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위성+] 평산 우라늄정련공장 침전지 폐수 방류 포착 본문
황해북도 평산군에 우라늄정련공장이 있다. 광산에서 캐낸 우라늄 광석을 정련 및 제련을 하고, 최종적으로 ‘옐로우케이크’라고 하는 우라늄정광을 생산하는 곳이다. 우라늄정광은 평안북도 영변 핵단지 등 핵물질 생산시설로 옮겨져서 고농축 처리 과정을 거치고 우라늄 핵폭탄을 만드는 재료로 활용된다. 이곳 평산 우라늄공장에서 생성되는 폐기물은 강 건너 저수지로 보내져서 침전시켜 왔는데, 침전지가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폐수를 하천으로 흘려보내는 정황이 위성사진에 포착됐다.
위성자료는 미국의 환경체계연구소(Environmental Systems Research Institute)가 제공하는 World Imagery Wayback에 공개된 이미지(월드뷰-3)를 이용해서 폐수 방류 상황을 살펴봤다. 침전지에서 방류된 폐수는 하천을 따라 흐르다 예성강과 만나고 남쪽으로 흘러서 우리 강화만을 거쳐 서해로 빠져나간다. 우리의 강하천과 해양 오염이 우려되는 정황이다.
지난해 10월 말 촬영된 고해상 위성사진(해상도 60㎝)에서 평산 우라늄공장의 침전지에서 폐수가 배수로를 통해 소하천으로 방류되는 모습이 포착됐다. 소하천은 2㎞를 흘러서 예성강과 만나고, 예성강물은 남으로 흐르다 한강에서 나오는 물과 만나고 강화만을 거친 다음 서해로 빠져나간다.
위성사진 좌상단에서 보듯이, 평산 우라늄공장에서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폐기물을 저수지로 보내서 침전시켜 왔다. 저수지에 고체의 쓰레기가 쌓이면서 검은색 슬러지가 형성이 됐고, 바닥에 쌓여서 수면 위까지 올라왔으며, 폐수는 침전지 밖으로 넘칠 듯이 늘어나는 형국이 된 것이다. 북한이 침전지를 방치하다가 정화 처리되지 않은 폐수를 그대로 하천으로 흘려보내는 정황이 위성사진에 포착됐다.
북한이 저수지 바깥 배수로에서 지하로 굴을 뚫어서 침전지와 연결 및 개통을 했고 폐수를 흘려보내는 모습이 고해상 위성사진에서 포착됐다. 침전지에서 흘러나온 침출수가 배수로를 따라 방류되는 모습이 검은색으로 확인된다. 우라늄정광 폐기물을 침전지 밖으로 무단 방류하는 것이다.
이곳 침전지 배수로 공사는 미국의 위성 민간 전문가인 제이콥 보글이 2023년 1월 5일 자신의 웹사이트(AccessDPRK)에 미상 굴착 공사를 공개하면서 처음 포착됐다. 배수로 공사는 2022년 이른 봄인 3월경에 시작된 것으로 위성사진을 통해 파악된다. 데일리NK에서도 2024년 6월 22일 배수로 공사 상황을 확인하고 구체적으로 분석, 평가한 바 있다
관련 기사 바로보기: [하늘에서 본 북녘] 평산 우라늄공장 침전지 배수로 공사 포착) 지난해 10월 말 촬영된 위성사진에서는 배수로가 침전지까지 지하터널로 연결됐으며, 침출수가 소하천을 따라 방류돼 흐르는 것이 확인됐다
평산 우라늄공장 강 건너에는 넓은 면적의 저수지가 있다. 표면적이 34ha인 것으로 측정된다. 북한이 핵물질 생산 활동을 해옴에 따라 침전지에 폐기물이 쌓이고 포화상태에 이른 것으로 위성사진에서 파악된다. 시기별로 배열한 위성사진을 보면, 2006년에는 슬러지가 1.9ha에 불과했는데, 2018년이 되면서 7.5ha로 면적이 늘었고, 지난해 2024년 10월에는 16.6ha로 크게 증가한 것이 식별된다. 고체 쓰레기인 슬러지가 쌓여서 올라오고 폐수가 주변으로 밀리면서 침전지 표면적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된다. 침전지는 오염이 심화돼서 녹색으로 변했고 녹조현상까지 식별된다. 독성의 고약한 악취가 주변에 진동할 것으로 판단된다.
몇 년 전 대북 인터넷 매체인 38노스와 RFA(자유아시아방송)에서 평산 우라늄공장 폐수가 예성강으로 누수돼서 남한의 한강 하구와 서해가 방사성 폐기물에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며 우려를 제기한 바 있다. 국내 언론에서도 사안의 심각성과 우려가 비등해지자, 한국 통일부에서는 한강 및 서해에서 샘플을 채취해서 검사기관에 수질 분석을 의뢰했고 결과를 공개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당시 2019년 10월 21일 통일부 발표에서는 “한강 및 서해 샘플에 특이 사항은 없고, 평산 우라늄정련공장에는 고방사능 오염물질은 존재하지도 않는다”고 하면서 문제없는 것으로 결론을 지었다.
여기서,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 과거에는 파이프라인이 노후화돼서 폐기물이 새면서 예성강으로 흘러 들어간다는 정황이었다. 이후 파이프라인이 보수 또는 교체됐는지 누수 상황은 위성사진에서 포착되지 않는다. 지금은 북한이 침전지 폐수를 의도적으로 하천에 방류하는 모습이 위성사진에 드러난 상황인 것이다. 2024년 하반기에 배수로 공사를 완료했고, 평산 우라늄공장 침전지에서 폐수를 본격 방류하는 것이 고해상 위성사진에 포착됐다. 국제사회가 위성으로 북한 주요 시설을 매의 시선으로 지켜보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면서도 북한이 폐기물을 무단 방류한 것이다. 북한은 이웃에 대한 배려나 고려가 없어 보인다. 이로 인해 오염됐을 예성강물이 남쪽으로 흘러서 우리 강화만과 경기만을 거쳐서 결국은 서해로 빠져나간다는 것이 지금 상황이다. 확인 작업이 필요해 보인다.
[위성+] 평산 우라늄정련공장 침전지 폐수 방류 포착 | DailyNK
[위성+] 평산 우라늄정련공장 침전지 폐수 방류 포착 | DailyNK
황해북도 평산군에 우라늄정련공장이 있다. 광산에서 캐낸 우라늄 광석을 정련 및 제련을 하고, 최종적으로 ‘옐로우케이크’라고 하는 우라늄정광을 생산하는 곳이다. 우라늄정광은 평안북도
www.dailynk.com
“北, 평산 우라늄공장 폐수 정화 없이 서해로 방류…위성사진에 드러난 ‘얼룩’”
북한 황해북도 평산의 우라늄 정련공장에서 정화되지 않은 방사성 폐수가 하천을 따라 서해로 흘러간 정황이 포착됐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원격탐사 전문가 정성학 박사(한국우주보안학회)는 최근 북한 전문매체 데일리NK를 통해 미국 환경체계연구소(ESRI)의 ‘월드뷰-3’ 위성사진을 분석해 이같이 주장했다.
정 박사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말 촬영된 위성사진에서 평산 우라늄공장의 침전지에서 폐수가 배수로를 통해 소하천으로 방류되는 모습이 포착됐다. 폐수는 소하천을 따라 2㎞를 흘러서 예성강과 만나고, 이를 통해 남하한 폐수는 강화만을 거쳐 서해로 유입됐을 가능성이 있다.
북한은 그간 파이프라인을 통해 폐기물을 공장 인근에 있는 면적 34헥타르(ha)의 대형 저수지로 보내 침전시켜 왔다. 그러나 수년간 핵물질 가공 과정에서 발생한 고형 폐기물이 쌓이면서 검은색 슬러지가 형성되고 결국 침전지 내부가 포화 상태에 도달하자 북한이 폐수를 그대로 하천으로 흘려보낸 것으로 추측된다.
침전지 내부 슬러지 면적은 2006년 1.9헥타르에서 2018년 7.5헥타르, 2024년 10월 기준 16.6헥타르로 급증했다. 이는 18년 만에 약 8.7배 증가한 수치로, 위성사진에서도 침전지 표면의 어두운 얼룩이 점차 넓어지고 짙어지는 모습이 뚜렷하게 확인된다.
지난 2019년에도 북한의 폐수 방류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당시 통일부는 한강과 서해 수질 샘플을 채취해 수질 분석한 뒤 “특이 사항이 없으며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에는 고방사능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정 박사는 “과거에는 파이프라인이 노후화돼서 폐기물이 새면서 예성강으로 흘러 들어간다는 정황이었지만, 지금은 북한이 침전지 폐수를 의도적으로 하천에 방류하는 모습이 위성사진에 드러난 상황”이라면서 “확인이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평산 우라늄 광산
평산 우라늄 광산은 북한 황해북도 평산군에 위치한 우라늄 광산이다.
1.역사
2019년 2월, 한미 군 당국은 영변 이외의 비밀 우라늄 농축시설이 북한 서부지방인 황해북도와 평안북도에 각각 1곳씩 있는 것으로 보고 정밀 감시하고 있다. 여의도 3배 넓이에 건물 400개가 세워진 영변 핵시설보다는 작지만 규모가 상당하다고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설명했다.
평안북도 태천과 박천, 황해북도 평산 등에도 우라늄 농축시설과 핵 연구소 및 실험시설, 우라늄 광산 같은 핵 시설들이 분포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부세계에서 지금까지 파악한 북한 핵 관련시설은 다음과 같다.
황해북도 평산의 우라늄 광산
평안남도 순천의 우라늄 광산
평안북도 박천의 우라늄 제련 공장
황해북도 평산의 우라늄 제련 공장
평안북도 영변 핵시설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평안북도 방현비행장
2018년 11월 2일, 38노스가 공개한 상업용 위성사진에서 황해북도 평산군 우라늄 정련·정광 공장 북동쪽 광산 등에 폐기물이 눈에 띄게 증가한 것이 포착됐다. 북한의 최대 우라늄 정광 시설이다.
평산 광산에서만 연간 1만t 정도의 우라늄 원석을 캐내고 있다. 이 밖에 평안북도 박천과 철산, 구장 그리고 평안남도 순천 등에 우라늄 광산이 있다.
2010년 기준으로, 국제시장에서 품위 0.05%면 경제성이 있다고 평가받는다. 북한 우라늄 광산의 평균 품위를 알 수는 없지만, 국제기준인 품위 0.05%로 계산하면, 10,000 톤의 우라늄 원석은 U238 5 톤을 의미한다. 미국 World Information Service on Energy(WISE) Uranium Project에서 제시된 핵물질환산기(Nuclear Fuel Material Balance Calculator)에 대입하여 계산하면, U3O8 5 톤이면 HEU(90%) 19 kg을 의미한다.
2.우라늄 매장량
1964년 북한은 함경북도 웅기 지역에 채굴의 가치가 있는 우라늄광 약 400만 톤을 신고하였다. 총 원광매장량은 2600만 톤이다.
남북관계에 대해 많은 리포트를 내는 미국 노틸러스 연구소의 2004년 보고서는 "북한의 우라늄광 매장량은 450만 톤으로 보고되지만, 사용할(usable) 가치가 있는 것인지 의심스럽다"고 판단했다. "북한 우라늄 시설을 자주 드나든 러시아 전문가들에 따르면 1960년대 북한의 우라늄광 매장량은 20만 톤으로 알려졌다가, 1970년대 30만 톤으로 수치가 늘었다"고 했다. "북한에는 5개의 우라늄 광산이 있는데, 순천-월빙선, 구성, 평산, 순천, 웅기가 그것이다."면서, "북한 시설을 자주 드나든 러시아 전문가에 따르면 북한의 연간 우라늄(U238) 생산량은 2000톤 수준으로 이는 미국(1810톤), 우즈베키스탄(1926톤)의 1998년 생산량과 비슷한 수준이다"라고 밝혔다.
2013년 미국의 총 우라늄 생산량은 U238 481만 파운드(약 1850 tU)라고 미국 에너지부의 에너지정보국(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EIA)이 보고했다.
미국 World Information Service on Energy(WISE) Uranium Project에서 제시된 핵물질환산기(Nuclear Fuel Material Balance Calculator)에 대입하여 계산하면, 북한의 비축된 100 kg HEU(90%)는 국제시장에서 가장 잘 팔리는 기본형태인 U3O8(yellow Cake = 천연우라늄)으로는 25.92981톤, 경수로 원전연료 형태인 LEU(3.6%)로는 4.020168톤으로 환산된다.
북한이 매년 생산한다는 U3O8 2000톤이면, HEU(90%) 7,713 kg을 의미한다.
1994년에 미국 NRDC는 북한이 플루토늄 1 kg, 고농축 우라늄 2.5 kg이면 핵폭탄 한발을 제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 그러나 2019년에도 언론에서는 북한이 고농축 우라늄 25 kg이면 핵폭탄 한발을 제조할 수 있다고 보도한다. 10배 차이이다.
북한이 매년 생산한다는 HEU(90%) 7,713 kg이면, 매년 핵폭탄 3,085발을 생산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1994년에 NRDC가 주장했던 핵폭탄의 폭발력은 1 kt을 말하는 것이어서, 메가톤급 핵폭탄 수로 계산하면 수량이 훨씬 줄어든다.
:산지역에서 천연 우라늄 광석 발견->고농축 우라늄과 원자로 가동으로 플루토늄 확보(무기화)->핵폭탄->소형 핵폭탄->핵탄두 개발....
현재 고농축 우라늄 235 약 15kg, 플루토늄 239 약 4kg만 있으면 1발의 핵분열 무기 원자폭탄을 만들 수 있다. 우라늄은 석탄 생산지역에서 생산하고 있다. 원자로만 완성되면 원자폭탄 개발로 알려지고 있다. 핵무기에 필요한 우라늄-235는 천연 우라늄 광석에 0.7%밖에 없지만, 핵무기로 쓰려면 농도를 90%까지 농축해야 한다
파키스탄이나 북한은 고농축 우라늄으로 원자폭탄(핵무기)을 개발했다
이란도 파키스탄이나 북한처럼 고농축 우라늄으로 원자폭탄(핵무기)을 개발해오고 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이란이 현재 60% 농도로 농축된 우라늄을 400kg 이상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민간 목적에 사용되는 수준을 훨씬 넘어 무기급에 근접한 수치이며, 지난 3개월 사이 약 50% 증가한 양이다.
이 양은 추가로 정제할 경우 약 10개의 핵무기를 제조할 수 있는 양이며, 이란은 현재 이러한 수준의 우라늄을 생산하는 유일한 비핵 보유국이다.
고농축 우라늄 핵무기보다는 플루토늄 핵무기가 가볍고 소형화 작업에 유리하다
핵무기 보유에는 세 가지 요소가 필요하다. 농축도 90%의 우라늄, 이를 핵탄두로 제작할 기술, 핵탄두를 목표물까지 운반할 수단이다.
러시아의 새 무기 프로그램 3대 핵전력(Nuclear triad) 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전략폭격기 등 지상·해상·공중 기반 핵무기 운반체를 의미한다
파키스탄의 고농축 우라늄으로 핵개발
“파키스탄이나 북한은 고농축 우라늄으로 원자폭탄(핵무기)을 개발했다이란도 파키스탄이나 북한처럼 고농축 우라늄으로 원자폭탄(핵무기)을 개발해오고 있다파키스탄 고농축 우라늄 핵개발
007nis.tistory.com
'Guide Ear&Bird's Eye22 > 북한[P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 외무성 대변인 담화 “패권적 행태…불안정세력은 다름 아닌 미국” (0) | 2025.07.06 |
---|---|
북한 식당들, 여름 장사 위해 단고기 확보경쟁 (0) | 2025.07.06 |
"김정은에겐 끔찍 장면"…우크라전 도와준 이란, 푸틴은 외면했다 [글로벌리포트] (0) | 2025.06.29 |
김정은 부인 리설주 ‘420만원 구찌백’·딸 주애는 ‘3080만원 까르띠에 시계’…“北 국민 식량난 심각한데” (0) | 2025.06.29 |
韓정보기관, 북한이 7-8월 러시아에 추가파병할 것 (0) | 2025.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