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북핵사태를 통해 분석해본 남북협력기금의 실태」 남북협력기금 = 사실상「깡통기금」!(한나라당 이한구의원 자료) 본문
「북핵사태를 통해 분석해본 남북협력기금의 실태」 남북협력기금 = 사실상「깡통기금」!(한나라당 이한구의원 자료)
CIA Bear 허관(許灌) 2006. 10. 26. 16:12
보 도 자 료 | |
한나라당 국회의원 이 한 구(대구 수성갑) | |
국회 재정경제위원회 위원 | |
의원회관 224호 |
Tel. 788-2430 / 784-3856 |
2006. 10. 15(일) |
http://www.e219.or.kr |
「북핵사태를 통해 분석해본 남북협력기금의 실태」 남북협력기금 = 사실상「깡통기금」! (남북협력기금 대출자산 중 93.8%는 회수가불가능 한 것으로 추정)
1. 지금까지의 남북협력기금의 역할은 북핵실험 지원기금(?)
- 남한정부와 민간단체 등은 현재까지 약 8.1조원의 대북지원을 하였는데 이들 지원금 중 남북협력기금을 통한 지원이 4.1조원으로 전체지원금 중 절반을 넘고(50.6%) 있음. - 남북협력기금을 통한 이러한 대북지원은 대부분 현물지원이어서 북한이 핵실험에 필요한 자금원은 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지만, 북한이 남한 정부 등이 지원해준 물자 때문에 그들이 반드시 구입해야할 물품(쌀,비료 등)을 구매하지 않고, 동 구매자금을 핵실험자재구매에 전용하였을 개연성이 큼. 따라서 이 경우 남북협력기금은 사실상 북핵실험을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기능을 했다고 할 수 있음.
※ 최근 3대정권별 남북협력기금을 통한 대북지원 비교(노무현정부가 단연 으뜸) -무상지원 : 노무현정부의 연평균 무상지원금액(2,718억원)은 YS정권 지원금(424억원)의 6.4배, DJ정권 지원금(1,092억원) 2.5배수준 -유상지원 : 노무현정부의 연평균 유상지원금액(3,152억원)은 DJ정권 지원금(2,621억원) 1.2배 수준(YS정권의 경우 유상지원 없음) -전체지원 : 노무현정부의 연평균 지원금(5,870억원)은 YS정부(424억원)의 13.9배, DJ정부(3,713억원)의 1.6배 수준 * 노무현정부의 대북지원액이 다른 정권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것은 아마도 「다른 것은 다 깽판처도 남북관계만 잘되면 괜찮다」는 국정이념 때문 인듯
2. 북핵 사태를 통해 분석해본 결과 남북협력기금은 사실상 「깡통기금」
- 남북협력기금이 보유중인 대출자산중 93.8%(2.2조원 중 2.1조원이 부실자산)는 북핵사태 발생에 따라 사실상 회수가 불가능한 대출
3. 남북협력기금의 부실로 공공자금관리기금 1조원 손실 추정 - 남북경협사업을 위하여 남북협력기금이 공공자금관리기금으로부터 빌린 돈은 2006년 6월말 현재 19,330억원 - 그런데 경협자금대출 등에 대한 손실을 반영할 경우 현재 남북협력기금은 1조원대의 자본잠식상태에 있어, 공공자금관리기금은 남북협력기금에 대출해준 돈 중 1조원 가량은 떼일 것으로 예상됨. ※이밖에도 현재 정부는 많은 공공기금(예:4대신용보증기금,4대연기금,건강보험기금,외국환평형기금 등)에서 심각한 부실운영을 계속하고 있음.
4. 노무현정부에 대한 질문사항
①정부 및 민간 등이 지금까지 북한에 지원해준 돈 약 8.1조원 중 남북협력기금을 통한 지원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지금까지 남북협력기금은 사실상의 북한 핵실험 지원기금의 역할을 했다고 생각되는데, 이에 대한 정부의 생각은 어떠한가? ②외환시장에 「묻지마 개입」하여 22조원이라는 천문학적인 손실을 일으킨 노무현정부는 「묻지마 대북지원」으로 남북협력기금에 막대한 손실을 끼쳐 현재 남북협력기금을 「깡통기금」으로 만들어 놓았는데, 여기에 대하여 정부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③현재 대북경협관련 대출의 부실발생(약2조원)으로 남북협력기금은 현재 약 1조원 자본잠식상태에 있고, 이에 공공자금관리기금은 남북협력기금에 빌려준 돈 1.9조원 중 1조원을 돌려받을 수 없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에 대한 대책은 무엇인가? ④향후 개성공단사업은 국제사회의 취지에 따라 결정되겠지만, 설사 국제사회의 결정이 금강산관광이나 개성공단사업을 허용하더라도 현재 남북교류협력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과 사람들의 신변은 어떻게 보장할 수 있는가? 남북경협사업 중단 시를 대비한 대비책은 무엇인가? 그들이 국내외 시장에서 외면받아 정상적인 경영이 불가능해짐으로서 남북협력기금에 추가손실을 가져올 우려가 클 텐데, 이에 대한 대비책은 무엇인가? ⑤ 북한핵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남북협력기금의 운영기조를 현재의 공격형(퍼주기식운영)에서 수비형으로 바꿔야 할 것 아닌가?
|
1. 지금까지 남북협력기금의 기능은 북핵실험 지원기금(?)
- 지금까지 남한의 정부 및 민간 등이 북한에 지원해준 규모는 최소 8.1조원 정도로 추정되는데, 관련자료 조사결과 남북협력기금은 정부와 민간의 이러한 지원금액의 절반이 넘는 4.1조원(50.6%)을 북한에 지원한 것으로 나타남
- 남북협력기금을 통한 이러한 대북지원은 대부분 현물지원이어서 북한이 핵실험에 필요한 자금원은 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지만, 북한이 남한이 전해준 물자 때문에 그들이 반드시 구입해야할 물품(쌀,비료등)을 구매하지 않고 동 구매자금을 핵실험자재구매에 전용하였을 개연성이 큼. 이 경우 남북협력기금은 사실상 북한 핵실험을 사실상 지원하는 기능을 했다고 할 수 있음.
(표1) 현재까지 정부 및 민간의 대북지원주1) 현황 (단위:억원)
구 분 |
금 액 |
비 율 |
비 고 | |
정부 |
남북협력기금 |
41,228 |
50.6% |
남북협력기금이 전체 지원규모의 절반이상을 차지 |
양곡관리특별회계 |
22,882 |
28.1% | ||
소 계 |
64,110 |
78.7% | ||
민간 |
민간의 인도적 지원 |
6,193 |
7.6% | |
금강산관광/대북뒷거래 등 |
주2)11,181 |
13.7% | ||
소 계 |
17,374 |
21.3% | ||
합 계 |
81,484 |
100.0% |
- 자료 : 수출입은행, 통일부 등
-주1) 현대아산 및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대북사업투자에 대한 금액은 미포함. 기타 남한 주민 등이 북한에 지원한 금액 등을 고려할 경우 남한의 대북지원규모는 더 커질 수 있음.
주2) 현재까지 금강산 관광대금지급액(4.8억불)과 현대의 대북불법송금(5억불)을 당시의 평균환율〔1999년 금강산관관대금 2억불은 1999년 연평균환율(@1,190), 2000년 금강산관광대금 1.4억불과 현대아산의 대북불법송금액 5.0억불은 2000년 연평균환율(@1,131), 나머지 금강산관광대금 1.4억불은 추정 평균환율(@1,100)원〕을 적용하여 계산한 금액임.
※ 최근 3대정권별 남북협력기금을 통한 대북지원 비교
(노무현정권이 단연 으뜸!)
° 최근 3대 정권의 남북협력기금을 통한 대북지원규모를 비교해볼 경우 노무현정권의 대북지원규모가 YS나 DJ정권의 대북지원 규모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남북협력기금을 통한 대북지원은 무상지원과 유상지원으로 양분하여 살펴 볼 수 있는데, 우선 무상지원을 살펴 볼 경우 노무현정부의 연평균 무상지원금액(2,718억원)은 YS정권 지원금(424억원)의 6.4배, DJ정권 지원금(1,092억원) 2.5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남.
그리고 유상지원을 살펴 볼 경우 노무현정부의 연평균 유상지원금액(3,152억원)은 DJ정권 지원금(2,621억원)의 1.2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남. 이들 유상과 무상을 합친 전체 지원규모를 비교해볼 경우 노무현정부의 연평균 지원금(5,870억원)은 YS정부(424억원)에 비하여 무려13.9배나 많고 DJ정부(3,713억원)에 비하여서는 1.6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남.
° 노무현정부가 이렇게 다른 정권에 비하여 대북지원규모가 월등히 많은 것은 아마도 「다른 것은 다 깽판처도 남북관계만 잘되는 된다」는 노무현정부의 국정이념 때문이 아닌가? 하고 판단됨. |
(표2) 남북협력기금을 통한 정권별 대북지원금액 비교 (단위:억원)
구 분 |
YS정부 |
DJ정부 |
노무현 정부 |
전체 지원합계 | |||||||
합계 |
연평균 |
합계 |
연평균 |
합계 |
연평균 |
YS대비 |
DJ대비 | ||||
무상지원 |
인적왕래지원 |
- |
- |
243 |
49 |
110 |
31 |
|
|
353 | |
사회문화협력 |
- |
- |
7 |
1 |
155 |
44 |
|
|
162 | ||
이산가족교류지원 |
- |
- |
65 |
13 |
254 |
73 |
|
|
319 | ||
인도적 지원 |
2,070 |
414 |
3,717 |
743 |
4,815 |
1,376 |
|
|
10,602 | ||
교류협력기반조성 |
49 |
10 |
1,427 |
285 |
4,180 |
1,194 |
|
|
5,656 | ||
소 계 |
2,119 |
424 |
5,459 |
1,092 |
9,514 |
2,718 |
6.4배 |
2.5배 |
17,092 | ||
유상지원 |
교역경협 사업대출 |
교역자금 |
- |
|
20 |
4 |
344 |
98 |
|
|
364 |
경협자금 |
|
|
808 |
162 |
700 |
200 |
|
|
1,508 | ||
소계 |
|
|
828 |
166 |
1,044 |
298 |
|
|
1,872 | ||
차관 |
식량차관 |
|
|
2,024 |
405 |
4,413 |
1,261 |
|
|
6,437 | |
자재장비 |
|
|
306 |
61 |
1,035 |
296 |
|
|
1,341 | ||
소계 |
|
|
2,330 |
466 |
5,448 |
1,557 |
|
|
7,778 | ||
경수로사업대출 |
|
|
9,946 |
1,989 |
4,384 |
1,253 |
|
|
14,330 | ||
기타 |
|
|
- |
- |
156 |
45 |
|
|
156 | ||
소 계 |
- |
|
13,104 |
2,621 |
11,032 |
3,152 |
n.a. |
1.2배 |
24,136 | ||
합 계 |
2,119 |
424 |
18,563 |
3,713 |
20,546 |
5,870 |
13.9배 |
1.6배 |
41,228 |
-자료 : 수출입은행
2. 북핵 사태를 통해 분석해본 결과 남북협력기금은 사실상 「깡통기금」
- DJ정부와 노무현 정부는 경수로사업지원, 식량차관제공, 자제장비제공, 남북교류/협력사업 등에 남북협력기금을 활용하면서 이들 사업과 관련된 기관(KEDO 13,655억원, 조선무역은행 6,866억원, 관광공사 900억원 등)들에게 총 2조원이 넘는 자금을 대출해준 상태에 있음.
- 그런데, 북핵사태 발생이후 국제사회의 북한에 대한 대응방향(북한에 대한 경제제제조치)을 고려하여 현재 남북협력기금이 보유하고 있는 대출금의 상환 가능성을 살펴볼 경우, 2006년 6월말 현재 남북협력기금이 보유하고 있는 총 대출금(2조 2,259억원)의 93.8%(2조 870억원)는 상환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어, 현재 남북기금은 사실상 「깡통기금」이나 다름없는 것으로 추정됨.
․ 이들 대출 중 경수로관련대출금 1조 3,655억원은 KEDO가 현재 청산절차를 밝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상환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볼 수 있으며, 북한의 조선무역은행에 식량차관 등의 형식으로 빌려준 6,866억도 북핵사태 이후 국제사회의 대북 경제제제 움직임 등을 고려할 때 상환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판단할 수 있음.
․ 그리고 남북경협사업관련 대출의 경우 한국관관공사에 빌려준 돈 900억원과 한전에 빌려준 돈 80억원 및 광진공에 빌려준 돈 60억원 이외의 다른 기업들에 대한 대출금〔예:(주) 리빙아트 등 58개 기업 총 698억원〕은 현재 개성공단에 진출한 기업들의 낮은 신용상태/기업규모의 영세성 등을 고려할 때 50% 정도 상환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함.
․ 이러한 추정을 종합한 결과 현재 남북협력기금이 보유하고 있는 대출금(22,259억원)중 93.8%(20,870억원)는 상환이 불가능한 것으로 추정됨.
(표3) 남북협력기금이 보유중인 대출자산에 대한 평가 (단위:억원)
구 분 |
차 주 |
평가 내용 |
비 고 | |||
B/S잔액 |
평가손 |
평가액 | ||||
경수로대출 |
KEDO |
13,655 |
-13,655 |
0 |
KEDO는 현재 청산절차 중 | |
차관 |
식량차관 |
조선무역은행 |
5,701 |
-5,701 |
0 |
국제적으로 현재 대북 금융동결 예상 |
자재장비 |
조선무역은행 |
1,165 |
-1,165 |
0 | ||
소 계 |
|
6,866 |
-6,866 |
0 | ||
교역/경협사업 대출 등 |
한국관광공사 |
900 |
0 |
900 |
정부기관이라 100% 상환가능하다고 가정주2) | |
한국전력공사 |
80 |
0 |
90 | |||
광업진흥공사 |
60 |
0 |
60 | |||
기타 경협기업 (58개 기업) |
698 |
주1)-349 |
349 |
한국관광공사(900억),한전(80억)광진공(60억)대출을 제외한 잔액(698억)에 대하여 50%회수불능 추정 | ||
소 계 |
1,738 |
-349 |
1,389 |
| ||
합 계 |
22,259 |
-20,870 |
1,389 |
전체 대출금의 93.8%가 회수불능 상태인 것으로 추정 |
-주1) 현재 대북교역/경협사업 관련 대출기업(총63개)들중 신용으로 대출을 받고 있거나 개성의 현지 공장을 담보로 제공한 기업에 대한 대출은 총 29개 기업에 357억원에 달하는 점 등을 고려하여, 비 공기업인 58개 기업체에 대한 대출금액 698억원에 대하여 남북경협사업 중단상황 등을 고려하여 50% 정도의 대손율을 추정함.
주2) 한국관광공사, 광업진흥공사, 한전에 대한 대출금을 남북협력기금에서는 이들 기관으로부터 회수한다하더라도 만약 이들 기관이 대출받아 투자한 자금을 회수하지 못하면 이는 결국 국민들의 부담으로 돌아오게 됨
3. 남북협력기금 대출 부실로 공공자금관리기금 1조원 손실 추정
- 정부는 현재 남북경협사업과 관련하여 부족한 자금을 공공자금관리기금으로부터 빌려 운영하고 있는데, 2006년 6월말 현재 남북협력기금이 공공자금관리기금으로부터 빌린 돈은 1조 9,330억 원인 것으로 나타남.
(표4) 남북협력기금의 공공자금관리기금 차입금 잔액현황 (단위:억원)
연도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잔액 |
1,498 |
4,047 |
7,147 |
10,699 |
16,380 |
18,380 |
18,160 |
19,330 |
- 그런데 경협자금대출 등에 대한 손실(2조원)을 반영할 경우 현재 남북기금은 1조원대의 자본잠식상태에 있어, 공공자금관리기금은 남북협력기금에 대출해준 돈 중 1조 원가량은 떼일 것으로 예상됨.
(표5) 2006.6월 현재 부실을 반영한 남북협력기금의 대차대조표 (단위:억원)
명목상 대차대조표 |
부실을 반영한 추정 대차대조표 |
비 고 | ||||||
차 변 |
대 변 |
차 변 |
대 변 |
자본이 잠식됨에 따라 공자기금에서 빌린 돈 중 1조원은 상환하기 어려울 것으로 추정됨 | ||||
항 목 |
금액 |
항 목 |
금액 |
항 목 |
금액 |
항 목 |
금액 | |
대출 |
22,259 |
차입금 |
22,190 |
대출 |
1,389 |
차입금 |
22,190 | |
기타자산 |
10,471 |
자본금 |
10,540 |
기타자산 |
10,471 |
자본금 |
-10,380 | |
합 계 |
32,780 |
합 계 |
32,730 |
합 계 |
11,860 |
합계 |
11,860 |
4. 노무현정부에 대한 질문사항
①정부 및 민간 등이 지금까지 북한에 지원해준 돈 약 8.1조원 중 남북협력기금을 통한 지원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지금까지 남북협력기금은 사실상의 북한 핵실험 지원기금의 역할을 했다고 생각되는데, 이에 대한 정부의 생각은 어떠한가?
②외환시장에 「묻지마 개입」하여 22조원이라는 천문학적인 손실을 일으킨 노무현정부는 「묻지마 대북지원」으로 남북협력기금에 막대한 손실을 끼쳐 현재 남북협력기금을 「깡통기금」으로 만들어 놓았는데, 여기에 대하여 정부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③현재 대북경협관련 대출의 부실발생(약2조원)으로 남북협력기금은 현재 약 1조원 자본잠식상태에 있고, 이에 공공자금관리기금은 남북협력기금에 빌려준 돈 1.9조원 중 1조원을 돌려받을 수 없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에 대한 대책은 무엇인가?
④향후 개성공단사업은 국제사회의 취지에 따라 결정되겠지만, 설사 국제사회의 결정이 금강산관광이나 개성공단사업을 허용하더라도 현재 남북교류협력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과 사람들의 신변은 어떻게 보장할 수 있는가? 남북경협사업 중단 시를 대비한 대비책은 무엇인가? 그들이 국내외 시장에서 외면받아 정상적인 경영이 불가능해짐으로서 남북협력기금에 추가손실을 가져올 우려가 클 텐데, 이에 대한 대비책은 무엇인가?
⑤ 북한핵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남북협력기금의 운영기조를 현재의 공격형(퍼주기식운영)에서 수비형으로 바꿔야 할 것 아닌가?
'-미국 언론- > 아시아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강과 낙동강의 주요 지점 답사 통해 미리 본 이명박 ‘회심의 카드’의 운명 (0) | 2006.11.01 |
---|---|
노동당 배만 불리고 핵개발로 돌아온 개성공단사업 중단해야 (0) | 2006.10.26 |
이러고도 금강산 관광사업을 순수민간 사업이라고 주장하는가? 현대가 보낸 소떼가 웃을 일이다!(한나라당 이한구의원 자료) (0) | 2006.10.26 |
대한민국,이대로 존립할 수 있을 것인가?(안상수 의원 제256회 정기국회 통일.외교.안보분야 대정부 질문 자료) (0) | 2006.10.25 |
재보선 여당 참패, 작년 4월 이후 40대 0 (0) | 2006.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