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일본, 새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 '다케시마는 일본의 고유 영토'라고 기술 본문

->제1, 2, 3공화국 구분(북한역사)/許灌 머리소리함의 漢文, 漢字書堂

일본, 새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 '다케시마는 일본의 고유 영토'라고 기술

CIA Bear 허관(許灌) 2008. 5. 19. 20:27

독도(獨島)의 개요(槪要)와 주요 자료 그리고 지형학적 역사적 언어학적 입장에서 독도는 한국 땅. 북위 37도 14분 18초. 동경 131도 52분 22초 지점(한국 동해 최동단에 있는 섬) 한국 울릉도 섬에서는 88km이고 일본 오끼군도(섬)에서는 158km 거리이다 울릉도에서는 독도의 조망이 가능하나 일본 오끼섬에서는 조망이 불가능하다(아래 자료 발췌, 역사학자 허관 씀) 

 

일본과 한국이 서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는 다케시마 한국명 독도에 대해 일본 문부과학성은 4년후부터 실시될 중학교의 새로운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 '일본의 고유 영토'로 명기할 방침을 굳혔습니다.

4년후부터 시작되는 중학교의 새로운 학습지도요령에는 종전대로 북방영토에 대해서는 일본의 영토라고 지도하도록 명기돼 있으나 다케시마에 대한 기술은 없습니다.

그러나 일본정부가 '역사적인 사실에 비춰 다케시마는 일본의 고유 영토'라는 자세를 일관해서 취하고 있어 문부과학성은 오는 7월에 공표될 새로운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 다케시마를 '일본의 영토'로 명기할 방침을 굳혔습니다.

학습지도요령 해설서는 교사가 지도할 때 사용하는 지침서로 교과서도 이에 기초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다케시마를 일본의 영토라고 기술한 교과서가 앞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대해 문부과학성의 제니야 마사미 사무차관은 오늘 기자회견에서 해설서에서 다케시마를 어떻게 다룰지는 검토중이라고 말하는데 그쳤습니다.(NHK)

http://www.nhk.or.jp/nhkworld/korean/top/news8.html


 

 

 

 

 

*독도(獨島)의 개요(槪要)와 주요 자료 그리고 지형학적 역사적 언어학적 입장에서 독도는 한국 땅. 스팸신고

1.독도(獨島)의 개요(槪要)
(1)위치
북위 37도 14분 18초. 동경 131도 52분 22초 지점(한국 동해 최동단에 있는 섬)
한국 울릉도 섬에서는 88km이고 일본 오끼군도(섬)에서는 158km 거리이다
울릉도에서는 독도의 조망이 가능하나 일본 오끼섬에서는 조망이 불가능하다
(2)행정구역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산 1-37번지
(3)면적----5만 6301평(18만 6,121평방m)
ㄱ.독도는 동도(東島)와 서도(西島)라는 2개의 섬과 주위에 흩어져 있는 36개의 암도(巖島)와 암초로 이루어져 있다 암도나 암초들은 각각 가제바위, 독립문 바위, 구멍바위, 지네바위,미륵바위등의 이름들이 붙어 있다 이렇게 볼때 독도는 아주 작은 규모의 바위 군도라고 하겠다
(ㄱ)동도(東島)
동도의 면적은 6만 4,800평방m이고 최고 높이 99.4m의 섬으로 꼭대기의 비교적 평탄한 부분에 등대. 경비초소등이 설치되어 있다
-울릉도 경찰서 독도경비대 대원 근무
(ㄴ)서도(西島)
서도의 면적은 9만 5400평방m이고 최고높이 174m로 가장 크고 높은 섬이나 산정이 뾰족하고 사면 경사가 급하여 장비 없이는 오를 수 없다
-서도에는 주민 김성도 외 그의 가족 1명 거주
ㄴ.독도 땅 1평의 최고 31만원 공시지가 첫 경북 울릉군은 2000년 7월 4일 독도의 땅값(공시지가)을 산정 발표했다 34개 섬으로 이뤄진 독도의 총면적은 5만 4천 7백 22평으로 이번에 확정된 공시지가를 적용할 경우 독도 전체의 땅값은 2억 6천 2백 92만 1천여원이며 한평의 가격은 평균 4천 8백 4원이다 가장 비싼 곳은 접안 시설이 있는 독도리 산 27. 28번지와 헬기장이 있는 산 35번지 평지로 31만 4천 51원이다
(3)인구(주민)
주민으로는 서도에는 김성도외 그의 가족 1명이 전입해 살고 있고 동도에는 울릉경찰서 독도 경비대 대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4)자연환경
ㄱ.지질. 지형. 기후
(ㄱ)독도(獨島)는 석도(石島, 돌섬)이라고 한다 많은 바위로 이루어져 있는 암도(巖島)와 암초이다
(ㄴ)비가 자주 내리고 있으며 늘 거센 파도가 출렁거리고 바람이 심하다
(ㄷ)1965년에 서도의 동북쪽에 해안에 있는 약 5미터 높이의 한 동굴에서 하루 10드럼 정도의 맑은 물이 나오는 것으로 발견됐다 그 이후 이 물로 이곳에 조업하는 어민들은 물론 바다에서 조업하는 어민들의 식수로 사용하고 있다
(ㄹ)독도에는 나무와 풀이 제대로 살수 없는 곳이다 나무의 겨우, 소나무과와 장미과 및 노박덩굴과등 세 종류로 목본식물이 자라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ㄴ.생태. 해류
(ㄱ)소나무과와 장미과 및 노박덩굴과 등 세 종류가 분포하고 있으며 초본식물 여뀌과와 명아주과 및 질경이과등 �몇종이 비탈이 완만한 곳에 분포하고 있다 그러나 분포는 돌섬으로 비약하다
(ㄴ)독도에는 많은 새들이 모여 살고 있다 바다제비, 슴새, 괭이갈매기, 황초롱이, 물수리, 노랑지빠귀등이 대표적이다 바다제비와 슴새 및 괭이갈매기의 번식지는 천연기념물 제336호로 지정돼 있다 흔히 괭이갈매기를 천연기념물 제336호라고 말한다
(ㄷ)곤충류로는 잠자리, 집게벌레, 메뚜기, 매미, 딱정벌레, 파리, 나비등 7목 26과 37종이 보고되어 있다 국내에서 독도에서만 발견되는 것도 3종이 있다
(ㄹ)독도에서 서식하는 자연산 육상 포유류는 전혀 없다 경비대가 1973년에 본토에서 토끼 열마리를 가져다가 놓아먹인 것이 지금은 번식해 그 수가 매우 많아졌다
ㄷ.어업환경
(ㄱ)독도의 주변 바다 암초에는 물개가 서식하고 있다 이 물개를 울릉도 주민들은 가제라고 부른다 이 때문에 한때 독도를 가제도라고 부르고 한문으로 가지도(可支島)라고 썼다 서도 북쪽에 있는 가제바위도 물개가 자주 나타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아직도 가제가 많이 분포하고 있다
(ㄴ)독도의 주변에는 많은 수산 자원들이 있다 전복. 소라. 게. 홍합등이 대표적인 보기들이다 미역과 다시마등 해조류도 다양하다
독도나 울릉도에 6월 7월에 가장 많이 포획되는 것은 오징어이다
괭이 갈매기 먹이가 오징어이다 그러니 독도주변에는 오징어와 괭이 갈매기가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다

(5)역사
독도와 울릉도는 모자(모자) 관계에 있는 섬이고 오랫동안 무인도로 있었으므로 그 역사를 살피기 위해서는 울릉도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울릉도가 고려현종 이후 중앙정부의 지배를 받게 되면서 관원이 여러 차례 파견되었고 조선시대에도 자주 관원이 파견되어 동해상에 울릉과 우산(독도) 2섬이 있다는 것이 더욱 분명해졌다
그러나 왜구의 침입을 예방하기 위한 공도정책으로 한동안 주목의 대상에서 벗어나 있다가 17세기말 일본에 피랍된 동래의 어부 안용복의 울릉도 영유권 주장을 계기로 다시 관심을 끌게 되었다 안용복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1697년 대마도 도주(島主)가 일본 어민의 울릉도 어로활동을 금지한다는 일본 바쿠후(幕府)의 결정을 알려주어면서 울릉도 영유권 분규는 일단 매듭지어졌다
그러다가 1881년 일본인이 다시 울릉도를 왕래하자 조선은 일본에 항의하는 한편 울릉도 개척에 착수하여 이듬해 4월에 16가구가 54명을 울릉도에 이주시켰다
1901년(고종 38년)에는 울릉도를 울도(鬱島) 개칭하고 울도군의 관할구역에 석도(石島)를 포함시켰다 석도를 훈독(訓讀)하면 독섬 또는 돌섬이 되는데 지금도 울릉도 주민들은 독도를 이렇게 부른다
1905년 1월 일본은 시마네현(島根懸) 고시 제40호로써 독도를 죽도(竹島)로 명명하고 일본 영토에 편입시켰다 이에 참정대신 박제순이 지령을 퉁해 독도가 대한제국 영토임을 명백히 했으나 당시 한국의 외교권이 일본에 접수된 상태였으므로 독도의 영유권과 관련한 외교교섭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그 뒤 울릉도는 1907년 교통상의 편의를 이유로 강원도에서 경상남도로 이속되었고 1914년 다시 경상북도로 이속되었다
일본정부가 제2차대전에서 패배한 후 침략으로 약탈한 독도가 제2차대전의 전후 처리과정을 통해 한국의 독립 및 주권의 회복과 동시에 법적으로도 원상회복이 되었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1996년 들어 독도에 안전하게 물자를 공급하고 독도경비대를 설치하기 위하여 독도 접안지설을 설치 장기적으로 울릉도 주민이 독도에 터전을 잡도록 하였다
-1996년 1월 제336호 독도관리지침--문화재관리청
이 지침은 천연기념물 제336호 독도내 입도, 시설물 설치 및 관리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정함으로써 국가 유산인 독도를 효율적으로 보존하고자 함
-동해안 울릉도나 독도는 군사적으로 별 가치가 없고 대마도가 누가 점령하고 있는가에 따라서 많은 영향력을 받고 있다 대마도는 동해안 진입로이다 대마도는 인구 10만에서 5만명까지 거주할 수 있는 섬이다
러.일전쟁때 군사적 기지로 사용한 섬이 대마도 있고 대마도의 해군병력으로 러시아 군함을 격침했다 울릉도나 독도는 군함 기지로 사용할 수 없으며 대마도는 군함기지로 사용할 수 있다
항공모함이 바다를 장악하고 있는 요즘에서는 큰 섬이 아닌 한 군사적 가치는 별로 없다
제주도와 거제도 그리고 대마도등은 군사적 경제적 가치가 높이 평가하고 있다

(6)독도(獨島)의 다른 명칭
ㄱ.한국
(ㄱ)조선 말기 고종이전---삼봉도(三峰島). 우산도(于山島). 가지도(可支島)
(ㄴ)고종 18년 1881년 이후---독도(獨島)
1901년(고종)에 울릉도를 울도(鬱島)로 개칭하고 울도군의 관할구역에 석도(石島)를 포함시켰다 석도(石島)를 훈독(訓讀)하면 독섬 또는 돌섬이 되었는데 지금도 울릉도 주민들은 독도를 이렇게 부른다
*鬱--막힐 울(鬱)
ㄴ.일본---다케시마(竹島). 마쓰시마(松島)
*竹-대 죽(竹)
*松-소나무 송(松)
-독도에는 소나무등은 있지만 대나무는 거의 없다
ㄷ.영국----호넷(Hornet) 이름으로 해도 기입
독도를 발견한 영국 호넷선박을 본뜬 이름
ㄹ.프랑스--리앙쿠르(Liancourt)
독도를 발견한 프랑스 리앙쿠르 선박을 본뜬 이름

2. 독도는 지형적 역사적 언어학적 입장에서 한국 땅
(1)지형학적 입장 독도
ㄱ.한반도 울진군 죽변과 독도 거리 127km
ㄴ.울릉도와 독도 거리 88km(약 49 해리에서 59해리)
-한반도 죽변과 울릉도 거리 131km-
ㄷ.일본 오끼군도와 독도 거리 158km(약 87해리)
ㄹ.일본 도근현(島根懸:시마네현)과 독도의 거리 210km

독도의 지형학적으로 한국 땅이라는 입장 자료
독도는 일본 오키섬(오끼군도)보다 대한민국의 울릉도에 68km나 더 가까운 것이다
지형학적으로 독도는 한국 땅이다

(2)역사학적 입장 독도
독도는 한국사에 편입한 것은 13세기 조선초라면 일본사에 편입된 것은 17세전후이다 한국정부는 그 시기에 대마도까지 점령한 태종과 세종 시기로 일본 열도까지도 한반도 굴욕의 시대였다
일본이 독도을 일본역사로 취급한 시기는 임진왜란 시기로 그 후 대마도와 각 연안지역을 점령하였다 독도는 울릉도의 한 부분의 섬에 불과하다
대마도는 언어학적으로 일본어를 사용하지만 19세기 근대이전까지는 자치국가로 운영되어왔다

(3)언어학적 입장 독도
독도에 거주하는 분은 언어학적으로 한국어를 사용하는 분이다
지형학적으로 대마도는 부산에서 45km이고 부산에서 선박으로 40분 거리이다 그러지만 대마도 주민들은 일본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본 영토이다
한국이 소련과 미국 도움이 없이 자주적 독립국가로 탄생했다면 대마도는 한국영토로 편입되었을 것이며 지금쯤 대마도 주민들 대부분은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을 것이다
(4)한국정부의 독도 영유권 근거
ㄱ.한국측 사료
(ㄱ)숙종실록, 1728년
안용복이 독도에 머무르고 있던 일본 어민들에게 이 섬에 출입하지 말 것을 경고하고 일본정부에 항의하기 위해 일본에 두번 건너간 사실을 기록
(ㄴ)정조실록, 1805년
안용복 사건 이후 울릉도, 가지도(독도)에 3년마다 <수토관> 파견 사실 기록
(ㄷ)대한제국 칙령 제41호, 1900년
울도(울릉도의 군 명칭)는 울릉도, 죽도와 석도(독도)를 관할한다고 규정
ㄴ.일본측 자료
(ㄱ)朝鮮國交際始末來探書(조선국교제시말래탐서), 일본 명치정부 외무성 자료. 1869-1870년
울릉도와 독도는 朝鮮附屬領(조선부속령)임을 확인
(ㄴ)일본 명치정부(明治政府) 내무성 자료, 1877년
독도는 명백하게 조선영토이며 일본과는 관계없는 곳이라고 결정
(ㄷ)<조선동해안도, 일본해군성 1876년> <일본전쟁실기, 동경박물관 1905년> <지도구역일람도, 일본육군참모본부 1936년>
독도를 한국 영토로 표기
ㄷ.국제선언 및 조약
(ㄱ)연합국 최고사령부 지령 1946년
이 령의 목적상 일본은 일본의 4개 주요 도서..를 포함하는 겻으로 정의되며..울릉도와 독도 그리고 제주도는 제외한다(제677호)
일본 선박과 선원의 독도 접근을 금지(제1033호)
(ㄴ)샌프란시스코 대일강화조약 제2조(a) 1951년
일본은 한국의 독립을 승인하고 제주도. 거문도 및 울릉도를 포함한 한국에 대한 모든 권리, 권원(權原) 및 청구권을 포기한다 규정
한국인은 간도와 만주로 이주하여 살아가기를 원했고 중국인들은 대륙에서 살아가기를 원했다 그러니 한국은 대마도를 소홀히 했고 중국은 대만을 소홀히 했다
그러니 대마도와 대만은 일본 통일국가 영향력에 들어가게 되었다

1945년 8월 이후 2차대전 종결 원칙에 따라 유엔입장을 존중하는 바탕으로 국경선을 획정하는 것이 올바른다 독도은 언어학상으로 한국 영토이며 대마도는 일본 영토이다


3.자료
(1)독도역사찾기운동 본부
http://www.dokdocenter.org
(2)코리아 독도---언론사. 독도자료실, 독도현황 소개
http://www.koreadokdo.org
(3)"독도 화보집" 독도 유일 민가
http://script.imnews.imbc.com/news/photoNews/pn_content.asp?content_id=6552
어민들의 대피소, 휴게소 역할을 하기도 했던 이 집은 <87년 여름> 태풍으로 파손되어 지금은 다소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좌측상단에 고(故) 최종덕 선생이 앉아 있다
(4)일본정부내 독도 전문가인 나이토세이추(來藤正中) 시마네대학 명예 교수의 말
일본은 1905년 독도를 영토로 편입했을 때 무주지선점(無主地先占-주인없는 땅을 먼저 점거)이론을 적용했지만 한국은 1900년 칙령으로 독도가 울릉도 지역임을 명확히 했다 현(縣) 의회(議會)의 고유 영토 주장은 문제가 많을 뿐 아니라 현민(縣民)들을 납득시키기도 어렵다 시마네현이 1976년 독도를 현(縣)에 포함시키기 위해 막부에 조회를 요청했을때 당시 막부의 태정관은 다케시마(당시 울릉도)와 작은 섬(독도)은 우리와 관계가 없다고 회답한 적도 있다
(5)미국 CIA "일본, 평화조약에 독도 포기 최종 결정"
http://www.yonhapnews.co.kr/news/20050324/040301000020050324140722K9.html
일본은 지난 1951년 9월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에서 독도를 포기하기로 최종적으로 결정하고도 두 달 뒤 한국전쟁의 혼란을 틈타 첫 독도분쟁을 야기한 것으로 당시 미국중앙정보국(CIA)가 파악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 같은 사실은 미국국립문서보관소에 보관된 1951년 11월 30일자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일일요약보고서(Daily Digest)에 나타나 있다 (역사학자 허관 씀)

 

 

 

 

 

 *대마도(對馬島) 개요(槪要)와 군사적 가치 그리고 주요 자료

1.대마도 개요(槪要)
대마도는 한반도와 일본 규수(九州) 사이의 바다에 있는 섬이다
대마도의 면적은 706.43평방km이고 인구는 4만 5,000명(1993년)이다
대마도는 6개의 유인도와 70여개의 무인도로 이루어져 있다
행정상 나가사키현(長崎縣)에 속하며 주로 사암(砂岩)으로 구성된 완만한 산지로 섬 중앙부의 아소만을 기준으로 남쪽을 우에시마(上島), 북쪽을 시타시마(下島)라고 한다
중세 이후 소씨(宗氏)의 지배지였던 이즈하라(嚴原)는 소씨의 성곽을 중심으로 발달한 소도읍으로서 한국과의 무역항이었으며 동해의 출입구로서 대륙과의 교통. 군사상 중요지점이었다
제2차대전 때에는 이 섬 전체가 요새지대였으며 특히 러.일전쟁 때의 쓰시마해전은 유명하다 동해안에서는 오징어잡이, 아소만에서는 진주양식이 활발하다
농업은 자급적 성격이 강하고 논은 대부분 간척지이다
일찍이 목탄. 납. 아연등을 생산했으나 지금은 조림과 표고버섯재배를 하고 있다
중심 취락지는 우에시마의 이즈하라와 시타시마의 히타카쓰(比田勝)이며, 하카다(博多)와 고쿠라(小倉) 사이에 각각 정기 여객선이 취항하고 있다
미쓰섬(美津島)에는 공항이 있어 후쿠오카(福岡)와 나가사키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아소만 연안과 북부 해안들은 이키쓰시마국정공원(壹岐對馬國定公園)에 속하며 특히 아소만연안에는 경승지가 많다

(1)위치
한반도와 일본 규슈(九州)사이의 바다에 있는 섬
대마도는 동경 129도, 북위 34도 규슈본상(구주본상)에서는 132km, 부산에서는 불과 45km의 위치하고 있는 섬으로 위치상으로는 한국 땅이면서도 언어상으로 일본어를 사용하고 있는 규수(九州) 최북단의 국경의 섬이다
부산에서 선박으로 40분 거리에 위치한 섬으로 근대이전에는 한반도의 민족 거주지
(2)면적
706.43(709)평방 km로 제주도보다는 작고 거제도 보다는 넓은 섬들
6개의 유인도와 70여개의 무인도로 이루어져 있다
(3)인구
4만 6,000명(2002년), 대마도의 수도인 이즈히라는 17,000명 정도가 거주하고 있다
(4)행정상 구분
나가사키현(長崎縣)에 속해 있으며 크게 상도와 하도로 구분 6개의 주로 나누어져 있으며 중심지는 모원주이다
(5)모국어--일본어
(6)대마도의 역사
대마도는 고대로부터 한반도와 일본을 이어주는 고리의 역할을 해왔다 심지어 일본이 쇄국정책을 쓰고 있을때도 이곳을 통하여 학술과 문화가 활발하게 전파되었다 그 중에도 아메노모리호쑤는 쓰시마(대마도)에서 활약한 유학자로서 한일교류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교린수지라는 불리우는 당시의 한국어 입문서를 만들었으며 <서로 싸우지 말고 속이지 말며 진실을 갖고 교류한다>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학술과 문화 뿐만 아니라 불교도 전래 되었으며 유명한 미키와치, 하사미 도자기도 이곳을 통하여 한반도로부터 전해졌다
1993년에는 <나가사키현 서울사무소>가 개설되어 더욱 깊은 우호관계에 있다
ㄱ.대마도 8월초 열리는 아리랑 축제
대마도 8월초 열리는 아리랑 축제를 볼때 대마도 원주민들이 가야족 중 아리나(허씨족)으로 알려지고 있다
아리(阿里)-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고개를 넘어간다
ㄴ.조선통신사의 비
토요토미의 조선침략 임진왜란 후 쓰시마번(대마도) 국교회복을 위해 전력을 다하였다 그 결과 토쿠가와 막부시대 200년간 통신사가 12회에 걸쳐 일본을 방문하였다 통신사의 방문으로 이루어진 활발했던 교류와 우호적인 관계를 21세기 한일우호의 지향점으로 삼고자 이즈하라에는 조선통신사의 비가 세워져 있다
ㄷ.고려문
ㄹ.최익현 선생의 순국비
ㅁ.동상여래 좌상
9세기경 통일신락시대에 제작된 귀중한 불상으로 국가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ㅂ.바이린지 절
538년 백제 성왕에 의해 일본에 불상과 경전이 전파되었고 그 최초로 불교가 전파된 연고로 건립되었다고 전해지는 고찰이다 남북조시대의 오래된 경전과 8세기경에 제작되었다는 난생불이 있다
ㅅ.아메노모리 호슈
아메노모리 호슈는 17세기 당시의 일본의 한국어 담당 외교관으로 국가간의 교류에 있어 중요한 것은 진실된 믿음이라고 주창하고 선린외교를 몸소 실천한 위대한 국제인이었다 그가 저술한 교린수지는 일본 최초의 한국어 교재로 메이지시대까지 사용되었다
ㅇ.성신교린의 비
호슈선생이 주창한 외교정신을 새긴 성진교린의 비
(7)대마도의 특징
대마본섬을 외에 109의 섬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사람이 사는 곳은 5곳이고 전 섬의 89%가 산악이고 원시림에는 본토에 볼 수 없는 많은 대륙계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산해진이 또한 풍부하고 인정이 많으며 특히 옛부터 대륙(한반도)과의 인적, 물적 교류의 창구로서 많은 사적등 문화유산이 비교적 잘 보전되어 있는 역사의 섬이기도 하다
-한반도와 일본열도 길 목(대마도를 어느 나라가 소유하는냐에 따라 태평양지역과 일본열도 지역 해상장악)
-태평양에서 동해의 출입구로서 대륙과의 교통. 군사상 중요지점(러일전쟁때의 쓰시마해전과 제2차대전 때에는 이 섬 전체가 요새지대로 사용함)
(8)대마도의 생산품
ㄱ.농업--쌀 농사(간척지 논으로 쌀생산이 잘 되지 않아 엣부터 쌀 수입을 대부분로 한반도에서 했다)
ㄴ.어업--동해안(오징어잡이), 아소만(진주양식)
ㄷ.산림과 광물--목탄, 납, 아연등을 생산했으나 요즘은 조림과 표고버섯재배를 하고 있다
(9)대마도 향토음식---회와 흑돼지 음식

2.대마도의 군사적 가치
(1)대마도의 군사적 가치
-대마도는 고대로부터 한반도와 일본을 이어주는 고리의 지위와 역할을 해왔다 대마도는 한국과의 무역항이었으며 동해의 출입구로서 대륙과의 교통. 군사상 중요한 지점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때에는 이 섬 전체가 요새지대였으며 특히 러.일전쟁 때의 쓰시마해전 전투지역이다
-일본정부의 한반도 군사적 행동의 기지었다 그리고 한반도(조선반도)정부의 일본 열도 군사적 행동의 기지이다
-대마도는 부산에서 45km이고 규슈본상(구주본상)에서는 132km이다 일본과 대한민국 정부간의 해상전쟁에서 승패를 좌지우지할 수 있는 섬이다
-대마도 사람들은 대부분 대륙계 한반도 주민이면서 일본어를 사용하고 있다

(2)한반도(조선반도)의 대마도 정벌
대마도 정벌은 고려말, 조선초에 왜구를 근절시키기 위하여 세 차례에 걸쳐 대마도를 정벌한 일이다
왜구는 13-16세기 한반도와 중국연안에서 활동한 일본인의 해적집단을 총칭하는 것으로 이들은 주로 대마도를 근거지로 삼아 활동 하였다
대마도(對馬島) 도주(島主) 종씨(宗氏, 일본어 무네씨 또는 소씨)로서 이들이 대대로 대마도를 관리하며 살았는데 대마도는 인구가 적고 농토가 척박하여 농사에 적합하지 않아 기근을 면하기 어려운 곳이었다
더구나 당시 일본은 국내의 내환으로 식량의 구입이 어려운 상태였고 빈민이 증가하여 비상수단에 의한 물자의 공급이 요청되었기 때문에 중국과 한반도에서 왜구의 창궐이 극심하였다
이러한 왜구를 근절시키기 위하여 추진된 대마도 정벌은 수군의 확충과 화기의 발달이 뒷받침해 주었다 즉 고려는 초기부터 수군을 양성하였고 현종 때에는 도부서를 설치하여 전함을 건조하는 등 조직과 군비를 강화하였으며 말기에는 수군을 제정비하였다
화기는 1377년(우왕 3년) 최무선이 화통도감을 설치하여 20여 종을 제조하였고 후에 화포를 전함에 배치하여 왜구를 섬멸하였다
한편 최초의 대마도정벌은 1389년(창왕 1년) 박위에 의해서였다 박위의 정벌은 특히 우왕 재위 14년간 378회나 침입한 왜구 소굴이 대마도이기 때문인데 그는 1만의 군대를 이끌고 대마도에 도착하여 왜선 300여 척과 관사. 민가를 불태웠다
조선의 대마도 정벌은 1396년 조선태조와 태종 그리고 1419년 세종 1년도 있었다
태조는 조선초에 5도의 병선을 모아 대마도를 정벌하였는데 이 때 많은 왜구들이 투항하였다
왜구를 근절시키고 이들을 평화적 내왕자로 만든 것이 1419년의 기해동정(己亥東征)이었다 기해동정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 것은 비인현(庇仁縣)의 도두음곶(都豆音串)의 침탈이었다 이에 태종은 이종무를 3군도체찰사로 임명하고 중군을 거느려 대마도를 정벌하게 하였다 그 결과 대규모의 왜구가 없어지고 나아가 왜구가 평화적 내왕자로 변하게 되었다
1419년 세종 1년때에는 이종무 장군이 대마도를 정벌하고 일본열도정부의 항복을 받았으며 그 이후 대마도 도주를 조선정부에서 임명하였다 세종은 북진정책과 남진정책으로 국토를 회복하고 삼한의 후예로 구주지역까지 점령하려고 했지만 왜구의 저항과 일본 열도 정부의 항복으로 그만두었고 백두산과 두만강지역을 회복했다

-1389년 고려 창왕때와 우왕때 박위장군에 의하여 대마도 정벌
-1396년 조선 태조 5년때 대마도정벌
-1419년 세종 1년 대마도정벌과 조선정부 인사로 대마도주(총독) 임명
1419년 세종 1년 이종무 장군이 왜군을 추격하여 대마도를 정벌하고 일본본토의 항복을 받았던 곳이고 그 이후 조선정부 소국으로 다스렸다
-1945년 해방 후에는 해양대학교 초대 학장이셨던 정문기 박사가 이승만대통령에게 이곳을 한국 영토로 포함시킬 것을 권유하였으나 최남단을 울릉도(독도), 제주도, 거문도를 기준으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으로 대한민국 영토에서 제외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대마도(對馬島)의 뜻은 마산(馬山)를 마주보는 섬(島)이라는 뜻이다
조선초기 이종무 장군이 대마도를 정벌하기 위해 마산포를 출발하였다
*對-마주설 대(對) *馬--말 마(馬) *島--섬 도(島)
(3)<대마도 신라 속지> 해외 역사서 존재
http://www.hani.co.kr/section-005000000/2005/03/005000000200503240654031.html
대마도는 신라의 속지였으며 토지가 척박해 연례적으로 신라의 원조를 받아왔다는 사실을 기록한 해외 역사자료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돼 독도분란 해법과 관련해 주목된다
특히 이 사료를 공개한 일본인 교수는 최근 악화되고 있는 독도 영유권 문제와 관련해 감정적 대웅 보다는 역사적 근거를 바탕으로 분란을 해소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충고해 양국 국민사이의 공감대 형성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2005년 3월 24일 서울대 이현복 명예교수에 따르면 미국 출신의 선교사이자 한국사 전문가인 H. Hulbert(헐버트)씨가 1905년 출간한 "한국 역사(History of Korea)"에 대마도와 신라의 관계를 보여주는 내용들이 실려있다
35쪽 분량의 이 책에는 "It is import!!ant to notice that the island of Tsushima, whether actually conquered by Sil-la or not, became a dependency of that Kingdom"(대마도<쓰시마>가 신라에 정복됐든 아니든 그 왕국<신라>의 속지<屬地>가 됐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기술돼 있다
이 책은 일본 구마모토대의 시미즈 기요시 교수(언어학)가 "최근 독도분란이 한일관계의 핵심 쟁점으로 떠오른 상황에서 한국 학자와 국민이 이 사실을 알기 바란다"는 내용의 e-Mail(이 메일)을 이현복 교수에게 보내면서 공개됐다
시미즈 교수는 <최근 독도문제로 한일관계가 나빠지고 있는데서 서로 싸우지만 말고 잘 해결됐으면 좋겠다 때가 때인지라 우리 모두 알아야 할 내용을 한국민에게 알려주고 싶다>는 말도 덧붙였다
이현복 교수는 <일본이 독도에 대해 터무니없는 주장을 일삼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감정적 대응보다는 역사적 근거와 기록을 하나라도 더 찾아내는 것이다 조선이나 고려가 아닌 삼국시대에 신라가 대마도에 대해 실질적 지배를 해왔다는 점은 중요한 역사적 사실이다>며 독도분란의 해법을 제시했다
이 책의 저자 헐버트는 1986년 미국에서 태어나 뉴 햄프셔주(州) 다트먼트대학을 졸업한 뒤 1886년(고종 23년)에 소학교 교사로 초청받아 한국에 입구간 것을 계기로 한반도와 인연을 맺었다
그는 을사늑약 체결 후 고종의 밀서를 들고 미국 대통령과 면담을 시도하고 1907년 네덜란드에서 열린 만국평화회의에서 한국대표단의 호소문을 세계에 알리는 등 한국의 국권 회복운동에 적극 나섰으며 1949년에는 국빈으로 내한했다 병으로 숨져서 서울 마포구 양화진의 외국인 묘지에묻혔다


(4)일본열도의 대마도 군사기지로 러일전쟁 승리 그리고 한반도. 중국등 침략기지
일본과 중국 한국등이 안보적으로 경쟁적이고 대결구도일때는 대마도는 한반도와 중국 대륙 침략기지이기 때문에 한국정부의 해군력으로 제압하거나 섬을 해체(폭파)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일본, 중국, 한국등이 협력과 평화적 공존으로 군사적으로 동맹군이 될때는 대마도는 일본과 한국를 연결하는 길목으로 양국(兩國)의 지원으로 고도소비사회 문화 자유항구로 지정하여 독자적인 경제 사회 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도와 주어야 한다고 본다
대마도와 부산은 45km로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 협조가 필요하다

3.대마도의 주요 자료
(1)(주)대마도 투어(對馬島 TOUR)
http://www.thusima.com
(2)대마도 정보
http://my.netian.com/~dblue1/f-1.html
(3)대마도(대마도 재발견>--독도역사찾기운동본부
http://www.dokdocenter.org
(4)한국, 샌프란시스코 조약때 대마도 영유권 공식 요구
http://script.imnews.com/world/article.asp?SeqNo=322089&CntsCode=A010000&CateCode=B040000

대마도는 부산과 가장 가까운 곳으로 경제적 경체적 문화적으로 부산 김해에 종속되어왔다 그러나 대마도는 정치적으로 일본열도 지배를 받아왔고 모국어는 한국어가 아닌 일본어를 사용하고 있다 부산과 대마도 거리는 45km이고 구주와 대마도 거리는 132km이다
대마도가 경제적 문화적으로 풍부한 고도소비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자유항으로 부산과 구주의 자유왕래 지역으로 규정화 할 필요가 있다

-마산시 의회, <대마도의 날> 조례 제정
경남 마산시 의회는 2005년 3월 18일 일본 시마네현 의회의 <다케시마의 날> 조례 제정에 대응해 <대마도의 날> 조례를 제정했다 시의회는 이날 오후 109회 임시회를 열고 <대마도의 날 조례>안을 긴급 상정해 30명의 의원 가운데 출석 의원(29명) 전원 찬성으로 가결했다
이날 제정된 조례는 대마도가 우리 영토임을 대내외에 각인시켜 영유권 확보를 목적으로 하고 조선조 초기 이종무 장군이 대마도를 정벌하기 위해 마산포를 출발한 6월 19일을 대마도의 날로 정한다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시의회는 당초 이날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 조례 폐기 촉구결의안을 논의하다 공격적으로 하자는 분위기가 강해 <대마도의 날> 조례 제정을 추진했다 (역사학자 허관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