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이란 핵 활동 중단 위해 강력한 유엔 결의안 제안할 수도
2006.03.21
이란 핵문제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개입 여부를 두고 상임이사국간 합의점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란의 핵 활동 중단과 국제원자력기구와의 협력을 촉구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 성명서 채택에 실패할 경우, 미국이 강력한 유엔 결의안을 제안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5개 나라, 즉 미국, 프랑스, 영국, 중국, 러시아와 독일은 20일 뉴욕에 모여 이란 핵문제를 푸는 방안을 놓고 4시간 이상의 협상을 벌였지만, 별 성과를 거두지 못했습니다. 미국과 유럽관련 국가들은 특히, 이란의 핵 활동 중단과 국제원자력기구와의 협력을 촉구하는 유엔안전보장이사회 의장 성명서를 채택하는 문제를 두고, 이에 반대하는 중국과 러시아를 설득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월요일 회담 후 니콜라스 번스 미 국무부 차관은, 협상에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미 국무부의 숀 매코맥 대변인도 21일 정례 기자브리핑에서, 다자채널을 통한 외교협상은 시간이 걸린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란 핵문제는 심각한 사안이라며, 각 국 대표들이 의장성명서에 어떤 내용을 담을 지를 신중하게 고려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Sean McCormack: It's understandable that people want to take some time to consider carefully what language would be in a presidential statement.
그는 이란 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외교적 협상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안보리 15개 이사국들은 지난 14일 가진 회의에서, 성명서 초안에는 거의 합의했지만, 더욱 강력한 조치를 요구하는 미국과 협상을 먼저 하자는 러시아, 중국의 입장 차이로 인해 완성된 성명서를 내 놓고 있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은 의장 성명서 합의에 실패할 경우, 응징적 조치(punitive action)를 가능하게 하는 유엔 결의안을 제안할 가능성이 있다고 AFP통신이 21일 보도했습니다. 통신은 서방 외교관들의 말을 빌려, 미국이 고려하고 있는 결의안은, 강제 집행이 가능한 유엔 헌장 7조를 적용해 이란으로 하여금 국제원자력기구와 협력하도록 한다는 것입니다. 유엔 헌장 7조는, 평화에 대한 위협에 대응해 군사력이나 경제제재 등 임시적인 조취를 취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한편, 21일 오후에 예정됐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전체 회의는 열리지 못했습니다.
이진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