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yonhapnews.co.kr/images/20060329/482006032901700_1.jpg) |
국제수지 동향
| |
상품수지 흑자 3년來 최저치..서비스적자 급증
배당금 지급 증가로 3,4월도 적자 가능성 높아
(서울=연합뉴스) 이승관 기자 = 지난달 경상수지가 최근의 흑자추세를 잇지 못하고 6개월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특히 경상수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품수지가 연초 환율 급락 등으로 인해 3년만에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으며, 서비스수지 적자는 4개월째 증가세가 이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2006년 2월중 국제수지 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경상수지는 7억6천만달러 적자를 기록, 지난해 8월(4억9천만달러) 이후 6개월만에 적자로 반전됐다.
경상수지가 적자로 돌아선 것은 지난달 상품수지 흑자가 큰 폭으로 줄어든 반면 해외여행 경비지출과 특허권 사용료 지급 등으로 인해 서비스수지 적자 규모가 계속 늘어난데 따른 것으로 풀이됐다.
지난달 상품수지 흑자는 8억6천만달러로 흑자 기조는 유지했으나 전달에 비해 6억2천만달러나 줄어들며 지난 2003년 3월 기록한 3천400만달러 적자 이후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다.
지난달 수출(통관기준)은 238억3천만달러로 지난해 같은달보다 16.8% 증가했으나 수입(234억달러) 증가율 27.2%에는 훨씬 못미쳤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달 수출이 비교적 호조를 보이면서 통관기준 수출입차 흑자폭은 전달과 비슷했으나 선박 수출시 통관과 인도 시점의 차이에 따른 조정이 흑자축소 요인으로 작용해 흑자규모가 대폭 줄었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달 통관기준 수출입차 흑자는 4억3천만달러로 전달보다 2천만달러 줄어드는데 그쳤으나 선박수출 조정으로 4억4천만달러의 흑자감소 요인이 추가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비스수지는 여행수지 적자폭이 감소된 반면 특허권, 정보서비스 등 기타서비스 수지 적자가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4개월째 적자폭이 확대됐다.
지난달 여행수지는 해외여행 및 유학.연수 경비 지급이 줄어들면서 9억2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해 전달보다 3억달러 줄어들었으나 기타 서비스수지는 9억6천만달러로 4억7천만달러나 늘었다.
또 소득수지는 대외 이자수입이 늘었으나 배당금 수입이 줄어들면서 흑자 규모가 전달보다 1억4천만달러 줄어든 4억3천만달러에 그쳤다.
경상이전 수지는 2억3천만달러로 전달보다 적자폭이 8천만달러 줄었으나 무려 18개월 연속 적자행진을 이어갔다.
이밖에 자본수지는 외국인의 국내기업 지분인수가 늘어난데다 롯데쇼핑 등 내국인의 해외주식 및 중장기채 발행도 급증하면서 무려 21억1천만달러의 유입초과를 나타냈다.
한편 지난달 계절조정 경상수지는 3억9천만달러 적자로 전달(6억2천만달러 적자)에 이어 2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한은 관계자는 "3,4월에는 배당금 지급이 크게 늘어나 소득수지가 악화된다"며 "상품수지가 크게 개선되지 않는 한 경상수지가 다시 적자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humane@yna.co.kr(끝)
2월 경상수지 6개월만에 적자 전환
var tid;
ns4 = (document.layers)? true:false
ie4 = (document.all)? true:false
if( ie4 )
{
if( navigator.userAgent.indexOf('MSIE 5') > 0 )
ie5 = true;
else
ie5 = false;
}
else
ie5 = false;
var width = 200;
var height = 80;
var x = 0;
var y = 0;
var snow = 0;
var doc_width=800, doc_height=600
if( (ns4) || (ie4) )
{
if( ns4 )
over = document.overDiv
if( ie4 )
over = overDiv.style
//document.[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move = mouseMove;
//if( ns4 ) document.captureEvents(Event.MOUSEMOVE)
}
function nd()
{
if( (ns4) || (ie4) )
{
snow = 0;
hideObject(over);
}
}
function waitnd()
{
tid = setTimeout('nd()',3000);
}
function drc()
{
if( snow == 1 ) nd();
var linkpath = "http://ar.donga.com/RealMedia/ads/click_lx.ads/www.donga.com/fix/123123/x93/click_takeover_050405/click.gif/123123";
var imgpath = "/news/hyundai/img/takeover_20080.jpg";
txt = ""
layerWrite(txt);
if( ns4 )
{
doc_width=self.innerWidth;
doc_height=self.innerHeight;
}
else
{
if( ie4 )
{
doc_width=document.body.clientWidth;
doc_height=document.body.clientHeight;
}
}
disp();
}
function drc_intel()
{
if( snow == 1 ) nd();
var linkpath = "http://ar.donga.com/RealMedia/ads/click_lx.ads/www.donga.com/fix/1492754823/x93/click_textover_060203/click.gif/64323733383038363433656664373530";
var imgpath = "/news/takeover/intel_20080.gif";
txt = ""
layerWrite(txt);
if( ns4 )
{
doc_width=self.innerWidth;
doc_height=self.innerHeight;
}
else
{
if( ie4 )
{
doc_width=document.body.clientWidth;
doc_height=document.body.clientHeight;
}
}
disp();
}
function disp()
{
if( (ns4) || (ie4) )
{
if( snow == 0 )
{
x = event.x - ( width / 2 );
if( x < 0 ) x = event.x;
if (x > 90) x = event.x - 180;
if( x < 0 ) x = event.x;
over.left = x + document.body.scrollLeft;
y = event.y + height;
if( y < doc_height ) over.top = event.y + 10 + document.body.scrollTop;
else over.top = event.y - (height + 10) + document.body.scrollTop;
showObject(over);
snow = 1;
}
}
}
function layerWrite(txt)
{
if(ns4)
{
var lyr = document.overDiv.document
lyr.write(txt)
lyr.close()
}
else if( ie4 )
document.all["overDiv"].innerHTML = txt
}
function showObject(obj)
{
if( ns4 )
obj.visibility = "show"
else if( ie4 )
obj.visibility = "visible"
}
function hideObject(obj)
{
if( ns4 )
obj.visibility = "hide"
else if( ie4 )
obj.visibility = "hidden"
}
지난달 경상수지가 최근의 흑자추세를 잇지 못하고 6개월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특히 경상수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품수지가 연초 환율 급락 등으로 인해 3년만에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으며, 서비스수지 적자는 4개월째 증가세가 이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2006년 2월중 국제수지 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경상수지는 7억6천만달러 적자를 기록, 지난해 8월(4억9천만달러) 이후 6개월만에 적자로 반전됐다.
경상수지가 적자로 돌아선 것은 지난달 상품수지 흑자가 큰 폭으로 줄어든 반면 해외여행 경비지출과 특허권 사용료 지급 등으로 인해 서비스수지 적자 규모가 계속 늘어난데 따른 것으로 풀이됐다.
지난달 상품수지 흑자는 8억6천만달러로 흑자 기조는 유지했으나 전달에 비해 6억2천만달러나 줄어들며 지난 2003년 3월 기록한 3천400만달러 적자 이후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다.
지난달 수출(통관기준)은 238억3천만달러로 지난해 같은달보다 16.8% 증가했으나 수입(234억달러) 증가율 27.2%에는 훨씬 못미쳤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달 수출이 비교적 호조를 보이면서 통관기준 수출입차 흑자폭은 전달과 비슷했으나 선박 수출시 통관과 인도 시점의 차이에 따른 조정이 흑자축소 요인으로 작용해 흑자규모가 대폭 줄었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달 통관기준 수출입차 흑자는 4억3천만달러로 전달보다 2천만달러 줄어드는데 그쳤으나 선박수출 조정으로 4억4천만달러의 흑자감소 요인이 추가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비스수지는 여행수지 적자폭이 감소된 반면 특허권, 정보서비스 등 기타서비스 수지 적자가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4개월째 적자폭이 확대됐다.
지난달 여행수지는 해외여행 및 유학.연수 경비 지급이 줄어들면서 9억2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해 전달보다 3억달러 줄어들었으나 기타 서비스수지는 9억6천만달러로 4억7천만달러나 늘었다.
또 소득수지는 대외 이자수입이 늘었으나 배당금 수입이 줄어들면서 흑자 규모가 전달보다 1억4천만달러 줄어든 4억3천만달러에 그쳤다.
경상이전 수지는 2억3천만달러로 전달보다 적자폭이 8천만달러 줄었으나 무려 18개월 연속 적자행진을 이어갔다.
이밖에 자본수지는 외국인의 국내기업 지분인수가 늘어난데다 롯데쇼핑 등 내국인의 해외주식 및 중장기채 발행도 급증하면서 무려 21억1천만달러의 유입초과를 나타냈다.
한편 지난달 계절조정 경상수지는 3억9천만달러 적자로 전달(6억2천만달러 적자)에 이어 2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한은 관계자는 "3,4월에는 배당금 지급이 크게 늘어나 소득수지가 악화된다"며 "상품수지가 크게 개선되지 않는 한 경상수지가 다시 적자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http://www.donga.com/docs/news/img/200603/200603290234.jpg)
●생산·소비 모두 전월대비 감소세
산업생산과 소비재 판매가 전월 대비 기준으로 모두 감소세로 돌아서 경기 회복세가 주춤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해 주는 선행지수 전년동월비가 13개월만에 하락했고 현재의 경기를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 변동치는 4개월만에 떨어졌으며 경상수지도 6개월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산업생산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는 20.0% 증가했지만 앞선 1월에 비해서는 4.4% 감소했다.
산업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기준으로 2000년 8월 22.2% 이후 최대 증가율을 보였지만 전월 대비로는 지난해 12월 이후 처음 감소세를 나타냈다.
통계청은 1월에 영상음향통신, 자동차, 반도체 등이 큰 폭으로 증가해 전월 대비로 2월 산업생산이 감소했고, 전년 동월 대비로는 지난해 2월이 저조해 큰 폭으로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조업일수를 감안한 2월의 산업생산은 전년 동월보다 6.7% 늘어나는데 그쳐 1월의 12.2%보다 증가율이 둔화됐고 지난 1∼2월 평균 증가율은 9.4%였다.
지난해 2월에는 설로 인해 조업일수가 20.9일에 그쳤고 올해 2월은 23.5일이다.
소비재 판매액 지수도 전년 동월보다 1.1% 증가했지만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소비 부진과 자동차 내수 판매의 소폭 증가로 전월에 비해서는 0.2% 감소했다.
소비재 판매액 지수는 지난 1월에도 전월 대비 4.4% 줄었다.
내구재는 가전제품, 가구 등에서 판매 호조를 보여 전월보다 5.4% 증가했고 준내구재는 운동오락용품, 가방 등의 판매 호조로 전월보다 2.0% 늘었지만 비내구재는폭설에 따른 수산물과 채소류 등 음식료품 판매 부진으로 전월보다 3.9%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특수산업용기계가 감소했지만 기타운수장비와 컴퓨터 등의 증가로전년 동월 보다 2.3% 늘어났고 설비투자의 1∼2월 평균 증가율은 1.2%였다.
건설기성은 공공부문이 감소했지만 민간부문이 호조를 보여 전년 동월보다 10.2% 늘어났고 건설수주는 민간부문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공공부문의 호조로 1년전보다22.2% 증가했다.
선행지수 전년동월비는 7.3%로 전월보다 0.3%포인트 떨어져 지난해 1월 이후 처음 하락했고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도 100.4로 전월에 비해 0.3포인트 떨어졌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하락한 것은 지난해 10월 이후 처음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전월비 수치가 주춤한 것은 기저 효과와 설 효과 때문으로 설효과를 배제하려면 1∼2월 평균치를 봐야 한다"며 "3월에는 산업생산 수치가 다시좋아질 것으로 보여 경기가 하락한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생산과 소비가 주춤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 경상수지도 7억6천만달러 적자를기록, 지난해 8월(4억9천만달러) 이후 6개월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국내 IT 경기 3개월째 악화
국내 IT(정보기술) 경기가 3개월째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부는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KAIT)가 2월27일부터 3월2일까지 1천312개 업체를 대상으로 'IT산업 기업경기 실사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91로 조사됐다고 29일 밝혔다.
IT-BSI는 지난해 8월 83으로 저점을 통과한 뒤 9월 96에 이어 10, 11월 연속으로 2002년 8월 이후 가장 높은 100을 기록했으나 12월 98, 1월 95, 2월 91일로 다시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3월과 4월의 전망치는 각각 104, 112로 조사돼 앞으로 경기가 다시 상승세를 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정통부는 설명했다.
IT중소기업 BSI도 지난달 97에서 88로 급락했으나 3, 4월 전망치는 101, 109로 조사됐다.
BSI는 기업체의 체감경기를 수치화한 것으로 100이면 보합, 100을 넘으면 호전,100에 미치지 못하면 악화를 의미한다. 이 조사의 신뢰수준은 95%, 허용오차는 ±5%이다.
부문별로는 정보통신서비스 97, 정보통신기기 87, 소프트웨어(SW).컴퓨터 관련서비스 90으로 각각 평가됐다.
이 기간 제품재고(105).생산설비(101).설비투자실행(103)은 '과잉', 고용수준(88).자금사정(98)은 '부족'으로 파악됐다.
또 가동률(101)은 호전됐으나 생산증가율(96), 내수판매(95), 수출(97), 채산성(99)은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