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스크랩] 인도경찰, 인도 중부 차티스가르 주(州)에서 모택동주의 무장단체에 의해 유발된 폭발로 적어도 11명이 사망하고 7명이 부상 본문
[스크랩] 인도경찰, 인도 중부 차티스가르 주(州)에서 모택동주의 무장단체에 의해 유발된 폭발로 적어도 11명이 사망하고 7명이 부상
CIA Bear 허관(許灌) 2006. 3. 26. 11:24
|
| ||||||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
(1)중국 국민당
http://www.kmt.org.tw
19세기 후반 열강에 의하여 중국이 반식민지화 되고 청조(淸朝)의 지배가 동요되기 시작했을 때 멸만흥한(滅滿興漢)을 기치로 하는 정치세력이 대두 하였다
쑨원은 1894년 흥중회(興中會)를 조직하여 <만주의 적(敵)을 제거하고 중화(中華)를 회복하여 합중정부(合中政府)를 창립한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흥중회(興中會)는 화흥회(華興會), 광복회(光復會)등의 혁명단체와 합병하여 1905년 도쿄(東京)에서 중국혁명동맹회(中國革命同盟會:총리 쑨원)로 발전하였다 중국혁명동맹회는 삼민주의를 강령으로 하고 <청조의 타도(淸朝의 打到). 중화회복(中華回復). 민국창립(民國創立). 지권평등(地權平等)>등을 주장 하였다
동맹회 성립 후 혁명의 기운이 높아가고 내전이 촉발하여 1911년 우창(武昌)봉기를 계기로 임시정부가 수립되었고 1912년에 중화민국(中華民國)이 탄생하였다 쑨원은 총통으로 취임하였으나 바로 북방군벌과 열강의 후원을 얻은 위안스카이(袁世凱,원세개)에게 그 자리를 빼앗기고 말았다
쑨원은 비밀결사인 중국혁명 동맹회를 공개적 정당으로 개편했으나 위안스카이 일파의 어용정당 공화당(共和黨)의 조직화에 대항하여 마침내 국민당을 결성하였다
국민당은 1913년 2월 선거에 제1당이 되었으나 위안스카이의 쿠데타에 의해 해산되었고 쑨원은 일본에 망명하여 1914년 중화혁명당(中華革命黨)을 조직하고 1919년 5.4운동의 영향으로 본부를 도쿄(東京)에서 상하이로 옮겨 중국 국민당이라 개칭하였다
1917년의 러시아 혁명과 1921년의 중국공산당의 성립, 5.4운동 이후의 대중운동의 고조는 쑨원에게 군벌과 손을 끊고 대중과 결합하는 방침을 취하게 하였다
1924년 국민당 제1기 전국대표자대회에는 마오쩌둥(毛澤東)등 공산당 당원도 대표로 참가 하였다 대회는 삼민주의를 실현하는 방도로서 소련과의 연합, 공산당과의 연합, 노동자. 농민을 돕는 3대 정책을 결정 하였다
또 광둥성(廣東省)에 혁명정부와 혁명군사학교를 창설하였다 이 시기의 국민당은 공산당과 제휴하고 국민 각 계층을 대표하는 통일전선적 정당이었다 1925년 쑨원의 병사 후 국민당 내부의 좌우(左右, 진보와 보수) 대립의 격화와 노농운동(勞農運動)의 고조(高調)에 놀란 열강과 지주, 자본가들은 장제스를 주축으로 하는 우파를 지지하였다
1927년 4월 북벌군사령관인 장제스는 상하이에서 쿠데타를 일으켜,난징(南京)정부를 세우고 좌파와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연합정권인 우한(武漢)정부와 대립 하였다
그러나 지주와 자본가들의 요청으로 좌우 양파가 합쳐서 공산당 및 노동조합, 농민조합을 불법화 하였다 또 일본의 만주침공 때임에도 불구하고 전력을 다하여 장시성(江西省)에 소비에트정부를 세운 중화인민공화국의 공격에 나섰다
1936년의 중일전쟁과 시안사건(西安事件)을 계기로 국공합작(國共合作)이 이루어지기도 하였으나, 제2차 세계대전 후 내전은 재연 되었고 1949년 본토상실로 타이완(臺灣)에 옮긴 국민당은 중앙집행, 감찰 양 위원회의 직권을 정지시키고 철저한 반공 반소정책을 취하여 본토수복을 최대의 목표로 삼았다
1969년의 제10기 대회에서는 당장(黨章) 정강의 수정이 행해져 제8기 대회에서 설치된 부총재의 직위는 폐지되었다 현재에도 국민당은 삼민주의에 바탕을 둔 5권분립의 헌정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1971년의 유엔에서의 중국 대표권의 경질등으로 본토의 회복은 사실상 불가능한 상태이며 세계 각국은 중국 대륙정부 중화인민공화국을 중화민국(중국) 합법정부로 인정하는 경향이다
중국의 1대 주석은 좌우익진영이 추대한 쑨원 전(前)주석이며 2대 주석은 1971년까지 장제스 전(前)총통이며 제3대 주석은 마오쩌둥 전(前)주석이다 아직도 대만정부나 중국정부는 모두 쑨원을 중국의 건국자로 추앙하고 있다
ㄱ.쑨원(孫文, 손문)
쑨원의 자는 일선(逸仙)이고 호는 중산(中山)이다
중화민국(중화민주공화국이나 중화인민공화국) 창시자로 국부(國父)로서 최고의 존경을 받아오고 있다
광둥성(廣東省) 샹산(香山: 현재의 중산)에서 중농(中農)의 아들로 태어나 서당에 다니다가 14세때 하와이의 형 쑨메이(孫眉,손미)에게로 가서 호놀룰루의 신교계(新敎系)고등학교에 입학하였다
18세 때 귀국하여 천주교 세례를 받고 광저우(廣州)와 홍콩(香港)의 서의서원를 졸업한 뒤 마카오 광저우등에서 개업하였다
외과에 능하였는데 병원은 날로 번성하였다
광저우 의학교에서 삼합회(三合會)의 수령인 정스량과 알게 되었으며 홍콩의학교 재학 때부터 혁명에 뜻을 두어 중국 주민의 94%인 한족(華族) 국가건설을 목표로 반청운동(反淸運動)에 참가 하였다 중국을 서양과 같은 나라로 개혁하려 한 그는 포르투갈영지(領地)인 마카오에서 쫓겨난 뒤부터 본격적인 혁명가로서의 길을 걷기 시작하였다
1896년 하와이를 거쳐 런던으로 갔으나 그곳에서 청나라 공사관에게 체포되고 홍콩의학교 때의 스승 J. 랜틀리등에 의해 구출되어 영문으로 <런던 피난기>를 발표하여 그의 이름과 중국사정이 세상에 널리 알려졌다
영국에 머무르는 동안 견문을 넓힌 그는 삼민주의(三民主義)를 구상하였다
1897년 미국을 거쳐 일본으로 건너가 미야사키 도텐(宮崎滔天)등 일본의 지사(志士)들과 사귀는 한편 캉유웨이(康有爲)등과의 제휴로 필리핀 독립원조를 꽤하였고 1900년 제2차 거병<후이저우, 蕙州사건>을 시도하였지만 실패로 끝났다
그 뒤 1905년 러일전쟁이 일어나자 일본 도쿄(東京)에서의 유학생등 혁명세력을 통합하여 중국혁명동맹회를 결성하고 반청(反淸)무장봉기를 되풀이 하였다 쑨원은 공화제 목표로 미국의 도움으로 일본 지식들과 제정러시아 타도, 반청운동(反淸運動) 그리고 러일전쟁에서 일본입장을 지지했다
1911년 10월 미국에서 군자금을 모금하던 중 신해혁명(辛亥革命)의 발발 사실을 알고 열강의 원조를 기다리며 유럽을 거쳐 귀국하였다 귀국 후 임시 대총통(大總統)에 추대된 그는 1912년 1월 1일 중화민국을 발족시켰으나 얼마 후 북부의 군벌들과 타협하여 정권을 위안스카이(袁世凱, 원세개)에게 넘겨 주었다
그 후에도 사회개혁을 추진하였으나 쑹자오런(宋敎仁)이 암살당한 것을 계기로 일어난 제2혁명이 실패하자 또다시 일본으로 망명, 중화혁명당을 창설하고 군벌들이 얽혀 싸우는 틈에 호법운동(護法運動)을 벌여 광둥을 중심으로 정권수립에 힘을 기울였다
그는 수 많은 좌절을 겪으면서 군벌 뒤에 제국주의자가 있다는 것과 인민들과 단결하여 반제 반군벌 싸움을 벌여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는 러시아혁명을 본받아 국민당을 개조한 뒤 공산당과 제휴(國共合作)로 농민. 노동자들과의 결속을 꾀하였다
그리고 국민혁명을 추진하기 위하여 북벌을 꾀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한 채 <혁명은 아직 이룩되지 않았다>는 유언을 남기고 베이징에서 객사하였다
1929년 그의 유해는 난징(南京) 교외의 중산릉(中山陵)에 묻혔다
쑨원의 정치사상은 삼민주의로 대표되는데 그것은 태평천국의 혁명적 전통을 이어받고 19세기의 자연과학(進化論), 프랑스의 혁명사상(人民主權說)과 영국의 사회학설(H.조지의 單稅論등)을 받아들여 중국 현실에 적응시킨 것이었다
만년에는 연소(聯蘇). 용공(容共). 농공부조(農工扶助)의 3대 정책으로 발전하였다 그는 자본주의의 폐해를 내용으로 하는 경자유전(耕者有田)의 견해를 표명하여 제국주의 단계의 후진국 혁명이론으로써 특권과 독점을 반대하는 삼민주의로 크게 발전시켰다
1968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임시정부를 지원한 공으로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 되었다
ㄴ.장제스과 1945년 8월 15일 장제스총통의 연설문(待人如己하라)
(ㄱ)장제스(將介石,장개석)
장제스의 본명은 중정(中正)이며 저장성(浙江省,절강성) 펑화현(奉化縣)에서 출생하였다
1906년 바오딩(保定)군관학교에 입학하고 다음해 일본에 유학 하였다
그 무렵 중국혁명동맹회에 가입하고 1911년 신해혁명에 참가하였다
1918년 쑨원(孫文)의 휘하에 들어가 주로 군사면에서 활약하고 1923년 소련을 방문 적군(赤軍)에 대해 연구하였다
1924년 황푸군관학교 교장, 1926년 국민혁명군 총사령관에 취임하여 북벌을 개시 하였다
1927년 상하이 쿠데타를 일으켜 공산당을 탄압하였으며 1928년 베이징을 점령 하였다 난징(南京)국민정부 주석과 육.해.공군 총사령관이 되어 당과 정부의 지배권을 확립하였으며 한편으로는 광둥성(廣東省). 광시성(廣西省)의 군벌들과 펑위샹. 옌시산등 지방군벌을 누리고 1930년부터는 5회에 걸쳐 대규모 중국공산당 포위전을 수행하였다
또한 만주사변 후 일본의 침공에 대해서는 우선 내정을 안정시키고 후에 외적을 물리친다는 방침을 세워 군벌으 이용 오로지 국내통일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내전정지(內戰停止). 일치항일(一致抗日)을 외치는 여론이 높아진 가운데 1936년 독전(督戰)을 위하여 시안(西安)에 갔다가 장쉐량(張學良)군대에 감금을 당하는 사건이 일어났으며 그 결과 1937년 국공합작(國共合作)으로 육.해.공총사령관의 책임을 맡고 전면적 항일전쟁을 개시하였다
항일전쟁 중에는 국민정부 주석, 국민당 총재, 군사위원회 주석, 육.해.공군 대원수등의 요직을 겸직하여 최고권력자로 군림 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후 1946년 다시 중국공산당과 결별하고 내전을 개시 하였다 처음에는 우세하였으나 1949년 12월 완전히 패퇴하여 본토로부터 타이완(臺灣)으로 정부를 옮겨 미국과의 유대를 더욱 강화하고 자유중국과 대륙반공을 제창하여 중화민국 총통과 국민당 총재로서 타이완을 지배하였다
195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한민국 독립을 지원한 공로가 인정되어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받았다
(ㄴ)대인여기(待人如己)하라 연설문(1945년 8월 15일, 승전경축 라디오 연설)
전국 국민여러분!
전세계의 평화를 애호하는 신사 숙녀 여러분!
우리의 정의는 강권에 승전하여 드디어 사실의 증명을 얻은 것입니다 우리 조국이 암흑 속에서 8년간 분투한 신념을 지금 비로서 실현된 것입니다 면전에 출연한 영화에 대하여 우리는 항전이래로 희생된 우리 전국 국민들에게 감사하여야 하며 더구나 우리 혁명정책의 길을 간고영도(艱苦領導)하여 우리에게 오늘의 승리와 성공의 하루를 같게하여 주신 국부(國父,孫文 건국자)에게 감사하여야 하며 전 세계의 기독교도는 인자전능(人慈全能)한 하느님께 감사하여야 합니다
우리 전국 동포의 항전이래 8년간이라는 고통은 나날이 깊다고 하나 항전의 신념은 나날이 증강되었으며 더구나 우리 함락구(陷落區)의 동포들은 무한한 잔인과 압박을 받았고 몇배나 간고(艱苦)를 겪으면서 오늘에 이르러 완전한 해방을 얻어 하늘을 다시 우러러 보게 된 것입니다
최근 각지 국민의 환호와 쾌락의 정서는 과거의 비애를 덮어버렸으며 그 중요한 의의는 점령구의 동포들이 해방을 얻는데 있는 것입니다
현재 항전은 이미 승리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최후의 승리자가 아니며 전쟁의 의무는 세계에 있어 또 한번 승전을 하지 않게 하여야 하는 것임을 알아야 하고 더구나 이번의 승리는 즉 세계의 공력임을 알아야 한다
나는 전세계의 인류와 전 중국의 동포가 이 전쟁이 세계문명국가가 참가 적전한 최후의 전쟁이 되기를 일치해서 희망하리라고 믿는 바입니다
만일 이것이 최후의 전쟁이라면 우리 동포들이 형용할 수 없는 참혹한 고통을 받았다고 할지라도 우리의 수확은 만족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중국 국민은 제일 암흑한 시대에 처하여 일관한 인내와 전통정신으로 부단히 노력하여 정의와 인도를 위한 희생은 반드시 흥분의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것임을 알게 된 것입니다
전 세계에 걸친 전쟁으로 말미암아 연합한 민족상호간에 발생한 상호협력과 존중은 이번 전쟁의 댓가인 것입니다
우리 연합국이 청년의 피와 살로서 축성(築성)한 반침략장성(反侵略長城)은 임시적 결합일 뿐 아니라 인류공동의 신앙을 위한 일종의 영원한 조합(組合)이며 이것이 연합국이 승리한 기초로서 적의 어떠한 음모로써도 절대로 파괴할 수 없는 것입니다
금후지역을 나누지 않고 종색(種色)을 근별하지 않고 인류는 다 같이 반드시 연합을 더욱 깊이하여 수족과 같이 할 것을 믿는 바입니다 이번 전쟁은 인류가 상호간의 존경과 신앙 및 관계를 발양(發揚)하였고 또 세계전쟁과 평화는 불가불리(不可不離)한 것이며 또 이것이 금후전쟁을 또다시 발생시키지 않은 힘 있는 증명이 되는 것을 증명하였습니다
여기서 나는 기독훈련에 말씀하신 <待人如己(대인여기)>와 <要愛不離(요애불리)>의 이야기가 사실 무한한 감상으로 생각됩니다
우리는 남에게 착하게 하는 것이 우리의 전통적 정신이며 우리의 일관한 성명은 <우리는 일본 군벌만을 적으로 하고 절대로 일본 백성을 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였으며 현재 일본군벌은 이미 다되어 있으니 만큼 우리는 당연히 투항조건을 충성으로 집행하여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절대로 일본인에게 대하여 오욕(汚辱)하려고 하여서는 안되고 응당히 그들 및 그들의 나치군벌의 압박능욕하(壓迫凌辱下)에 있는 백성에게 대해서는 가엾게 여기는 마음을 표시하고 그들로 하여금 속히 죄악에서 벗어나게 하여야 합니다
폭행으로써 과거의 폭행에 보복하고 투쟁으로 보복하여 그칠날이 없다면 그것은 인의지사의 본의를 잊어버린 것이며 이것이 우리의 각자 국민 모두가 특별히 주의 하여야 할 것임을 알아야 합니다
동포들이여!
현재 침략주의는 이미 격파 되였으나 아직 진실한 목적에 도달하지 못하였으니 그 침략배경과 숨은 힘을 철저히 소멸시키야 합니다
승리의 보상은 절대로 교사(驕奢,교만과 사치)와 태타(怠墮, 게으름과 타락)가 아님을 알아야 합니다 또 전쟁중지 이후의 공작은 우리가 더욱 큰 노력으로써 개혁과 건설의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어느 시기에 있어서 우리는 전시와 비교하여 더욱 간고하고 곤란한 현실에 이를지도 모르나 이러한 현실은 그때 그때 전부 우리머리 위에 이르게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장래 비교적 간고한 공작은 일반이 순전히 영도를 받은 공산공작자에 대한 문제인데 우리는 어떻게 하면 그 자신이 착오를 이행하게 하여 삼민주의(三民主義)로써 강권(强權)과 정의의 합리적 인가를 이해하게 하는 것이 우리 중국과 동맹국이 금후 노력하여야 할 한줄기 공작입니다
(2)중국 공산당
중국 공산당은 1921년 창당 되었으며 <중공(中共)>이라 약칭한다
소련공산당과 나란히 국제공산주의 운동에서 한축의 영수적 위치를 차지하며 현대 수정주의 비판의 가장 급진적 주장을 가진 공산당으로서 주목되고 있다
1921년 상하이에서 창당, 당초부터 코민테른의 지도를 받아 천두슈(陳獨秀)를 지도자로 하여 주로 도시 노동자를 중심으로 지지층을 형성 하였다
1949년 10월 1일 정권을 수립하기까지 이른바 ㄱ.제1차 국내혁명전쟁(1909--1927, 1차 국공합작) ㄴ.제2차 국내혁명전쟁(1927-1936, 瑞金 소비에트 정권 시절) ㄷ.항일전쟁(1937-1945, 2차 國共合作) ㄹ.제3차 국내혁명전쟁(1946-1949,國共內戰)등 4단계를 경과 하였다
1924년 제1차 국공합작(國共合作)이 실현되어 1926년 국민당과 공동으로 북벌(北伐)을 개시하였는데 중화민국 건국자 쑨원 전(前)주석이 사망한 후1927년 4월 상하이에서 장제스의 반공 쿠데타를 만나 큰 타격을 받았다
1927-1934년 극좌적인 방침을 취하려다 실패 당세가 후퇴 하였다
1931년 장시성(江西省) 루이진(瑞金)에 소비에트 정권을 수립 하였다 장정(長征) 도중인 1935년 1월 구이저우성(貴州省) 쭌이(遵義)의 당회의(정치국 확대회의)에서 마오쩌둥이 당의 지도권을 획득하였다
1935년 8월 소위 항일민족통일전선을 제의하여 제2차 국공합작에 성공, 항일전의 승리의 기초를 닦았다
1946년에 시작된 국공내전(國共內戰)에 승리함으로써 1949년 공산당정권을 수립하기에 이르렀다
정권 수립 후 장궈다오(張國燾,장국도). 가오강(高崗,고강). 왕밍(王明). 펑더화이(彭德懷)등에 의하여 야기된 심각한 당내 권력투쟁이 계속되었으며 1956년의 스탈린 비판 이후부터 점차 소련공산당과의 대립이 심화 되었다
1965년 가을 문화대혁명이 일어나 류샤오지(劉小奇)를 비롯한 초창기 이래의 지도자들이 잇달아 실각하고 당내투쟁의 격동은 1969년 9전대회에 의한 마오쩌둥(毛澤東)-린뱌오(林彪)노선의 확립에 이르기까지 계속되었다
그 후 소위 항미무장투쟁노선(抗美武裝鬪爭路線)을 내세우는 린뱌오.김일성과 유연외교노선(柔軟外交路線-실용주의노선, 친미정책과 미국 중국국교 정상화)을 주장하는 저우언라이(周恩來).등소평 사이에 대립이 일어나고 대미,대소외교문제와 국내 경제 건설문제를 둘러싼 당내 투쟁이 격화 되었는데 그 결과 1972년에는 린뱌오(林彪)의 실각이 명백해졌다 그 이후부터 저우언라이(周恩來)의 대미협조를 축으로 한 유연한 외교노선이 정착,1973년 제10전대회에서 린뱌오(임표) 천보다(陳伯達)의 당외(黨外) 영구 추방이 확인 되었다
저우언라이(周恩來). 덩사오핑(鄧小平)등 경제재건을 중시하는 사람들에 대하여 후에 4인방(四人幇)이라 불린 왕홍원(王洪文). 장춘차오(張春橋). 장칭(江靑). 야오원위안(姚文元,요문원)등은 정치우선을 주장 저우언라이(周恩來). 덩샤오핑(鄧小平)등을 유생산론자(唯生産論者) 주자파(走資派)라 비판하고 저우언라이(周恩來)가 사망(1976년 1월)한 후 세력을 확대 텐안먼사건(天安門事件,1976년 4월)을 이용하여 덩샤오핑(鄧小平)을 추방하였다
그러나 마오쩌둥 사망 그해 9월 직후 화궈펑(華國鋒) 당 제1부주석. 총리등에 의하여 4인방은 타도 되었다
1976년 10월 화궈펑(華國鋒)은 당주석에 취임, 국무원 총리를 겸임하고 예젠잉(葉劍英)부주석, 후에 재복권한 덩샤오핑(鄧小平) 부주석. 부총리와 함께 마오쩌둥 사망 후의 중국공산당(中共)의 최고 지도부를 형성 하였다
1977년 8월에 열린 11전대회는 4인방 비판의 강화를 호소함과 동시에 제1차 문화대혁명의 종결을 선언하였다
그 후 화궈펑(華國鋒)도 덩샤오핑(鄧小平)의 개혁에 밀려나고 1981년 덩샤오핑(鄧小平) 후야오방(胡耀邦) 자오쯔양(趙紫陽)체제가 확립되었다 등소평 전(前)주석부터는 자본주의 3대 원칙 사유재산. 영리추구. 자유시장경쟁등을 도입하여 자유화 개방화를 주도했으며 일당독재(프롤레타리아독재)도 삭제했으며 자산계급 중심을 새 중국으로 나아가고 있다
강택민전주석이나 후금도현주석은 주은래 전총리 기념관 홈페이지 사이트를 개설하여 추모 추앙하고 있으며 주은래 등소평 실용주의 노선 즉 자본주의민주주의 혁명 후 사회주의와 자유주의 공존으로 나아가려고 하고 있다
중국 공산당 역사는 홍(紅)-전(專,展)의 투쟁사이다
중국 공산당 역사에서 홍(紅)은 공산당의 주의, 사상과 정치를 말하고 전(專,展)은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즉 유생상론(唯生産論)과 주자론(走資論) 자본주의 성장을 뜻한다
홍(紅)의 사상의 대표적인 인물이 붉은 깃발 모택동주의자 중 임표등 4인방 그룹이며 전(專, 展)사상의 대표적인 인물이 모택동주의자 중 주은래. 등소평등 주자파그룹이다
ㄱ.마오쩌둥(毛澤東, 모택동)과 린뱌오사건(林彪事件)
(ㄱ)마오쩌둥(毛澤東, 모택동)
마오쩌둥 전(前)주석은 1892년 12월 도둑의 소굴로 이름난 후난성(湖南省) 샹탄현(湘潭縣, 상담현) 사오산(韶山)이라는 마을에서 중농(中農) 농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후난성 농민은 중국역사를 통해 굳세고 굽힐 줄 모르는 기질을 지닌 백성이라는 정평이 있다 후난성은 때로는 도둑과 영웅의 땅으로 알려진 곳이다
그러나 후난성(湖南省)은 중국에서 가장 풍부한 곡창의 하나며 후난성의 장사군은 흔히 중국의 독일인이라고 일컬어져 왔다
아버지는 자산계급 중농(中農)정도의 오붓한 살림을 양지 바른 산 밑에 꾸리고 있었다 마오쩌둥은 8세때 초등학교에 입학고 13세까지 논어(論語)와 사서(四書)등을 읽고 쓰고 주판을 튀길 정도의 공부만 시키고 12세때 결혼을 했다
농촌에 일손이 필요했고 그때의 풍속으로는 자라면서 농사를 짓고 일찌기 결혼해서 늙기전에 자식에게 물려주는 것이 상례이었기 때문이다
마오쩌둥은 아버지의 일을 도우면서 게으름을 피기도 하고 꾀를 내기도 하였다 마오쩌둥 소년은 곧장 삼국지나 수호전 같은 중국 무협지에 탐닉하게 되었고 이것은 아버지로부터 심한 꾸중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마오쩌둥은 16세가 되어서야 소학교에 가기 위해 아버지의 반대를 물리치고 집을 뛰쳐 나왔다 마오쩌둥 소년은 1909년 둥산(東山)고등소학교에 들어가서나 1년 남짓 다니다가 삼국지에 대한 논쟁으로 선생과 다툰 후 퇴학당하였다
그 뒤 창사(長沙)의 샹샹(湘鄕)중학으로 옮겼고 동맹회 <민립보(民立報)>의 열렬한 독자가 되어 그 신문에 실린 반청론(反淸論)이나 혁명론에 많은 감동을 받았다
1911년 10월 신해혁명이 일어나자 혁명군에 입대하였다가 1912년 제대한 뒤 제1중학에 입학하였으며 다시 창사(長沙)에 제4사범학교가 만들어져 그 곳에 입학 했으나 이 학교가 없어지자 장사 제1사범학교로 편입되어 여기에서 5년간 사범학교를 다닌게 되었으니 이것이 마오쩌둥의 학문 탐구의 전부이다
마오쩌둥은 체계적인 학문이 없기에 그는 외국어나 수학, 과학에 대해선 백지에 가까왔다 역사나 철학에 대해서는 퍽이나 흥미를 가지게 되었고 후에 장인이 된 영국에 유학하고 돌아와 중국의 봉건사회 사상을 비판에 힘썼던 교사 양창지(楊昌濟)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재학 중인 1917년 거의가 제1사범학교 학생들로 구성되고 후난성 혁명 지식인들의 본영이 된 신민학회(新民學會)를 조직하였다
1918년 학교를 졸업한 뒤 베이징(北京)으로 가서 후난성 청년들의 외국유학을 도왔다 프랑스 유학을 시도하다가 포기하고 1918년 10월 마오쩌둥은 소련 중국학회에 가입하였고 양창지의 소개로 베이징대학 도서관 주임인 리다자오(李大釧)의 조교로 일하면서 방청하였으며 철학회와 신문학연구회(新文學硏究會)의 활동에 적극 참여 하였다 또 양창지에게 유물론적 철학과 윤리학 강의를 받았고 비밀학생단체들과 접촉하면서 무정부주의에 관한 책을 많이 읽어 그의 사상은 마르크스주의로 기울게 되었다 마오쩌둥도 유럽.미국등 서방역사나 경제학을 공부하거나 연구했다면 마르크스주의자보다는 사회주의자나 자유주의자가 되었을 것이다
1919년 5.4운동 발발 후 후난성 학생연합회를 설립하고 샹장평론(湘江評論)을 펴냈으나 곧 폐쇄당하고 베이징으로 도망쳤으며 러시아혁명에 관한 책을 많이 읽었다
베이징대학(北京大學)에서 모택동은 대학 강의를 도강하기도 하고 개인적인 접촉등으로 교수들과 대화를 가질 수 있었으며 또한 공산당에 관한 도서를 탐독할 수 있었으니 이때가 마오쩌둥에게는 가장 다이나믹한 시절이라 할 수 있겠다
1920년 상하이에서 천두슈(陳獨秀)를 만났으며 당시 창사(長沙)로 돌아와 1924년까지 창사(長沙) 제1사범학교의 부속 소학교 교장 겸 사범부의 어문(語文)교사가 되었다
1922년 양창지의 딸 양룬후이(楊開慧)와 결혼 하였고 1922년 7월 상하이의 중국공산당 창립 대회에 참가 하였으며 중국공산당 창당 13명 대표 중 한사람으로 후난성 대표로 참가하였다
공산당이 창당될 무렵 마오쩌둥은 후난성에 드나들면서 젊은이들에게 꽤 알려진 지도자가 될 수 있었다
특히 양룬후이(楊開慧)와의 결혼 중에 두 사람은 후난성 지역 젊은층에게 존경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1924년 국공합작(國共合作)이 되자 공산당 중앙위원, 국민당 제1기 후보, 중앙집행위원, 선전부장 대리, 중앙농민운동 강습소장, 정치주보 사장등을 겸임하였다
1926년 장제스의 숙청으로 상하이에 갔다가 1927년 우한(武漢)으로 가서 중국 공산당 중앙 농민부장이 되었고 국공분열 뒤 농홍군(農紅軍) 3,000명을 조직하여 징강산(正岡山)에 들어가 근거지로 삼고 주덕(朱德)의 군대와 합류하였다 특히 양룬후이(楊開慧)와의 결혼 중에도 두 사람은 국공합작 시절에는 서로의 임무 때문에 떨어져 공작해야만 했고 국공합작이 결렬되자 양룬후이(楊開慧)부인은 장제스군에게 체포되어 1929년 처형되었다
징강산(井江山)에 근거를 잡은 마오쩌둥은 교사출신 하사정과 다시 결혼생활에 들어갔으나 장정때 그녀는 폭격을 맞아 심한 부상을 입고 소련으로 보내져 치료을 받게 되어지만 하사정도 죽었다
1928년 공농홍군(工農紅軍) 정치위원이 되었고 1930년 홍군 제1방면군 군사위원, 중국 공농혁명위원회(工農革明委員會) 주석에 올랐다
1931년 장시성(江西省) 루이진(瑞金)의 중화 소비에트 정부 중앙집행위원회 주석이 되었고 그 인민위원회 주석으로 뽑혔다 1934년 10월 루이진에서 산시성(陜西省) 옌안(延安)까지의 1만 2,500km에 이르는 대서천(大西遷)을 시작하였으며 도중에 구이저우성(貴州省) 쭌이(遵義)회의에서 당 지도권을 장악하였다
시안사건(西安事件)을 거쳐 국공합작에 성공하자 항일민족통일전선을 수립하고 홍군(紅軍) 국민혁명 제8로군으로 개편하여 일본군에 대항하였다 그리고 지구전론<持久戰論, 1938년> 신단계론<新段階論,1940년> 신민주주의론<新民主主義論,1940년>을 발표하였는데 마지막 것은 중국공산당 강령으로 채택하였다
1945년 4월 중앙 제7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정치보고로 연합정부론을 발표하였고 중앙위원회 주석이 되었다
연안에 온 마오쩌둥은 의도적으로 그와 가까이 하는 강청과 동거에 들어갔다 그리고 1945년 9월 두사람은 당의 허가를 얻어 결혼을 했는데 이때 장제스 부인 송미령여사는 5캐러트 다이아반지를 선물하기도 하였다
전쟁이 끝난 뒤인 1945년 8월 충칭(重慶)에서 장제스와 회담하여 화평건국의 제원칙에 합의 하였으나 실행에 불가능하게 되자 1946년부터 1948년 내전을 벌여 승리하였고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를 베이징에 세우고 국가주석 및 혁명군사위원회 주석으로 뽑혔다
1949년 12월 소련을 방문하여 1950년 2월 중소우호동맹조약과 기타 협정을 맺었다 1957년 반우파(反右派) 투쟁과정에서 <인민 내부의 모순을 바로 잡는 문제에 대하여>를 발표하였고 1958년 제2차 5개년 계획의 개시와 더불어 <총노선> <대약진> <인민공사>등 이른바 3면홍기(三面紅旗)운동을 폈다 1959년 4월 국가주석을 사임하고 죽을때까지 당주석으로만 있었다 1964년 4월 <마오쩌둥어록>을 간행시켰고 1965년 10월 이후에는 당내에서 완전 고립되어 연금상태에 있었으나 문화대혁명을 지휘하였으며 1960년 이후의 중소논쟁과 문화대혁명 기간을 통하여 마오쩌둥 사상을 높이 내걸었다
1968년 10월 1959년부터 국가주석으로 있던 류샤오치(劉小奇)를 실각시켰다
1969년 마오쩌둥-린뱌오(林彪)체제가 확립되는 듯 하였으나 1971년 9월 린뱌오는 반(反)마오쩌둥 운동에 실패하여 죽었다
1970년 헌법수정초안을 채택하여 1인체제를 확립하고 중국 최고지도자로 군림하였다 그러나 그가 사망하기 직전인 1976년 4월 대중반란이라고도 할 천안문사건이 일어나 위대한 영웅 독재자 마오쩌둥은 완전히 고립된 채 1976년 9월 84세를 일기로 운명을 달리 하였다
그의 전생애를 살펴볼때 중국의 독립과 주권을 회복하고 중국을 통일하여 외세에 의해 국토를 유린당한 중국민들의 굴욕감을 씻어주며 관료제도를 견제하고 대중의 정치참여를 유지하여 중국의 자립을 강조한 그의 목표는 칭송할 만한 것이었으나 2가지 개혁정책인 대약진운동과 문화대혁명은 잘못된 것이었다
1951년 12월부터 이듬해 6월까지 소위 3반운동(三反運動)과 5반운동(五反運動)은 유명한 정책이었다
3반운동(三反運動)이란 정부각급 기관. 학교. 군대. 공영기업등에서 관료주의.오직.낭비등의 삼해(三害)를 제거하자는 운동이며 5반운동(五反運動)은 국가자재의 절도. 재료 및 시공의 협잡.증뢰(贈賂). 탈세. 국가경제 정보의 누설등을 없애자는 운동이었다
(ㄴ)린뱌오사건(林彪事件, 임표사건)
중국 공산당 수립 이래 중국 최대의 정치사건이 린뱌오사건이다
린뱌오(임표)는 문화대혁명때 마오쩌둥사상을 절대화하고 인민해방군을 지휘하여 마오쩌둥을 도왔다
그 공으로 중국 공산당 제9회 전국대표자대회(1969년)에서 마오쩌둥의 후계자로 지명되었다
1971년 9월 12일 마오쩌둥이 항조우(杭州)로부터 열차를 타고 상하이(上海)에 가려고 했을때 린뱌오(林彪)가 열차폭파를 기도했다
그러나 린뱌오의 딸 린더우더우(林豆豆)가 이를 저우언라이(周恩來)에게 보고함으로써 마오쩌둥은 비행기로 베이징(북경)에 돌아갔다
그날 오후 린뱌오는 암살계획이 실패했음을 알고 베이다이허(北載河)까지 달아난 후 트라이던트 비행기를 타고 소련에 망명하려 했지만 다음날 아침 몽고 영내에서 추락사 했다
이 사건을 1973년 중국 공산당 제10회 전국대표자대회에서 정치보고를 통하여 발표한 총리 저우언라이(周恩來)는 <린뱌오사건>의 진상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밝혔다
"1970년 8월 제9기 중앙위원회 제1차 총회에서 반혁명 쿠데타를 일으켰다가 미수에 그쳤다 이어 1971년 3월 반혁명 무장쿠데타계획인 <571 공정기요(工程紀要)>를 입안하였고 1971년 9월 8일 반혁명 무장쿠데타를 일으켜 주석 마오쩌둥을 모살(謀殺)하고 별도로 중앙정부를 수립하려고 하였다 음모가 실패로 끝난 후 린뱌오는 1971년 9월 13일 몰래 비행기를 타고 소련수정주의 진영으로 도피 당과 나라를 배반하려다가 몽골의 운데르한에서 추락해 죽었다 <571공정기요(工程紀要>는 571(우치이)는 무장봉기를 뜻하는 우치이(武起義)의 발음을 빗댄 말이며 유포되어 있는 기요(紀要)에 의하면 마오쩌둥을 현대의 진시항제라 하여 그를 타도하여야 한다고 호소하고 있다"
린뱌오사건은 문화대혁명을 주도한 공산주의 친소 임표진영과 실용주의 친미 친서방 주은래 진영의 투쟁에서 미국과 중국수교 그룹인 실용주의자 주은래진영의 승리로 내다보고 있다
임표는 후베이성(湖北省) 황강(黃崗)출생으로 1926년 황푸군관학교(黃織軍官學敎)를 졸업하고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였다 조선의용대 김무정등도 황포군관학교 출신이다
임표는 1927년 국공분열 후 난창(南昌)폭동에 참가하였으며 주더(朱德) 마오쩌둥(毛澤東)과 함께 게릴라활동, 1934-1935년 대장정(大長征)에 참가 하였다
1936년 항일군정대학 교장. 1937년 팔로군 115사단장. 1947년 8월 만주에서 소련군으로부터 일본군의 무기를 접수하고 동북인민해방군을 조직하였으며 동북성사령관으로 만주를 장악하였다 린뱌오는 만주를 장악과 일본군 무기로 중국 전체지역를 점령할 수 있는 군비토대를 마련했고 팔로군 부대로 중국내전에서 승리하였다
그리고 한국전쟁 발발 후 중국인민지원군 총사령관으로 참전 하였다
린뱌오는 1967년 문화대혁명 속에서 마오쩌둥 강청과 결합 미국과 중국수교세력이며 실용주의자 주은래,등소평 세력을 제압하고 군의 힘을 동원해 권력을 탈취하였고 1969년 중국 공산당 제9기 전국대표자대회에서 마오쩌둥의 후계자임을 당규약으로 명기하였다
린뱌오는 마오쩌둥을 살해하고 친소정부를 수립하려다가 주은래 등소평등 세력에게 제거되었다..
ㄴ.덩샤오핑(鄧小平,등소평)과 톈안먼(天安門) 사건
(ㄱ)덩사오핑(鄧小平,등소평)
덩샤오핑 전(前)주석은 쓰촨성(四川省) 출신이며 1918년 프랑스 유학 191년부터 1924년 파리에서 인쇄공으로 일을하면서 독학으로 공부를 했으며 프랑스에서 주은래 전(前)총리등과 서구식 공산주의 운동에 참여 하였으며 그 후 모스크바의 중산(中山)대학에서 수학하고 귀국하여 1927년 광시에서 공산당 지하운동에 종사하였다 등소평전(前)주석과 주은래 전(前)총리등은 프랑스 유학생으로 소련식 인민회의제 일당독재 정부보다는 프랑스등의 유럽식 사회주의를 지향했다 주은래전총리는 미국과 중국 국교정상화에 노력했으며 등소평 전주석은 자유화,개방화를 실시하여 자본주의 3대 원칙 기반으로 배고픔에서 해방된 국가를 지향했다 등소평전(前)주석은 주석으로 추대된 후 1980년 초 미국을 방문했다
등소평 전주석은 1933년 소련공산당 교조주의자 중국 공산당에 반기를 든 중국 공산당 반주류였던 마오쩌둥(毛澤東)을 지지하고 장정(長征)에 참여 하였다 대장정 도중에 그의 처가 다른 남자와 정을 통하여 도망을 가게 되었으며 그는 그 여인의 심정을 이해한다고 고백했다 대장정은 죽음의 길이었다
항일전 내내 공산당의 팔로군에서 정치위원을 지냈고 1949년 장강(長江) 도하작전과 난징(南京) 점령을 지도하여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에 공을 세웠다
1952년 정무원 부총리, 1954년 당 중앙위원회 비서장, 1955년 정치국 위원이 되었다
한편 류시오치(劉少奇)등과 함께 경제발전을 위하여 물질적 보상제도를 채택하고 엘리트를 양성하자는 실용주의자 노선을 주장하였더 그 결과 마오쩌둥과 노선 갈등을 빚어 1966년 문화 대학명 때 홍위병으로부터 반모주자파(反毛走資派)의 수괴라는 비판을 받고 실각하였다
1973년 3월 프랑스 유학생 선배인 총리 저우언라이(周恩來)의 추천으로 복권되어 국무원 부총리가 되었으나 1976년 1월 저우언라이(周恩來)가 죽자 머오쩌둥(毛澤東)의 추종자 4인방(四人幇)에 의하여 다시 권좌에서 밀려났다
그 해 9월 마오쩌둥(毛澤東)이 죽고 화궤펑(華國鋒)이 저우언라이(周恩來) 계열의 노간부인 예전잉(葉劍英), 특무부대장인 왕둥싱(汪東興)과 결탁하여 4인방을 숙청하였으나 화궈펑(華國鋒)의 힘만으로는 정국 수습이 어려웠으므로 예젠잉의 종용으로 1977년 7월 덩샤오핑은 복직되었다
그후 화궤펑(華國鋒)과 5년간의 권력투쟁 끝에 1981년 실질적인 권력을 장악 하였다 그는 1980년 초 미국을 방문하여 레이건 전(前)대통령과 환담을 하였고 이때부터 실용주의 노선에 입각하여 과감한 개혁조치들을 단행 하였다
그의 집권 후 기업가와 농민의 이윤보장, 지방분권적 경제운영, 엘리트 양성, 외국인 투자 허용등으로 중국경제가 크게 성장 하였다
1989년 4월 톈안먼(天安門)사건으로 그의 정치적 거취가 불안해 보였으나 위기를 수습하고 중국 정계의 최고실권자로 개혁과 개방정책을 추진하였다
등소평 전주석은 1990년 4월 상하이 출신이며 자유화 개방화노선주의자 장쩌민 전주석에게 군(軍)통수권 군사위윈회 위원장을 넘겨 주었다
(ㄴ)톈안먼 사건(天安門 事件)
--1976년 4월 5일 톈안먼사건(天安門 事件)
중국 마오쩌둥(모택동) 체제 말기인 1976년 4월 5일에 있었던 대중 반란 사건--
중국 문화대혁명 이래의 마오쩌둥 사상 절대화의 풍조(모택동주의 종교화)와 마오쩌둥 가부장체제(우리 어버이 모택동. 가정마다 초상화등)에 대한 중국 민중의 저항을 나타낸 획기전 사건이었다
1976년 1월 프랑스 유학생이며 사회민주주의자 실용주의자 저우언라이(주은래) 총리가 사망하자 중국에서는 주자파(走資派:자본주의의 길로 나아간 실권파) 비판운동이 일제히 일어났다
따라서 오랜 기간 중국의 혁명과 건설 및 국제적 무대에서의 중국의 위신 증대에 기여한 저우언라이(周恩來) 총리를 추도하려는 중국 민중의 의지는 꺾이고 다시 자산계급 인정 후 농업생산력을 부정하는 집단농장과 공동생산 공동분배 공산주의 경제도입 그리고 친미적 자주노선을 버리고 교조주의적 친소련정책등의 극좌적 조류가 지배하기 시작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고인을 추모하기 위해 1976년 4월 4일 청명절(淸明節)에 베이징의 민중은 손에 손에 화환과 플래카드를 들고 톈안먼(天安門) 광장에 있는 인민 영웅기념비를 향해 시위 행진 하였다
저우언라이(周恩來)의 자필 비문이 새겨져 있는 기념비는 민중의 화환에 의해 제단으로 변하였다
그러나 베이징시 당국과 관헌은 이 기념비에 바친 화환을 모두 철거하였고 다음날인 5일 격노한 대중은 반란을 일으켜 건물과 자동차등에 방화를 하는 등 일대 소요가 야기 되었다 플래카드에는 후에 4인방이라 하여 체포된 마오쩌둥의 부인 강청(江靑)과 측근인 야오원위안(姚文元,요문원)등을 비판하는 시(詩)가 많이 거재 되어 분명하게 마오쩌둥 체제에 대한 반역의 역사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 사건은 공안당국과 군에 의해 반혁명사건으로 철저히 탄압되었으며 덩샤오핑(등소평,당시 중국 공산당 부주석. 부총리)에게 책임을 물어 4월 7일 그의 모든 직무를 박탈함으로써 실각시켰다 반면 이 사건으로 해서 화궤평(華國鋒)은 정식으로 총리의 자리에 올랐다 중국은 그해 9월 마오쩌둥이 사망하고 10월에는 베이징 정변으로 4인방이 체포되는 등의 격동의 시기를 체험했으나 이러한 와중에서 비마오쩌동화(非毛澤東化)가 진행되어 1978년 11월에는 텐안먼 사건이 혁명적 행동이었다는 대역전의 평가를 받게 되었다
이후 이 사건은 1919년의 역사적인 5.4운동을 본떠서 4.5운동이라 부르게 되었다
--1989년 6월 4일 톈안먼 사건(天安門 事件)
1989년 6월 4일 미명에 민주화를 요구하며 베이징의 톈안먼 광장에서 연좌시위를 벌이던 학생.노동자. 시민들을 계엄군을 동원하여 탱크와 장갑차로 해산시키면서 발포, 많은 사상자를 낸 사건이다--
1989년 4월 15일 후야오방(胡耀邦)이 사망한 후 베이징지역 팡리즈등 지식인을 중심으로 후야오방(胡耀邦)의 명예회복과 민주화를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었다
특히 학생들은 노동자. 지식인을 포함한 광범위한 시민층을 대표하여 5월 13일 이래 베이징대학과 베이징사범대학을 중심으로 전국에서 모인 학생대표들과 함께 텐안먼 광장에서 단식연좌시위를 계속했다
1989년 5월 15일 소련의 고르바초프가 베이징에 도착했으나 17일 발생한 100만 명이넘는 대규모 시위로 일정을 변경해야만 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에 당국은 학생들의 시위를 난동으로 규정 베이징시에 계엄을 선포했다
한편, 학생들의 요구에 유연한 대응을 보이던 공산당 총서기 자오쯔양(趙紫陽)의 행방이 묘연해지고 그의 해임설이 떠도는 가운데 덩샤오핑의 후계자로 알려진 양상쿤(楊尙昆)국가주석과 리펑(이붕) 국무원 부총리등 강경파가 주도권을 잡았다
이들은 1989년 6월 3일 밤 인민해방군 27군을 동원, 무차별 발포로 톈안먼 광장의 시위군중을 살상 끝에 해산시켰으며 시내 곳곳에서도 수천 명의 시민, 학생,군인들이 시위 진압과정에서 죽거나 부상했다
이 사건은 당시 중국과 소련 정상회담 취재차 입국했던 외국기자들에 의해 즉각 전세계로 보도되었으며 미국을 비롯한 유럽 여러 나라는 이와 같은 비인도적 처사에 항의 강력한 비난 성명을 냈다
이 사건 이후 민주화운동의 상징적 인물이 된 천체물리학자 팡리즈는 미국 대사관으로 피신하였다 이른바 피의 일요일로 불리는 이 사건 이후 중국지도부는 반혁명분자에 대한 숙청, 개인숭배 조장, 인민들에 대한 각종 학습등 체제 굳히기와 함께 개방정책 고수를 천명하고 마르크스 레닌주의의 확립을 내세우는 등 이율배반적 태도를 보여왔으며 특히 동유럽의 민주화 물결을 극복하는 데 인간힘을 쏟았다
이 사건 이후 대학시절 상하이 학생운동권의 핵심인물 출신이며 자유화 개방화 상징 상하이 시장출신 장쩌민 전(前)주석이 중국 공산당 총서기로 등장하게 되었다
1989년 4월 5일 시위때 북경 대학생들의 말
<경제수준은 날이면 날마다 낙후되고 무엇보다도 인민들은 민주주의와 자유, 인권을 배앗겼다 우리는 언론출판.집회. 표현의 완전한 자유, 서구화된 정치 메카니즘의 건설, 그리고 시대에 뒤떨어진 이데올로기의 청산을 요구한다>
공산주의 반대 자본주의! 민주주의 반대 독재주의!
자본주의민주주의 혁명 후 사회주의와 자유주의 공존으로....
ㄷ장쩌민(江澤民,강택민)
장쩌민 전(前)주석은 장쑤성(江蘇省) 양저우 출생으로 상하이 교통대학 전기학과를 졸업하였다 재학시절 상하이 학생운동권의 핵심인물로 두각을 나타내고 1946년 공산당에 입당, 졸업한 후에도 지하활동을 게속하였다
1949년 상하이에 있는 식품공장. 비누공장. 전기 기계공장의 서기. 공장장등을 지내고 1955년 모스크바 스탈린 자동차공장에서 1년간 연수하였다
1956년 귀국 후 1966년까지 창춘(長春). 우한(武漢). 상하이등지를 옮겨가며 공장관리자 및 공장연구소 책임자로 일하였다
1966년 문화대혁명이 시작되자 곧 당과 공직에서 추방되어 10년 동안 피신생활을 하다가 1976년 국무원 제1기계공업부의 책임자로 복귀하였다 1980년 국가수출입관리위원회 부주임. 외국투자관리위원회 부주임을 거쳐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위원이 되었다
1983년 국무원 전자공업부장(長官)에 오르고 1984년 국무원 전자공업진흥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냈다 1985년 상하이시 시장이 되고 1987년 상하이시 당 서기장직도 맡아 당 중앙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면서 중국의 핵심인물로 떠올랐다
1989년 6월 당 총서기 자오쯔양(趙紫陽)이 텐안먼(天安門)광장시위에 동조하였다는 이유로 실각하자 같은 달에 개최된 제13기 4차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당 서기에 선출되었다
이어 1990년 4월 중국의 최고실권자 덩샤오핑(鄧小平)의 마지막 공직이었던 국가중앙군사위원회 주석에 선출됨으로써 당과 정부의 전권을 완전히 장악하였다
강택민전주석은 온건진보주의자와 자본주의민주주의 혁명 후 사회주의와 자유주의 공존세상을 만들기 위하여 자유화 개방화 정책을 추진했으며 친미정책으로 미국, 중국.일본등의 삼각동맹 구축에 이바지 했다.
강택민전주석은 2003년 3월 후진타오주석이 국가수반으로 취임하자 군 통수권자 군사위원회 위원장으로 추대 되어 막후실권자로 활동해왔다가 제4차 전체회의에서 사임과 함께 후진타오 주석에게 군사위원회 주석직을 승계했다
http://www.chosun.com/w21data/html/news/200409/200409190132.html
장쩌민 前 중국중앙군사워원회 주석이 지난 3월 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후진타오 공산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에게 뭔가 얘기하고 있다 장쩌민 前 주석은 2004년 9월 19일 페막된 중국 공산당 제16기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에서 사임의사를 밝혔으며 제4차 전체회의는 장쩌민주석의 사임과 후진타오 주석의 군사위원회 주석직(위원장직) 승계를 승인했다
ㄹ.후진타오(胡錦濤,후금도)
후진타오 주석의 본적은 안후이성(安徽省) 지시현(績溪縣)이며 1942년 12월 중국 상하이에서 태어났다 어릴때 어머니를 여의고 장쑤성(江蘇省) 타이저우(泰州)로 건너가 할머니 슬하에서 성장하였다 아버지 후징즈(胡靜之,후쩡위:胡增玉 )는 안후이(安徵)성 지시(積溪)출신이지만 상하이에서 차(茶)장사를 하다 실패, 타이저우(泰州)의 토산품 잡화상에서 회계 일을 하였다
후진타오 주석은 어머니가 어릴 때 사망하는 바람에 더욱 더 어려운 환경에서 성장했다 하지만 타고난 영민한과 성실성으로 남들보다 두살 어린 17세 나이 1959년 베이징(北京)의 칭화대학교(淸華大學敎) 수리공정과에 진학하여 주위를 놀라게 했고 하천발전분야를 전공하면서 졸업할때까지 6년 동안 한 과목을 제외한 모든 과목에 만점을 받았다
1965년 4월 공산당에 가입하고 석달 뒤 대학을 졸업하였다 하지만 바로 사회생활을 시작하지 않고 역 3년간 학과 내 후배들의 정치교육을 담당하는 정치보도원(政治輔導員)으로 있었다
1966년 문화대혁명의 소용돌이를 겪으면서 소극적으로 참여만 하는 소요파(逍遙派)로 지냈다 1957년 농촌으로 하방(下放)되어 간쑤성(甘肅省)수력발전소에 노동자로 배치되었지만 이후 승진을 거듭하여 1971년 수리전력부 제4공정국 기관당 총지부 부서기로 발탁되었다 이 무렵 대학 동창인 류잉칭(劉永淸)과 결혼을 하고 첫 아이를 낳았다
1974년 발전소 공사가 끝나자 간쑤성 성도인 란저우의 간쑤성 건설위원회 비서로 취임하였고 여기서 평생 동안 그의 강력한 후원자가 된 당시 간쑤성 당서기 쑹펑(宋平)을 만났다
1980년 간쑤성 건설위원회 부주임, 1982년 공산주의 청년단 중앙위원회 서기 및 전국청년연맹 제6기 주석을 거쳐 1984년 공산주의 청년단 중앙위원회 제1서기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8개월 뒤인 1985년 태자당의 견제로 구이저우성(貴州省)당서기로 밀려났고 1988년에는 티베트 시짱자치구 당서기로 근무하였다 이 기간 동안 시짱자치구에서 일어난 티베트 독립운동 진압에 성공하면서 동시에 1989년 텐안먼 사건의 위기도 피해갈 수 있었다
7년 동안의 지방 근무를 마친 후 1992년 49세의 나이로 중앙당 정치국 상무위원 겸 중앙위원회 서기로 취임하면서 권력 최정상부에 올랐다
1992년 14차 당대회에서 권력 7위에 오른 그는 1997년 당대회에서 권력 5위로, 1998년 제9기 전국인민 대표자대회에서는 국가부주석으로 선출되어 21세기 중국정치의 핵심인물로 떠올랐다
후진타오주석은 부주석으로 활동할때 미국을 방문하여 부시대통령과 환담했으며 푸틴, 고이즈미, 토니 블레이어등 국가 지도자들과 교류등을 확대 해나가고 있다
후진타오주석은 북한핵무기 문제나 이라크 문제도 미국 부시정부 입장과 비슷하다
후진타오 국가주석은 중국공산당 총서기 겸 군사위원회 주석이다
--후진타오 군사위원회 주석과 장쩌민 前군사위원회 주석--
http://www.hani.co.kr/section-007100003/2004/09/00710000320040919182348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