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스크랩] 글로비스 '비밀금고 속 60억' 정체는? 본문
![](http://img-media.hanmail.net/media/ad/cover01_250.gif)
검찰에 따르면 28일 구속된 글로비스㈜ 이주은 사장은 2001년 2월부터 올해 2월 사이에 국내 하청업체 등과 글로비스 간의 거래실적을 부풀리는 수법으로 총 69억8000만원의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 사장의 구속영장을 심사한 서울중앙지법 이상주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아직 검찰의 수사가 완료되지 않아 증거인멸 우려가 있고, 횡령죄의 법정형이 무기징역 또는 5년 이상 징역으로 무거워 도주할 염려도 크다”며 영장을 발부했다.
문제는 검찰이 비밀금고에서 찾아낸 60억원의 성격이다. 우선 이 사장은 “검찰이 밝혀낸 69억여원의 횡령액 가운데 일부”라는 입장이다. 비자금을 조성한 것은 맞지만 거의 대부분 쓰지않고 금고에 넣어 보관해 왔다는 것이다. 반면 검찰은 이 돈이 영장에 적시한 횡령금 69억여원과는 전혀 별개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69억여원은 이미 현대차 본사에 전달돼 그 일부는 로비자금 명목으로 김재록(구속수감)씨에게 건네졌으며, 금고 속 60억원은 또다른 비자금일 개연성이 크다는 것이다. 검찰의 판단이 옳다면 현대차 본사가 글로비스를 통해 조성한 비자금은 총 130억원에 달하게 된다. 이 사장은 검찰의 집요한 추궁에도 부인으로 일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사장은 이날 영장이 발부된 뒤 “정몽구 회장 등 ‘윗선’의 비자금 조성 지시가 있었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일절 대답하지 않은 채 굳은 표정으로 서울구치소로 향했다.
김귀수·김태훈 기자
seowoo10@segye.com
[김재록 로비 파문]거명 고위인사들 金씨와 ‘거리두기’
![]() |
![]() |
해외출장을 갈 때 김 씨를 동행할 정도로 각별한 사이로 알려진 이헌재(李憲宰) 전 경제부총리는 이번 사건이 터진 뒤 일체의 외부 연락을 끊었다.
본보 취재진이 27일과 28일 저녁 서울 용산구 한남동 유엔빌리지에 있는 자택을 찾아가 기다렸지만 새벽까지도 귀가하지 않았다.
이 빌라의 경비원은 “얼마 전에 이사 갔다”고 했지만 근처에 있는 다른 빌라의 경비원은 “며칠 전에도 봤고, 아직 살고 있다”고 말했다.
김 씨와 이 전 부총리의 중간다리 역할을 해 준 것으로 알려진 오호수(吳浩洙) 인베스투스글로벌 회장도 28일 사무실에 출근하지 않았다. 김 씨는 검찰 수사가 시작되자 이 회사의 고문으로 물러나면서 대신 오 회장을 영입했다. 오 회장은 이 전 부총리와 절친하다.
이와 관련해 이른바 ‘이헌재 사단’으로 꼽히는 K 씨는 이날 밤 “이 전 부총리와 오 회장은 얼마 전 함께 일본으로 나가 현재 그곳에 머물고 있다”고 말했다.
김 씨가 부회장으로 있던 아더앤더슨코리아에 자녀를 정식 직원 또는 인턴으로 취직시켰던 전직 고위 경제관료들도 김 씨와 거리 두기에 나섰다.
재정경제부 장관 출신으로 현재 열린우리당 정책위의장인 강봉균(康奉均) 의원은 “나보다는 진념(陳稔) 전 경제부총리와 더 친하다”며 화살을 돌렸다.
또 강 의원은 “2000년 국회의원 선거 때 김 씨가 선거캠프에 잠시 온 것은 후임 장관이었던 이헌재 씨가 ‘당신이 아이디어가 많으니까 가서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아보라’며 가보라고 해서 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진 전 부총리는 “(김 씨를) 어떻게 알게 됐는지 그런 것은 묻지 마라. 그럼 사람을 일절 모르고 살아야 하나”라며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또 그는 “김 씨는 기아자동차 연구소에 있어서 만날 일이 없었고, 나도 기아차 회장으로 겨우 4개월 있었는데 친해지고 말고 할 시간이나 있었겠느냐”고 말했다.
경제부총리 출신인 김진표(金振杓) 현 교육부총리도 “김재록 씨를 만난 적은 있지만 과거 경제부처 국장급 이상이면 모두 그와 일면식이 있을 것”이라며 ‘특별한 인연’을 부인했다. 또 “김 씨와 나 사이에 어떤 비판 받을 일도 없다”고 주장했다.
DJ 정부 시절 금융·기업 구조조정을 주도했던 재경부와 금융감독위원회 간부들도 김 씨와의 관계 얘기를 꺼내면 “한두 번 만났을 뿐이며 업무 관련성은 전혀 없었다”며 강한 부정으로 일관하고 있다.
황진영 기자 buddy@donga.com
김두영 기자 nirvana1@donga.com
<글로비스 `돈다발 로비' 의혹 대두>
![](http://img-media.hanmail.net/media/ad/cover01_250.gif)
(서울=연합뉴스) 안 희 기자= 검찰이 현대차 계열사인 글로비스에 대한 압수수색을 통해 비밀금고에 현금으로 보관중인 수십억원의 비자금을 확보함에 따라 수사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비자금의 규모와 형태, 조성 시기 등에 비춰 글로비스 이주은 사장이 그룹총수 등 `윗선'이 어떤 식으로든 관련된 상황에서 정관계 등에 `돈다발 로비'를 했을 것이란 의혹이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비스 본사에서 압수된 돈의 규모는 국내 현금과 CD(양도성예금증서) 및 미국 달러화 등 수십억원대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청업체와 거래내역을 꾸며 만든 비자금을 횡령한 혐의로 구속된 이주은 사장은 영장실질 심사에서 자신의 횡령액 `70억원' 중 대부분이 검찰이 압수수색 당시 찾아낸 비자금이라고 주장했다.
이 사장의 주장대로 일부 개인 용도로 쓴 돈을 제외한 대부분이 글로비스 내 비밀금고 등에 그대로 보관돼 있었다면 그룹 상부에서 이 돈에 대해 별도의 `용도지정'을 해 뒀거나 보관지시를 내렸을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그래서 검찰은 28일 구속수감된 이주은 사장을 불러 이 부분을 우선적으로 추궁할 계획이다.
검찰은 압수수색에서 발견한 수십억원의 은닉자금이 글로비스가 조성한 70억원에 포함됐다는 이 사장의 말을 곧이곧대로 믿지 않고 있다. 오히려 두 돈은 별개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 경우, 둘을 합친 글로비스의 비자금 규모는 많게는 수백억원대에 이르고 그룹 총수 등 윗선 주도로 돈이 조성됐을 가능성은 더 커진다.
현대차가 2002년 11월 현대캐피탈 사옥 지하에 보관하던 현금 100억원을 트럭에 옮겨 실어 대선자금 지원 명목으로 한나라당측에 전달한 전력은 이런 가설에 설득력을 더해준다.
당시 사용된 소위 `차떼기 수법'은 금융실명제 이후 로비 대상이 되는 유력인사들이 계좌나 수표보다 현금을 선호한다는 점을 반증해 준다.
따라서 이번 비자금이 현금과 CD 등 `돈다발' 형태로 본사 건물에 숨겨져 있었다는 점에서 정상적 거래 보다는 정관계 로비 등 `불순한 목적'에 사용됐을 거라는 의심을 갖게 한다.
이 사장이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2001년 12월부터 작년 1월까지의 시기가 현대차가 대선자금을 전달했던 시점을 포함한다는 점도 이런 의혹을 뒷받침한다.
2003년 검찰이 대선자금을 맹렬히 수사하고 있었는데도 글로비스의 비자금 조성이 `겁없이' 진행된 사실은 그룹 입장에서 `긴급한 로비'의 필요성이 있었을 거라는 추측까지 들게 한다.
아울러 참여정부 출범 이후 지난해까지 비자금이 조성된 점 때문에 현대차 그룹이 김대중 정부는 물론 현 정권 관계자들에게 `돈다발 로비'를 벌였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가설들은 글로비스 이 사장이 비자금 조성과 관련해 `상부 지시설'을 부인하는 상황에서 검찰이 비자금의 조성 경위와 용처를 밝힐 수 있는지에 따라 진위가 판명될 것으로 전망된다.
prayerahn@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