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외신 “화웨이, 스마트폰 사업 매각 검토” 본문
세계 3위 스마트폰 제조 업체인 중국 화웨이가 스마트폰 사업 매각을 검토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외신들이 25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미국의 제재로 부품 수급이 어려워진 화웨이가 스마트폰 사업을 포기하고 스마트카, 클라우드(서버 임대), 인공지능(AI) 등 신사업에 역량을 집중하려고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외신들에 따르면 화웨이는 ‘P’ 시리즈와 ‘메이트’ 브랜드 등 프리미엄 스마트폰 사업을 상하이 지방정부 투자회사가 주도하는 컨소시엄에 매각하는 방안을 지난 9월부터 논의해왔다. 화웨이는 현재 주력 사업인 통신 장비와 스마트폰에서 미국의 허가 없이는 미국 장비와 기술, 소프트웨어 등을 활용하지 못하는 제재를 받고 있다.
화웨이는 반도체 등 핵심 부품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이미 지난해 11월 중저가 스마트폰 브랜드인 ‘아너’를 선전시 정부와 지역 스마트폰 유통 업체들이 구성한 컨소시엄에 매각했다. 당시만 해도 화웨이는 프리미엄 브랜드에 집중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지만, 부품 수급난이 악화되면서 아예 스마트폰 사업 포기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P와 메이트는 애플 아이폰, 삼성전자 갤럭시 시리즈 등과 경쟁하는 고가 브랜드로 화웨이 전체 매출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웨이는 해당 보도에 대해 “스마트폰 사업을 매각할 생각이 전혀 없다”고 일단 부인했다. 하지만 IT 업계에서는 화웨이의 스마트폰 사업 매각이 실현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화웨이는 지난해 아너 브랜드 매각 전에도 매각설을 강력하게 부인한 바 있다. 중국 경제 매체 제일재경은 “매각을 하지 않을 경우 화웨이 스마트폰 사업이 살아남을 여지가 거의 없다”고 했다. 미국의 제재를 받지 않는 샤오미나 오포 등이 화웨이의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는 상황에서 화웨이가 아무런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시장조사 업체 트렌드포스는 지난해 삼성전자, 애플에 이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3위였던 화웨이가 올해 출하량이 급감하면서 7위까지 추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화웨이, 스마트폰 사업 매각 계획 전혀 없어

1월 25일 화웨이가 스마트폰 사업을 매각할 계획이 전혀 없다고 발표했다. 화웨이는 세계 선두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브랜드를 지켜 나가며 소비자들에게 탁월한 제품 체험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화웨이 고가 스마트폰 브랜드도 매각 논의"

중국의 화웨이가 프리미엄 스마트폰 브랜드인 'P'와 '메이트'를 매각하는 방안을 상하이 지방정부의 투자회사가 이끄는 컨소시엄과 논의 중이라고 로이터통신이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화웨이는 지난해 9월부터 내부적으로 매각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했고, 양측간 논의도 수개월간 진행돼왔다.
다만 소식통은 아직 매각이 최종 결정되지는 않았으며 협상이 무산될 수도 있다고 전했다.
매각 예정 가격은 알려지지 않았다.
P와 메이트 브랜드는 중국에서 애플의 아이폰, 샤오미의 미 등과 경쟁하는 고사양 스마트폰이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에 따르면 이들 브랜드가 화웨이의 작년 3분기 매출에서 차지한 비중은 약 40%에 달했다.
앞서 화웨이는 작년 11월 중저가 스마트폰 브랜드인 아너(룽야오·榮耀)를 선전(深천<土+川>)시 즈신(智信)신정보기술에 팔기로 했다.
이는 미국 정부의 제재를 받는 화웨이가 반도체 확보의 어려움으로 제품 생산에 지장을 받는 가운데 결정됐다.
로이터 통신은 이번 프리미엄 브랜드의 매각 움직임은 미국의 정권이 바뀌어 조 바이든 행정부가 들어섰지만, 자사에 대한 제재가 바뀔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화웨이가 판단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그러나 화웨이 대변인은 "플래그십 브랜드 매각에 관한 근거 없는 루머가 돌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지만 그런 계획은 없다"고 부인했다
pseudojm@yna.co.kr
화웨이, 고가 스마트폰 P·메이트 매각 협상
미국의 전방위적인 압박을 받는 중국 최대 통신기기 업체 화웨이 기술(華爲技術)이 고가 스마트폰 부문 P와 메이트(Mate)까지 매각에 나서 협상을 벌이고 있다고 빈과일보와 신랑망(新浪網) 등이 25일 보도했다.
매체는 관련 사정에 밝은 관계 소식통들을 인용해 작년 11월에 중저가 스마트폰 사업 어너(Honor 榮耀)를 처분한 화웨이가 스마트폰 플래그십 사업인 P와 메이트를 양도하기 위한 초동단계 교섭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P와 메이트 인수협상 상대는 상하이시 정부 투자회사가 주도하는 컨소시엄이며 교섭이 벌써 수개월 동안 진행했다고 한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화웨이는 지난해 9월 이들 고가 스마트폰 사업의 매각 가능성을 모색하는 움직임을 시동했다.
다만 화웨이 기술은 지금 자체 설계한 스마트폰 고성능칩 키린(Kirin)을 중국에서 생산할 계획이기에 P와 메이트 매각 방침이 최종적으로 확정된 것이 아니라 중도에서 무산될 가능성도 있다고 소식통들은 지적했다.
이에 대해 화웨이 대변인은 "스마트폰 플래그십 브랜드를 처분한다는 사실무근의 소문이 퍼지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우린 그럴 생각이 없다"고 부인하고 있다.
상하이시 정부 당국자도 관련 상황을 인식하지 않고 있다고 언급하는데 그쳤다.
하지만 소식통들은 화웨이가 고가 스마트폰 사업마저 처분하려는 것은 조 바이든 미국 새 행정부에서도 서플라이 체인(공급망) 규제가 완화할 공산이 낮다고 판단한다는 사실을 엿보인다고 설명했다.
소식통들은 상하이시 정부 투자회사가 화웨이 딜러와 연대할 수 있으며 매각협상이 이뤄질 경우 P와 메이트의 중추인력을 새로 설립하는 회사로 승계시킬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정부의 잇따른 제재에 시달린 화웨이에서 독립한 어너는 22일 분리 후 처음으로 새 모델 뷰(View) 40을 출시했다.
자오밍(趙明) 어너 최고경영자(CEO)는 어너가 중저가대에서 고가대 스마트폰에도 진출하고 해외부문도 확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자오밍 CEO는 화웨이 기기를 활동해 사물 인터넷(IoT) 분야에도 참여할 방침이라고 언명했다.
시장 조사회사 카날리스 통계로는 2020년 7~9월 3분기 어너의 스마트폰 출하량은 1330만대로 화웨이 전체 중 4분의 1을 넘었다.
화웨이의 몰락..세계 스마트폰 출하량 1위에서 6위로

한때 애플과 삼성을 제치고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 1위에 올랐던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가 세계 6위로 추락했다고 CNBC가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의 제재로 스마트폰 출하량이 급감한 것이다.
CNBC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10~12월) 화웨이의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3300만 대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41% 줄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화웨이의 시장 점유율은 8%로 조사됐다. 이로써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 가운데 6위가 됐다.
시조사업체 캐널리스에 따르면 화웨이가 최근 6년새 5위 밖으로 순위가 밀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앰버 리우 캐널리스 애널리스트는 "미국의 제재로 인해 화웨이는 대부분의 시장에서 급격히 후퇴했다"고 말했다.
화웨이는 지난해 2분기(4~6월) 5580만 대의 스마트폰을 출하해 처음으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당시 5370만 대를 출하한 삼성전자는 2위였다. 2020년 전체 기준 화웨이의 출하량 순위는 세계 3위로 조사됐다.
하지만 슈퍼사이클(대호황)을 맞은 애플의 공세가 거세다. 애플은 지난해 4분기에 사상 최대인 9010만 대의 스마트폰을 출하했다. 중국에서도 최대 매출을 거뒀다.
미국의 제재는 화웨이의 발목을 잡는 최대 걸림돌로 지목된다. 미국은 2019년 화웨이를 블랙리스트에 올리고 미국 기업의 핵심 부품과 소프트웨어가 화웨이에 흘러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았다. 구글의 스마트폰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까지 차단돼 화웨이는 직격탄을 맞았다.
지난해 5월 미국은 화웨이와 대만 파운드리업체 TSMC의 거래를 막았다. 반도체 생산시설이 없는 화웨이가 TSMC에 5세대(5G) 스마트폰용 반도체 등의 생산을 맡기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다.
화웨이 측은 "화웨이는 항상 혁신에 전념했다"며 "2020년 스마트폰 사업은 견실하게 발전했고 태블릿PC와 웨어러블 기기 시장은 크게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미래에 대해 확신이 있다"고 덧붙였다.
yourpencil@hankyung.com
샤오미 주가 신고가 경신…시총 천억 달러 돌파

샤오미가 내년에 세계 2위의 스마트폰 판매 업체로 등극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지난 23일 샤오미의 주가가 신고가를 경신하고 최초로 시총 천억 달러를 돌파했다.
국제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가 발표한 올해 3분기 휴대폰 출하량에 따르면 삼성 휴대폰 글로벌 판매량은 시장 점유율 22%로 1위에 올랐다. 화웨이가 시장 점유율 14%로 그 뒤를 이었다. 샤오미는 애플을 제치고 3위에 올랐고 시장 점유율은 13%로 상승했다.
화웨이는 계속된 미국의 제재로 인해 최근 중저가 브랜드 아너(榮耀)를 매각했다. 이런 지각 변동에 대해 업계는 내년 샤오미가 화웨이를 제치고 세계 2위의 스마트폰 판매 업체로 등극할 수도 있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화웨이서 분리 중저가폰 어너, 인텔·삼성 등과 반도체 계약

미국의 전방위적인 압박을 받는 중국 최대 통신기기 업체 화웨이(華爲) 기술에서 분리된 중저가 스마트폰 사업 어너(Honor 榮耀終瑞)가 인텔과 삼성전자 등과 반도체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동망(東網)과 신랑망(新浪網) 등이 22일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어너의 자오밍(趙明)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금수 대상인 화웨이에서 독립한 어너가 미국 인텔과 퀄컴, AMD, 마이크로 테크놀로지, 마이크로소프트, 한국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 일본 소니, 대만 롄파과기(聯發科技 MediaTek) 등과 반도체와 부품 등 구매 계약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미국 정부의 잇단 제재에 시달린 화웨이는 작년 11월 어너를 매각했다. 어너는 22일 분리 후 처음으로 새 모델 뷰(View) 40을 출시했다.
자오밍 CEO는 앞으로 어너가 중저가대에서 고가대 스마트폰에도 진출하고 해외부문도 확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자오밍 CEO는 화웨이 기기를 활동해 사물 인터넷(IoT) 분야에도 참여할 방침이라고 언명했다.
시장 조사회사 카날리스 통계로는 2020년 7~9월 3분기 어너의 스마트폰 출하량은 1330만대로 화웨이 전체 중 4분의 1을 넘었다.
앞서 화웨이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금수 등 제재에 대응해 우선 중점사업을 조정하면서 고가격대 '화웨이' 브랜드를 강화할 방침을 세우고 젊은층 대상인 저가격대 어너 브랜드를 처분했다.
'-미국 언론- > 중국 언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영선 前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서울시장 출마선언…“안전하고 공정하고 따뜻한 서울을 만들 것” (0) | 2021.02.10 |
---|---|
백악관 주인 바뀌었는데 적폐 청산 어려워 (0) | 2021.01.26 |
화웨이서 분리 중저가폰 어너, 인텔·삼성 등과 반도체 계약 (0) | 2021.01.24 |
샤오미 주가 신고가 경신…시총 천억 달러 돌파 (0) | 2021.01.22 |
현대차 코나 EV, 잇따른 화재에 단종설까지… (0) | 2021.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