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도호쿠 대학, 다양한 세포조직이 될 수 있는 미지의 Muse세포 발견 본문
도호쿠 대학, 다양한 세포조직이 될 수 있는 미지의 Muse세포 발견
CIA Bear 허관(許灌) 2010. 4. 20. 18:58인간의 피부 속에 신경과 근육 등 다양한 조직으로 변하는 힘을 지닌 미지의 세포가 존재한다는 연구결과를 오늘, 일본 도호쿠대학 데자와 마리 교수 등의 연구그룹이 발표했습니다.
질병 등으로 손상된 신체의 일부를 만들어 내는 재생의료 실현에 도움이 되는 성과로서 주목되고 있습니다.
연구그룹은 인간의 피부 세포에 특수한 효소를 주입하면 대부분의 세포가 죽는데, 일부 성장을 지속하는 세포가 있다는데 착목해 자세히 조사해 왔습니다.
그 결과, 이 세포는 모든 조직과 장기가 될 수 있는 인공다능성간세포, iPS세포와 같은 유전자를 갖고 있으며, 실험용 쥐에 이식하면 신경과 근육, 그리고 간장의 세포 등 인체의 다양한 세포로 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연구그룹은 이 미지의 세포를 다양한 조직과 세포가 된다는 의미에서 'Muse세포'라 명명했습니다.
재생의료 연구분야는 교토대학의 연구그룹이 개발한 iPS세포가 중심이 되고 있는데, iPS세포는 특수한 유전자를 배합하는 등의 조작이 필요한데다, 암을 유발하기 쉬워 실용화에 커다란 과제로 지적 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Muse세포는 실험용 쥐에 이식해도 암을 유발하는 사례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이에 따라, 연구그룹은 원래 인체에 있는 세포이기 때문에 안전성도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Muse세포와 재생의료의 가능성(해설)
오늘은 Muse세포와 재생의료의 가능성에 대해, NHK 야타베 마사시 해설위원의 이야기를 들어보겠습니다.
우선, Muse세포가 주목받고 있는 점이 무엇인지 들어봤습니다.
Muse세포가 주목받고 있는 건 역시 암으로 변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Muse세포처럼, 몸을 이루는 다양한 조직과 세포가 될 수 있는 줄기세포가, 앞으로 재생의료의 중심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세포에서 신경세포를 만들어서, 척추를 다친 환자에게 주사하면 병을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입니다.
또, 현재 치료법이 존재하지 않는 난병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점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 세포는 미국에서 만들어져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수정란에서 만든 ES세포와 iPS세포가 바로 그것입니다.
그런데 이 두세포는 암으로 변하기 쉬운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성질을 억제하지 않으면 안전하게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등장한 제3의 세포인 Muse세포는, 원래 암으로 변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성질이 다릅니다.
그러면 Muse세포가 암으로 변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리들 몸의 세포라고 하는 건, 본디부터 간단하게 그 수를 늘릴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이에 반해 iPS세포와 ES세포는 무한히 증식시킬 수가 있습니다.
사실 이 점이, 암과 같은 성질이기도 합니다.
iPS세포와 ES세포는 유전자접합 기술과 생물공학을 응용해 인공적으로 만든 세포입니다.
이 두 세포는 암으로 변하기 쉬운 성질을 갖고 있지만, Muse세포는 몸 안에 있는 것을 자연스럽게 증식시키기 때문에, 암으로 변하기 어려운 것입니다.
그럼, 이 Muse세포는 곧 실용화가 가능한 것일까요?
이번 연구에서는 Muse세포가 존재한다는 사실 자체를 밝힌 것이기 때문에, 실용화에 대한 자세한 것은 아직 알 수가 없습니다.
다만, 이번에 Muse세포가 암으로 변하기 어렵다는 성질을 조사함으로써, 예를 들어 IPS세포의 약점을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든지, iPS세포의 연구성과를 Muse세포 연구에 활용한다든지 하는 연관연구가 가능하기 때문에, 난병치료에 한발 다가설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오늘 해설에서는, Muse세포와 재생의료의 가능성에 대해, NHK 야타베 마사시 해설위원의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Guide Ear&Bird's Eye > 21세기 동아시아인 노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확산되고 있는 구제역 피해 (0) | 2010.05.18 |
---|---|
일본 연구자등 IPS세포로 귀 감각기 만들어 내 (0) | 2010.05.15 |
유럽 상공 화산재 영향 이어져 (0) | 2010.04.19 |
일본 의료원조단체 AMDA, 중국 청해성으로 출발 (0) | 2010.04.15 |
韓國, 世界初の“オンライン”電気自動車を実用化 (0) | 2010.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