이라고 적혀 있다. 따라서 '두리, 두루‥'에서 온 이름임을 알 수 있다. '두레'는 한 마을의 농사를 힘을 합하여 이른바 '품앗이'를 하고 농악을 중심으로 결속하며 농촌사회의 공동체를 이루는 단체였으며 이 '두레'가 한자로 표기된 것이 '주례'가 된 것이라 생각한다.
『동래부지(1740)』에 보면, 사천면 상단(上端) 주례리(周禮里)라 하여 부의 남쪽 30리에 위치하고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주례동의 위치가 동평현의 현치(?治)가 있던 곳에서 서쪽으로 나오다 낙동강변으로 도는 곳에 있으므로 해서 이런 마을이름이 붙었다고 하고, 또 낙동강변에 있기 때문에 변(邊) 즉 가(邊)라고 하여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할 수 있다.
1978년 11월 시조례에 의해 주례1,2동으로 분동, 1992년 아파트의 신축 등으로 인한 인구증가로 주례1동은 주례1,3동으로 분동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두레(두리)
두레는 조선 후기 이앙법이 전개되면서 보편적인 농민생활풍습으로 정착되었으며 농민문화의 풍물을 발전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두레싸움·두레밥·두레기·두레놀이·풍습 같은 농민생활풍습의 바탕이 되기도 했다. 두레는 소농경영(小農經營)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조직되었으므로 공동노동으로서의 진취성과 농민들의 자주적 성격이 매우 강한 긍정적인 조직이었으며, 두레의 상부상조 전통은 아름다운 미풍양속으로 자리잡았다.[두리는 "두레"의 방언(경남)]
*주례(周禮)
'Guide Ear&Bird's Eye3 > 머리소리함 32년 경력자 허관(許灌)' 카테고리의 다른 글
溫家寶:只有有信心 我們這個國家才有新希望 (0) | 2009.07.05 |
---|---|
150th anniversary of International Red Cross and Red Crescent Movement (0) | 2009.07.03 |
한국 광주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개최권 취득 (0) | 2009.05.24 |
▼“항만-공항-철도 천혜 조건 국가발전 성장 동력 될 것” 허남식부산시장 (0) | 2009.03.13 |
부산시 `문화도시 주춧돌' 부산문화재단 출범 (0) | 2009.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