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스크랩] 미국, 한국에 스텔스 전투기 15대를 배치 (미국의 소리 보도내용) 그리고 스텔스 기본 지식 본문

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미국, 한국에 스텔스 전투기 15대를 배치 (미국의 소리 보도내용) 그리고 스텔스 기본 지식

CIA Bear 허관(許灌) 2005. 5. 30. 12:22
미국 국방성 http://www.defenselink.mil

-미 공군, 스텔스 전폭기 15대 한국 배치<영문기사 첨부>
http://www.voanews.com/korean/2005-05-27-voa1.cfm
미 공군은 스텔스 전폭기 15대와 250명의 공군을 남한에 배치하고 있습니다 레이다의 추적을 피할 수 있는 F-117A 전폭기는 이번 주 미국 남서부 뉴멕시코에 위치한 공군 기지로부터 한반도로의 비행을 시작했습니다
군 관계자들은 4개월간의 배치는 일상적인 조치이며 북한의 잠재적인 핵 무기 실험으로 인해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과는 관련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미 공군의 보도자료는 <이번 파병이 한반도 지역에서의 전쟁 억지력을 확고히 유지하기 위해 진행 중인 조치의 일부>라고 밝혔습니다 지난해에는 약 20대의 스텔스 전폭기와 300명의 미공군이 남한의 군산 공군기지에 배치됐습니다 미군은 새로 배치될 병력이 어디에 주둔할지는 밝히지 않았습니다 (2005.5.27)


-미국, 한국에 스텔스 전투기 15대를 배치
http://kr.chinabroadcast.cn/1/2005/05/26/1@39385.htm
한국 국방부 관원(官員)은 어제(2005년 5월 25일) 미국은 가까운 시일내에 한국에 15대의 스텔스 전투기를 배치할 것이라고 표했습니다
한국 <조선일보>는 오늘 한국 국방부관원의 말을 인용해 미국 공군 F-117스텔스전투기 15대와 지면 지원인원 250여명이 이번 주에 미국 뉴멕시코주의 한 공군 기지에서 한국에 올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런 스텔스전투기는 한국에서 한시기를 훈련하게 됩니다
주한미군측은 미군이 한국에 배치한 스텔스전투기는 정상훈련을 위한 것으로서 한반도 작전계획과 지형을 요해하기 위한데 있다고 밝혔습니다
알려진데 의하면 미군은 1993년과 1996년 그리고 2003년과 2004년에 선후(先後)로 4차례 한국에 스텔스 전투기를 배치했지만 이번은 스텔스전투기 배치가 제일 많은 한 차례입니다(중국 국제방송 2005년 5월 26일 보도내용)

-미국 스텔스기 15대 한국 배치
http://www.chosun.com/national/news/200505/200505260007.html
북한 핵문제가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미 공군의 F-117스텔스 전폭기 15대가 금명간 한국에 배치돼 훈련을 벌일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주한미군측은 <한반도 작전계획 및 지형 숙지를 위한 통상적인 훈련목적>이라고 밝혔으나 북한 핵실험 가능성등에 따른 6월 위기설이 제기되고 있는 미묘한 시점에 배치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스텔스의 한반도 배치는 1993년과 1996년, 2003년, 2004년에 이어 다섯 번째이지만 배치규모는 이번이 가장 많다 미군이 보유하고 있는 스텔스 전폭기는 모두 55대로 이중 15대 25%이상이 한반도에 배치되는 셈이다
국방부관계자는 2005년 5월 25일 <이번주 중으로 미국 공군의 F-117스텔스 전폭기와 지원원 250여명이 미국 남서부 뉴멕시코주 홀로만 공군기지에서 한국에 이동 배치돼 한동안 머물며 훈련을 벌일계획>이라고 했다 F-117전폭기가 얼마나 오래 배치될 것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나이트 호크(Night hawk)"라고 불리는 F-117스텔스 전폭기는 적 레이더에 거의 포착되지 않는 성능을 가졌다 한반도 유사시 북한 정권 수뇌부와 지휘. 통제시설, 영변. 청진등의 비롯한 핵시설, 미사일 기지 및 공군기지등 전략 목표물에 대한 폭격에 나설 전략 무기다 (조선일보 2005년 4월 27일 보도내용)

-스텔스(Stealth) 기본 지식
1.스텔스(Stealth)는 운반체나 미사일이 적의 레이더나 그 밖의 전자탐지기에 거의 탐지되지 않도록 하는데 목적을 둔 군사과학기술이다
반(反)탐지기술의 연구는 레이더가 발명된 직후에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중 독일인들은 그들이 개발한 U보트의 스노클(잠수함의 환기장치)에 레이더 흡수재를 입혔다 종전 후에는 연구원들이 <레이더 반사파>의 성질을 발견했는데 반사파나 갖가지 모양, 크기, 면(面),가지각색의 구성물을 가진 물체들에 부딪혀 되튀어 나오는 전자기 복사(특히 무선전파의 파장)의 광선에 어떤 요소들이 기여하는가를 확인하는 일에 주력했다 항공기가 탐지당하지 않게 하는 것이 특별한 관심사가 되어 1980년대까지 미국은 스텔스 폭격기의 원형을 포함해 스텔스 기술모델들을 개발했다
스텔스 기술에 관한 세부적인 내용은 기밀로 취급되지만 일반적인 정보는 어느 정도 알려져 있다 예를들어 표면재와 코팅은 레이더 송신을 흡수해 적의 레이더 수상기로 가는 반사를 줄일수 있다 반사는 모양이 예리한 것 대신 매끄럽고 둥그스름한 것을 사용함으로써도 감소된다 미사일과 그밖의 무기가 항공기의 구조 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면 즉 돌기물로서가 아니라 공형(共形)으로 운반될 수 있으며 그 항공기는 탐지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을 것이며 그 항력도 마찬가지로 감소될 것이다 기관의 배기가 항공기의 적외선 흔적의 주된 유인(誘引)이므로 이것을 가림으로써 탐지를 보다 어렵게 할 수도 있다
무기와 운반체의 공형화는 스텔스만이 아니라 항공역학에도 도움이 되지만 스텔스 기술의 전반적인 이용 면에는 단점적인 요소도 가지고 있다 둥그스름한 표면은 흔히 최선의 디자인이 아니며 흡수재는 항공기를 보다 무겁게 하고 항속거리나 적재하중을 감소시킨다 출입구와 동체에 있는 그밖의 구멍들을 극소화하면 특히 몇년 동안 정상적인 작동의 결과 닮고 나며 표면은 더욱 매끄러워지지만 그로 인해 항공기의 정비는 더 어려워진다 공형의 운반체에 맞춰 무기를 변형시키는 것을 포함해 사실상 이러한 모든 조치들이 비용응 증대시킨다


2."E.D.D.I.E"가 탑재된 새로운 무인 전폭기
개인이 아닌 국가를 목표로 한 국제테러 방지를 위해 극비리에 무기개발에 착수했던 미국 국방성은 관제센터의 통제가 불가능한 경우 스스로의 감정과 판단에 의해 독자적인 임무수행이 가능한 인공지능시스템(E.D.D.I.E)
-인간 두뇌를 조종할 수 있는 인공지능시스템도 개발되었다 인간 두뇌와 몸 전체를 하나의 인공지능시스템화 되어 인간중심의 정보기능 지위와 역할을 영국이나 미국등지에서는 어느 규모의 정보원이 활동하고 있다 예로들면 북한정부 지식을 사전에 연구한 분이 인공지능시스템 정보원일때 북한을 직접방문 할때 정확한 판단과 객관적 see(보고).decision(결정-판단).suggestion(제안)등을 하여 북한 지도층들의 안내자가 될 수 있다

3.스텔스는 F-117 전투기이다
F-117 스텔스기는 전투기보다는 사실 공격기에 가깝고 분류를 나누자면 전폭기에 해당한다 기관포 같은 고정무장도 없고 공대공 미사일도 정착할 수 없는 별난 전투기지만 이런 병기를 장착할 필요가 아예 없는 전투기가 바로 F-117 나이트 호크이다
적의 레이더에 잡히지 않는 스텔스 기술을 도입하여 만들어진 F-117은 미군의 항공전력 중 가장 중요한 임무를 담당하고 있다 즉 지금까지 전투기의 기선을 제압하는 선제폭격 임무는 초저공 침투 장거리 공격기인 미해군의 A-6E가 담당하고 있었으나 이제 이러한 선제 공격은 스텔스 전투기인 F-117A의 몫이 되었다
1991년에 벌어진 걸프전에서도 F-117A는 개전과 동시에 이라크군 통신지령센터에 레이저 유도 폭탄공격을 가해 이라크군의 통신망을 마비시키는 전과를 올렸다
4.미군의 스텔스 보유 현황--50대
출처 : 아시아연방론
글쓴이 : CIA bear 허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