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북한 위성방송과 라디오. TV방송등 주요 자료---조선중앙방송 본문
북한 위성방송과 라디오. TV방송등 주요 자료---조선중앙방송
CIA Bear 허관(許灌) 2006. 11. 24. 19:13북한방송의 임무는 신문과 같이 당의 강력한 사상적 무기로 되어 있다 방송은 정무원 직속 중앙방송위원회와 그 산하에 있는 도.시.군 방송위원회의 일원화된 체계하에서 운영되고 있다 중앙방송위원회는 조선중앙방송과 텔레비젼방송, 대외방송등을 그리고 지방방송위원회에서는 중앙방송의 중계 및 자체 방송편성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방송체계에서 특이한 것은 대남심리전방송으로서 <평양방송>이 별도로 설치되어 중앙당의 대남공작부서로부터 통제받아 운영되고 있다 그 밖에 흑색방송으로 <한국민족민주전선 구국의 소리방송>이 있는데 이는 1968년 4월부터 <남조선해방방송>이란 이름으로 방송을 해오다가 1970년 6월 1일 그 명칭을 <통일혁명당 목소리방송>으로 개칭하였고 1985년 7월 27일 <한국민족민주전선 구국의 소리 방송>으로 개칭한 것이다
(1)라디오 방송
라디오방송은 정규방송인 조선중앙방송. 평양방송 및 FM방송이 있으며 대남 선전용인 <구국의 소리방송>이 있다 현재 북한은 이 4종류의 라디오방송 외에 10개의 지방방송국과 10개의 유선방송국, 200개의 군.구역방송국, 4,300여개의 방송실이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ㄱ.조선중앙방송
ㄴ.평양방송
ㄷ.FM방송
ㄹ.구국의 소리 방송
(2)유선방송
유선방송은 평양으로부터 각 도. 시. 군까지 연결되어 공장. 기업소와 협동농장의 유선방송실을 통해 각 가정의 스피커로 중앙방송을 중계하는 것으로서 각 가정에서 소유하고 있는 개인 라디오는 다이얼을 고정시켜 평양에서 방송하는 것 이외에는 어떤 방송도 들을 수 없도록 통제하고 있다 이 유선방송은 일명 <제3방송>이라고도 한다
(3)TV방송
TV방송은 1969년부터 정규방송을 하게 되었다 1970년 11월 5차 당대회에서는 6개 계획 기간에 <전국의 텔레비전화>의 실현을 주요 과제로 제시한 바 있는데 이러한 당 결정에 따라 황해 및 마식령. 원산. 자강도 일대 중계탑이 설치됨으로써 전국적 범위의 텔레비전 시청이 가능하게 되었다 칼라도 1974년 4월 15일부터 방영하기 시작했으며 그 밖에 개성에는 대남심리전을 목적으로 한 TV방송국이 설치되어 1971년 4월 15일부터 방영되고 있다
2003년 4월 11일 중앙TV 위성방송은 전시간(全時間,24시간)에 걸쳐 모두 위성으로 중계되었다
ㄱ.북한 TV방송 종류
(ㄱ)조선중앙TV-북한주민을 대상으로 한 공영방송(PAL방식)
(ㄴ)만수대 TV-평양시민 및 평양시 거주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오락방송(PAL방식)
(ㄷ)평양교육문화 TV와 개성TV-- 대남TV (남한 주민대상용 TV)
개성TV는 대남방송용으로 남한과 같은 NTSC방식이다
ㄴ.북한 TV방송 변천사
-1969년 TV 정규방송 시작
-1970년 11월 5차 당대회 6개년 계획 기간 "전국의 텔레비전화"의 실현을 주요 과제의 당 결정에 따라 황해 및 마식령. 원산. 자강도 일대에 중계탑이 설치됨으로써 전국적 범위의 텔레비전 시청이 가능하게 됨
-1971년 4월 15일부터 대남심리전 목적으로 개성 TV방영 시작함
-1974년 4월 15일부터 칼라 TV방영 시작함
-1999년 7월 2일부터 위성 방영 시험 운영
-1999년 10월 10일부터 본격적인 위성방송 개시
-2003년 4월 11일 중앙TV위성방송은 24시간(전 시간)에 걸쳐 모두 위성으로 중계 북한전역과 동시 TV를 시청 가능하게 되었음
(4)위성방송
북한은 조선중앙 TV를 1999년 7월 2일부터 태국의 타이콤 위성을 이용하여 위성방송을 실시했으며 1999년 10월 10일부터 본격적인 위성방송 개시를 했다 그리고 2003년 4월 11일 중앙 TV위성방송은 24시간에 걸쳐 모두 위성으로 중계 북한 전지역과 동시 TV를 시청하게 되었다
2.조선중앙방송
조선중앙방송은 북한의 가장 대표적인 방송으로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대내용( 국내용)과 외국 청취자를 위한 대외용(국외용)으로 나뉘어지고 있다
1945년 10월 14일 개국한 평양방송국을 전신으로 해 1946년 5월 평양방송, 1948년 2월 북조선중앙방송으로 불리다가 1948년 11월 현재의 명칭으로 확정되었다 1967년 조선중앙 제1방송과 조선중앙 제2방송으로 분리된 후 1972년 11월 대외 및 대남전담방송을 담당했던 제2방송은 평양방송으로 개칭되었다 개국일이 10월 14일인 까닭은 김일성이 이날 평양 귀환 연설을 했기 때문이다
북한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대내용과 외국 청취자를 위한 대외용으로 구분된다 개국 초기에는 1개 파장으로 하루에 3시간씩 방송했으나 현재는 중파 3개 채널, 단파 4개 채널로 오전 5시부터 다음날 새벽 3시까지 하루 22시간씩 방송하고 있다 프로그램은 대략 교양 60%, 보도 25%, 오락 15%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양 프로그램은 주로 사회주의 제도의 우월성과 지도자의 영도력 및 주체사상을 찬양하는 내용이며, 오락 프로그램은 혁명적인 시. 소설. 음악. 스포츠 소식등을 꾸며져 있다 대외방송은 조선말.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영어. 프랑스어등 각국어로 총 90시간씩 하고 있다
조선중앙방송의 사옥은 평양시 모란봉 구역 전승동에 있다
(1)북한 조선중앙 텔레비젼 방송의 위성방송
북한 조선 중앙텔레비젼 방송의 위성방송은 시간이 2003년 4월 11일부터 확대되었다 조선중앙 TV는 2003년 4월 10일 "조선중앙텔레비젼 방송이 내일부터 진행되는 24시간 전(全)시간에 걸쳐 모두 위성으로 중계된다"면서 "특히 소리방송(라디오방송) 2개 프로그램을 함께 중계한다"고 밝혔다
중앙 TV의 위성방송은 그 동안 평일과 토요일은 오후 5시부터 10시 30분까지, 일요일은 오후 4시 30분부터 10시 30분까지 각각 방송했으나 2003년 4월 11일부터는 북한 전지역(全地域)과 동시에 TV를 시청할 수 있게 됐다
한편 북한은 1999년 7월 2일부터 태국의 <타이콤>위성을 이용해 조선중앙 TV의 위성방송을 시험했으며 같은 해 1999년 10월 10일부터 본격적인 위성방송을 시작했다
(2)북한 조선중앙TV를 1999년 7월 2일부터 태국의 타이콤 위성을 이용하여 위성방송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는 남한지역에서도 시청이 가능하다 (통일부 통일교육원이나 북한 자료센터에서 시청할 수 있으며 또한 위성방송이전에는 북한지역과 가까운 경기도. 강원도 일대에서 가능했는데 위성방송 이후부터 남한 전지역에서도 가능하다)
(3)위성방송 Satellite Broadcasting
정지위성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방송. 3만 6,000km상공으로부터 송신되기 때문에 장해물이 없어 전국 어느 곳이든 커버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지진등 재해시에도 지장받지 않는다 위성방송은 고품질의 TV, 팩시밀리 방송도 가능하게 한다
http://myhome.naver.com/ryan50/media_satellite.html
-1972년 하늘개방정책(open sky policy)
미국 영방통신위원회가 정부차원이나 군사적 목적이 아니면 이용할 수 없었던 통신위성을 일반 사기업도 자유로이 발사할 수 있음을 골자로 하여 발표한 획기적 정책 RCA, 웨스턴 유니언등 사기업들의 앞다툰 참여로 미국내 통신위성의 경쟁시대 도래
-1993년 태국의 탁신 시나와트리사, 타이콤 1호 발사
-1995년 한국위성 무궁화호 발사
(3)한민전 평양지부, 조선중앙중계 시작
2003년 8월 13일자 노동신문에는 "한민전 평양지부의 조일민 대표가 기자회견에서 8월 15일부터 구국의 소리를 내보내던 체널로 조선중앙방송을 송출하겠다"고 실렸다 8월 15일이 되자 구국의 소리 채널에서는 조선중앙방송의 프로그램이 나오기 시작했다
(4)남한 국민을 대상으로 한 대남방송인 개성 TV. 교육문화 TV등이 방영되어 왔다
3.평양방송
대내용 정규방송이 조선중앙방송과 달리 대남 및 대외 전용방송이다 편제상 정무원 직속의 조선중방송위원회에 소속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노동당 대남사업부가 직접 운영하고 있다
1967년 12월 조선중앙방송이 조선중앙 제1방송과 조선중앙 제2방송으로 분리된 후 1972년 11월 10일 다시 대외 및 대남 전담방송을 담당했던 제1방송이 평양방송으로 개칭되었다 현재 평양방송은 출력 500kw, 중파 5개 채널(639. 657. 684. 729. 1,080kc), 단파 3개 채널(3,320. 6,250. 6,400kc)로 하루 23시간 30분씩 방송하고 있으며 방송시간은 아침 6시부터 그 다음날 5시 30분까지이며 중계소는 개성. 사리원. 해주. 평강등 4곳에 있다
방송내용은 김일성. 김정일 우상화 관련 27.6%, 주민 노역. 생산도력 12.9%, 주체사상 선전 13.3%, 대남 모략 및 한국 국민에 대한 반정부투쟁 선동 40.0%, 음악. 오락 6.2%등이다 프로그램으로는 <김일성방송대학> <재일동포들에게 보내는 방송> <남조선청년학생들에게 보내는 방송> <남조선괴뢰국군장병들에게 보내는 방송><방송통신대학 강좌>등이 있다 이 방송은 한국어 외에 영어. 러시아어.중국어. 프랑스어. 일본어. 스페인어. 아랍어등의 외국어방송을 하며 일본. 동남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유럽. 남아메리카 지역을 대상으로 북한을 선전하고 있다
(1)북한이 남한내 지하당 조직으로 주장하고 있는 한국민족민주전선에서 운영하는 <구국의 소리 방송>이 있다 이 방송은 지난 1967년 3월 평양 순안에서 개설된 <남조선해방민주민족연맹방송>이 전신이다 1969년 들어와서는 북한이 남한에 <통일혁명당>이 결성되었다고 주장하면서 이 방송 역시 <통일혁명당 목소리방송>으로 개명했으며 지난 1985년 7월 27일 통일혁명당을 <한국민족민주전선(민민전)>으로 개칭하면서 방송 역시 <구국의 소리 방송>이란 명칭으로 바꿔 운영하고 있다 다른 라디오 방송이 당 중앙위 선전선동부의 지휘를 받는 조선중앙방송위원회가 관장하는 정규방송인데 반해 <구국의 소리방송>은 당 중앙위 대남공작부 통일전선부의 통제를 받는다 한민전 구국의 소리 방송에서는 평양방송 <방송통신 대학 강좌>등 사상교육용 고정 프로그램을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http://kwanhun.com/zq/2000c/nkpress.htm
4.북한방송의 주요 자료
(1)위성방송 Satellite Broadcasting
http://myhome.naver.com/ryan50/media_satellite.html
(2)지침엔 묶인 "사상적 무기"---崔善英(연합뉴스 북한부 기자)
http://kwanhun.com/zq/2000c/nkpress.htm
-조선중앙통신사이 유일한 통신사
통신사의 행정체계는 제작부서를 총괄하는 편집국과 그 밑에는 국내보도국. 사진보도국. 대외행사보도국. 국제연대성보도국. 국제정세보도국. 남조선국. 대외보도국. 번역국. 참고통신편집국등이 있다 그 중 국제정세국. 남조선국. 참고통신편집국이 가장 중요한 부서로 알려져 있다 지원부서로는 행정조직처. 조사처. 일반통신발행처. 기술국(송신소등). 대외사업처. 후방처등이 있다
국제정세국은 사회주의 나라 보도부. 제3세계 보도부. 자본주의 나라 보도부등을 두고 있는데 라디오를 통해 세계 및 주요 국가의 정세 및 정보를 정리분석하고 이를 김정일 총비서와 간부들, 각 언론사에 공급하고 있다 국제정세국은 일명 5국으로 불리는데 5국 2세포(말단 당조직으로 사회주의 나라 보도부로 파악됨) 당원들은 동구권이 연이어 붕괴 되던 지난 1990년 11월 1일 김정일 총비서에게 <세상이 열백번 뒤집어져도 끝까지 충성을 다하겠다>는 내용의 편지를 보냄으로써 지식인들이 김정일 총비서에 대한 충성심을 더욱 높이도록 선도한 것으로 유명하다
김정일 총비서는 이들에게 <노동당의 영원한 동행자, 충실한 방조자, 진실한 조언자가 되자>는 친필서한을 보냈는데 이것은 김정일 총비서가 기관과 개별 주민에게 보내는 친필서한의 효시로 알려져 있다
남조선국은 라디오를 통해 남한내 주요 방송사의 보도내용을 전부 청취해 기사화하며 이를 북한안의 신문 및 방송사등에 제공하고 있다 번역국에는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러시아어등 주요 외국어 전문가들이 배치돼 있어 외국방송을 청취 번역해 국제정세국에 넘겨 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참고통신편집국은 백지통신. 8호통신. 자료통신. 참고통신. 참고신문등 18개 등급의 각종 통신자료를 제작해 배포하고 있다 백지통신은 위에서도 설명했듯이 김정일 총비서에게만 올려지는 통신문으로 세계 각국의 중요 정세 및 자료들을 구체적으로 담고 있다 김정일 총비서 외에 중앙통신사 사장. 노동신문 책임주필. 조선중앙방송위원회 위원장에게 극비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8호통신은 당중앙 비서, 당 정치국 위원, 당 부장 이상 고위간부들에게 배포되는 통신문인데 백지통신과 다른 점은 원문이 그대로 실리지 않고 요약된다는 것이다 자료통신은 남한과 서방등의 소식을 기본으로 싣고 있으며 참고통신은 동구권이 붕괴되면서 사회주의권 위주에서 개발도상국 중심의 소식을 담고 있다 배포대상은 당 중앙위 과장 이상, 도당 책임비서 및 비서, 각 출판사 사장등이다
(3)민족통신 특집 <기획대담> 조선중앙통신사 김병호 부사장----노길남 평양특파원
http://www.minjok.com/article/index.php3?type=speciall&code=1013
기자는 <평화와 통일을 위한 8.15민족대회>의 취재를 위해 방문하는 동안 이북은 이미 텔레비전 채널들이 대거 증폭된 사실을 발견했다 영국의 BBC텔레비전 방송을 비롯해 일본의 HNK, 중국의 3개 텔레비전 방송등 7개의 통로(위성 통신사)가 이미 지난 2003년 4월부터 개설되어 위성으로 외국방송들을 실황중계에 의해 쏘고(방영하고) 있는 장면들을 시청할 수 있었다
-김병호 조선중앙통신사 부사장은 24년간 언론사에 종사하고 있으며 외국어대학 영어학과를 졸업하고 5명의 부사장 중 대외보도 담당으로 일하고 있다
(4)북한 방송과 통신사
http://www.kotra.or.kr/main/trade/nk/nation/invest_envir07.jsp
북한의 방송운영의 최고기구는 조선중앙방송위원회임. 이 위원회가 3개 TV와 라디오 방송의 송출과 프로그램 내용까지 통제하고 있음
(5)북한정부는 PAL(Phase Alternation Line)이고 남한정부는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이다 북한 개성 TV는 대남방송용으로 남한과 같은 NTSC방식이다
*NTSC 방식- 1953년 12월에 제정되어 일련의 TV방송 송.수신용 표준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해 설립된 미국의 기관이다 미국등지 나라에서 NTSC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PAL방식-독일에서 개발된 컬러 TV방송방식으로 미국을 비롯한 다른 나라에서 채택되고 있는 NTSC방식과 비슷하지만 색신호를 취급하는데 방법에 차이가 있다
참고자료
위성 방송 Satellite Broadcasting
위성연표1) 1957 소련 최초의 통신위성 스푸트니크 발사 1958 미국, NASA 설립 1958 미국은 소련 위성 스푸트니크에 맞서 익스플로러 1호 발사 1963 최초의 정기궤도 위성 신콤 1호 발사 1965 국제 상업 위성 통신 기구 인텔위성 1호 발사. 최초의 완벽한 정기궤도 위성으로 TV중계 등 통신에 직접 실용화 1969 최초의 달착륙 우주선 전세계 TV중계 1972 하늘 개방 정책(open sky policy). 미국 영방통신위원회가 정부 차원이나 군사적 목적이 아니면 이용할 수 없었던 통신위성을 일반 사기업도 자유로이 발사할 수 있음을 골자로 하여 발표한 획기적 정책. RCA, 웨스턴 유니언 등 사기업들의 앞다툰 참여로 미국내 통신위성의 경쟁시대 도래 1978 BBC, HDTV를 위한 위성 방송 시스템 연구 보고서 제출 1979 NHK, HDTV의 최초 실험 위성 전송 1980 미국과 일본에 맞서 유럽 12개국 공동 출자한 상업 위성 회사 아리안 스페이스사 설립 1982 미국, 컴샛의 자회사 STC에 의해 최초로 위성방송 사업추진 1983 USCI, 직접위성방송 서비스 개시 1984 루퍼트 머독, 인텔 위성 이용해 유럽 최초 직접 위성 방송 실시 1984 미국, 휴즈 등 4개사 위성 사업화 시도 1984 NHK 지원으로 일본 우주개발 사업단 BS-2a 발사. 최초의 실용방송위성. 난시청 지역 일소. 1986 HBO, 저출력 C-band 위성에 의한 위성방송 서비스 시작 1987 독일과 프랑스, 고출력 TV-샛 위성 1호 공동 발사. 1988 일본, 위성을 통해 일본에서 호주로 HDTV 프로그램 전송실험. 서울 올림픽 중계 방송에 이용. 1989 NHK, BS-2 위성 통해 매일 1시간 HDTV 서비스 실시 1990 NHK, 5년간 시험방송후, 본격적인 직접위성방송 실시 1991 호치슨 왐포아사가 쏘아올린 아시아샛 위성 1호 이용, 스타 TV 개시 1993 태국의 탁신 시나와트라사, 타이콤 1호 발사 1994 CNN, 디스커버리, TVB, 호주 방송사, 바이어컴 등 파이브 갱이라는 컨소시엄 결성, 스타 TV에 도전장 1994 TBS, 대만과 인도네시아 중심으로 하루 14시간 만화방송 시작 1994 아리안 스페이스, 인텔위성 발사 1995 한국 위성 무궁화호 발사
위성방송(衛星放送)2)
--------------------- pp. 224 - 229. 2) 마이다스 동아일보. 『현대시사용어사전』, s.v. 고선명 텔레비전. <http:// www.dongailbo.co.kr/fbin/dict?n=sisa&a=g&k=%C0%A7%BC%BA%B9 %E6%BC%DB> (22 Dec.1999)
|
![]() |
북한언론 | |
- 신문 |
중앙지 |
노동신문 | 노동당기관지 |
민주조선 | 내각기관지 | |
노동청년 |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 기관지 | |
영자지 |
The Pyongyang Times | 해외 홍보용 신문으로 매주 토요일 발행 |
지방지 |
도당 및 도인민위원회가 발행하는 기관지가 12종 있음 |
- 방송
북한의 방송운영의 최고기구는 조선중앙방송위원회임. 이 위원회가 3개 TV와 라디오방송의 송출과 프로그램 내용까지 통제하고 있음. |
|
A. TV B. 라디오 |
- 통신사 ㅇ조선중앙통신사 : 내각직속의 유일한 북한통신사 |
![]() |
'Guide Ear&Bird's Eye13 > 통일부 정책모니터링조사 패널(수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산가족 교류현황(’06. 8월말) (0) | 2006.12.05 |
---|---|
북한의 재외동포 정책 (0) | 2006.12.05 |
일본 경찰청, 마쓰모토 교코씨 납치 피해자 인정 (0) | 2006.11.18 |
다시 보는 역사의 현장!! 통일의 꽃이 넘은 분단의 벽 '임수경 방북 사건' :) (0) | 2006.11.12 |
시대의 불꽃 !! 통일의 거목 늦봄 문익환 목사 그리고 자유민주 통일의 벗 문익환 동지:) (0) | 2006.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