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핵실험금지조약기구 “북 감시 체계 가동” 본문

수소핵폭탄(핵탄두) 실험과 KN-08

핵실험금지조약기구 “북 감시 체계 가동”

CIA Bear 허관(許灌) 2012. 5. 2. 10:16

MC: 북한의 3차 핵실험이 임박했다는 우려 속에 유엔 산하 포괄적 핵실험금지 조약기구(CTBTO)는 강력한 감시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는 북한의 핵실험 가능성이 커지고 있음을 우려하면서 핵실험 징후를 포착하는 즉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와 회원국에 보고하는 감시 체계를 가동 중이라고 3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전했습니다.

이 기구의 토마스 뮈젤부르크 부대변인은 전 세계 337개 관측 시설에서 북한의 핵실험 여부를 감시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뮈젤부르크: “전 세계의 관측소를 통해 (하루) 24시간 내내 감시합니다. 2006년과 2009년에 그랬던 것처럼 북한의 핵실험을 즉시 감지할 수 있습니다.”

뮈젤부르크 부대변인은 전 세계 321개 관측소와 16개 실험실에서 지진파나 수중음파, 초저주파, 핵물질 분석 등의 방법으로 핵실험과 관련한 북한의 행동을 감시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뮈젤부르크 부대변인은 전세계 관측시설에서 핵실험 징후를 포착하면 한 시간 이내에 유엔과 회원국에 전달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뮈젤부르크: “핵실험 징후가 포착되자마자 182개 회원국은 자동으로 핵실험과 관련한 내용을 보고 받습니다. 2009년 북한의 핵실험 때도 1시간 30분만에 모든 회원국에 전달됐습니다.”

핵실험금지조약기구는 유엔이 1996년 일체의 핵실험을 막기 위해 만든 국제사회의 핵실험 감시기구입니다.

전 세계 183개국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지만 북한은 아직 핵실험금지조약에 서명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