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북한 정치범수용소 "요덕 스토리 뮤지컬" 본문

Guide Ear&Bird's Eye/북한[PRK]

북한 정치범수용소 "요덕 스토리 뮤지컬"

CIA Bear 허관(許灌) 2010. 1. 31. 19:10

 

 2006년 북한 함경남도의 요덕 정치범수용소의 참상을 묘사해 뜨거운 호응을 받았던 뮤지컬 ‘요덕 스토리’가 최근 새삼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각계각층으로부터 ‘꼭 관람해야 할 작품’으로 꼽힌 이 뮤지컬이 2월9일 한국공연을 시작으로 세계순회 공연에 나서기 때문이 아닙니다.

이번에 요덕스토리가 집중조명을 받는 것은 뮤지컬에 등장하는 배우의 세련된 연기가 아니라, 실제 요덕 수용소에서 참담한 생활을 한 탈북자들의 거칠지만 진솔한 증언입니다. 며칠 전 기자회견에서 이들이 밝힌 정치범 수용소 생활의 진상은 입에 담기 어렵고 머리에 남기기도 끔찍하다는 반응을 자아냈습니다.

한 탈북자는 “요덕수용소에서는 소똥에 박힌 강냉이도 먹는다”고 했습니다. 수용소에서 죽어나가는 사람 10명 중 8명이 영양실조라고 합니다. 8할이 생사의 갈림길에 처할 정도의 심각한 영양실조라면 수용소에는 먹을 게 거의 없다는 얘깁니다.

‘소똥 강냉이’도 음식으로 삼을 만큼 열악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참다못해 탈출을 시도한 사람들은 공개처형됩니다. 탈북자의 증언은 정치범수용소가 인권 사각지대의 본보기임을 극명하게 드러냅니다.

다른 탈북자는 억울한 간첩 누명을 쓰고 요덕에 끌려갔다고 합니다. 중국에서 장사하면서 남한사람과 접촉한 게 그 이유였습니다. 탈북자의 결백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그는 결국 요덕수용소에서 3년간 지냈습니다. 그는 지금 한국에서 보람되게 살고 있지만 잠이 들면 당시의 암흑생활이 악몽으로 되살아난다며 치를 떨었습니다.

폭력, 굶주림, 처형의 공포가 드리운 요덕수용소는 정치범수용소 가운데 ‘혁명화 구역’으로 분류됩니다. 남한의 반인도범죄조사위원회와 북한민주화운동본부는 서울에서 가진 공동회견에서 현재 요덕수용소에 254명이 갇혀 있다고 폭로했습니다. ‘간첩행위, 반체제행위, 국가기밀누설’의 죄목으로 정치범이 된 사람이 60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그리고 ‘당 권위훼손, 반정부음모죄’가 47명 ‘연좌제’ 29명 ‘말 반동, 체제 비난죄’ 25명 등으로 나뉩니다.

죄목은 거창하지만, 실제 정치범으로 몰린 사람 가운데는 “김일성 목에 혹이 있다”고 해서 끌려간 사례도 있습니다. 이처럼 정확한 말도 없을 텐데 말입니다. 또 남한방송을 본 사람도 가차없이 당합니다. 김정일의 사생활을 잘 아는 사람도 위험합니다. 게다가 부모가 정치범으로 낙인찍히면 자녀도 영락없이 그 족쇄를 물려받습니다. 구시대의 유물인 연좌제가 북한에 버젓이 적용되고 있는 겁니다.

그래도 요덕수용소는 힘들어도 버티면 살아나올 수 있는 곳입니다. 그러나 한번 들어가면 살아서 걸어나올 수 없는 정치범수용소가 있습니다. 이는 ‘완전통제구역’으로 불리는 종신수용소입니다. 남한이나 미국에서 극악무도한 반인륜 범죄를 저질러 종신형에 처한 경우와 같습니다.

평안남도 개천 14호 수용소, 함경북도 화성 16호 수용소, 평안남도 북창 18호 수용소, 함경북도 회령 22호 수용소, 함경북도 청진 25호 수용소 등은 ‘들어가는 문’은 있지만 ‘나오는 문’은 없는 정치범수용소입니다.

북한 정치범 수용소에는 많게는 5만여 명, 적게는 5천여 명이 희망없는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모두 약 20만 명이 가족과 떨어져 창살 안에서 살고 있습니다.

남한의 정부기관인 국가인권위원회가 수용소 수감자와 관리자 또 일반 탈북자들의 증언을 토대로 만든 자료를 공개했습니다. 이 자료에 따르면 탈북을 시도하다 적발됐거나 김정일의 사진을 걸어놓지 않았다는 이유로 재판절차도 없이 하루아침에 정치범이 돼버린 주민들도 있습니다.

물론 정치범이 북한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최초의 흑인 대통령에 당선된 넬슨 만델라는 젊었을 때 줄곧 백인정권의 인종차별에 대항하다 ‘반역죄’로 종신형을 선고받았었습니다. 26년 만에 출소한 그는 노벨평화상을 받았습니다.

남한의 김대중 전 대통령은 내란음모죄로 사형을 선고받고 수감생활을 하던 중 구사일생으로 풀려났습니다. 민주화 이후 대통령에 당선된 김 전 대통령도 노벨평화상을 받았습니다.

비정부 인권기구인 국제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는 지금도 북한을 제외한 세계 각국에 약 70명의 정치범이 고통을 겪고 있다고 전합니다. 애매하게 정치범의 굴레를 쓰는 사람들을 포함하면 그 수는 더 많을 겁니다. 이들 가운데 20년이 넘게 교도소에 갇혀 있는 사람들이 수두룩합니다. 쿠바에는 30년 가까이 수감돼 있는 정치범도 있습니다.

정치범은 정치적 신념이나 종교, 도덕적 가치의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그리고 반역죄, 내란죄가 정치범의 전형입니다. 그러나 많은 북한주민이 정치범의 범주에 들지 않는데도 정치범수용소에서 짐승 취급당하면서 연명하고 있습니다.

남한의 국가인권위원회가 북한의 정치범수용소에 대한 조사결과를 영문으로 번역해 유엔 등 국제기구에 배포해 국제사회의 관심을 유도할 계획이지만, 과연 북한정권이 뜨끔해할 지 의문입니다.

 

 

 

 

 

 北朝鮮の政治収容所が“舞台”に

推定20万人が収監されているとされる北朝鮮の政治収容所。脱北者の証言によると、反体制の人々だけでなく、中国などから強制送還された脱北者や韓国のドラマを見たという理由で収容所送りになった人もいる。家族には連座制が適用されているため、両親や子供たちが一緒に収監されることも多いという。こうした政治収容所の1つで北朝鮮咸鏡南道耀徳(ヨドク)にある通称「第15号管理所」を舞台にしたミュージカル「耀徳ストーリー」が2月にソウルで公演される。5月から年末にかけては、米国やドイツなど世界12カ国で公演される予定だ。(ソウル 水沼啓子)

 「耀徳ストーリー」は、脱北者で政治収容所に収監された経験がある鄭成山さんが脚本と演出を手がけ、自らの実体験を基に制作した。恵まれた家庭に育った美貌(びぼう)の舞踊家を主人公に、ある日突然「スパイの娘」にされた彼女を襲った悲劇と愛を描いた物語だ。政治収容所の悲惨な生活や北朝鮮の非人道的な面が描かれ、政治的なメッセージ性が強い作品だ。

 鄭さんは平壌出身で平壌演劇映画大学卒。父親は朝鮮労働党幹部で北朝鮮のエリートだったが、鄭さんが韓国の放送を聞いたことが発覚し、労働教化刑13年を言い渡され、政治犯収容所に収監された。護送車が山中で転倒した際に脱出し、中国やベトナムなどを経由して韓国に渡った。

韓国では北朝鮮出身の脚本家として知られ、映画「シュリ」や「JSA」、「シルミド/SILMIDO」などの脚色も手がけた。

 しかし北朝鮮を誹謗(ひぼう)する映画を作っていることが北朝鮮の当局に知られ、鄭さんの父親は政治犯収容所で石打の刑で公開処刑されたという。

 ミュージカルは2006年3月に初演され、韓国公演100回のほか、ワシントン、ニューヨークなど米国公演も15回行われた。「各界各層の名士が必見の作品」と評価され、約16万人の観客動員を記録した。

 前回の公演のときは、対北融和政策を進める盧武鉉政権下だったため、北朝鮮を刺激することを懸念した韓国政府から内容の変更を求められたり、たびたび“圧力”をかけられたりしたという。

 また韓国国防省が2008年に「耀徳ストーリー」を巡回公演した際は、北朝鮮が「反共和国人権騒動」と反発。「厳重な政治的挑発」「ウリ(われわれ)式社会主義を壊そうという奸悪な悪巧みの発露」と非難している。

 一方、今回の公演には、北朝鮮に厳しい姿勢で臨む李明博政権下ということもあり、韓国政府の予算から10億ウォン(約7700万円)が支援されたという。

 今回の公演は、前回の公演で指摘された点などを改善し、ダイナミックになった舞台装置や効果音などで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性も高めているという。

 韓国での公演は2月9日から28日までソウルの国立劇場で。VIP席10万ウォン(約7700円)、R席8万ウォン(約6100円)、S席6万ウォン(約4600円)、A席4万ウォン(約3100円)。日本での公演予定はない。

 http://sankei.jp.msn.com/world/korea/100131/kor1001311201000-n1.htm

 

*요덕 정치범수용소(耀德政治犯收容所)는 북조선 함경남도 요덕군에 위치한 정치범 수용소이다. 정식 명칭은 15호 관리소인데, 그 영역은 대체로 광복 당시의 영흥군 요덕면 일대이다. 북조선에는 요덕수용소 이외에도 정치범 수용소가 몇 군데가 더 있지만 대외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요덕의 수용소이다. 그 이유는 그 규모가 큰 것 이외에도, 타지역의 수용소에는 석방이 불가능한 완전통제구역만이 있지만 이 요덕수용소에는 '완전통제구역' 외에도 간혹 석방되기도 하는 혁명화구역이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풀려난 사람들의 증언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1990년대에 약 3만 명의 수인(囚人)들이 완전통제구역에 수용되어 있었으며, 약 1만 6천 명의 수인(囚人)들은 혁명화구역에 수용되었다. 완전통제구역의 수인들은 종신 수용되며, 혁명화구역에 수용된 수인들의 대부분은 대체로 북송 재일교포와 정치범의 가족들이다.

수용소의 전체는 3~4미터 정도의 높이를 가진 담이 있고, 그 위에 2~3미터 높이의 전기철조망으로 둘러싸여져 있다. 담을 따라서는 감시탑이 있어, 자동소총과 감시견을 가진 1천 명의 경비대가 순찰하고 있다.

실제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부인이었던 성혜림과 친구였다는 이유로 요덕수용소에 갇혔던 김영순 씨의 증언을 보면 월북한 만담가 신불출이 숙청후 1976년에 요덕수용소에서 영양실조로 사망했다고 말을 하였다.김정일의 집안 사정과 고위층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알게 되고 그걸 너무 아는 것도 이 수용소로 가게된다고 김영순씨는 밝혔다.실제로 북송된 재일교포들이 갖가지 이유로 북송교포 구역으로 투옥된 적이 있다.

1977년부터 1987년까지 수감되었던 강철환씨는, 구읍리의 혁명화 구역에서 매년 수인의 4% 가량이 사망하는 것으로 추산하는데, 대부분 질병과 영양 실조로 죽어간다. 한 사람의 이른바 '범죄'로 인해 전 가족(어린이도 포함)이 수감되지만, 죄수들 사이의 성관계 및 결혼은 금지되며, 임신할 경우 강제로 낙태되고 만다. 강씨는 수용소에서의 삶을 '수용소의 노래'라는 책에서 묘사한 바 있다.

1995년부터 1999년까지 수감되었던 이영국씨는 대숙리의 혁명화 구역에서 매년 수인의 20% 가량이 사망한다고 추정했다. 매 달마다 새로운 수인들이 들어오는데, 수인들이 거주하는 집에는 난방이 되지 않으므로 겨울이 되면 수인들은 극심한 추위를 견뎌야만 한다.


혁명화 구역에서는 탈출을 시도하거나 음식을 "도둑질한" 수인들에 대한 공개처형이 자행된다

 

대북 인권운동단체들이 대한민국 국가기관의 ‘직무유기’를 새삼 일깨워주고 있다. 북한민주화운동본부와 반인도범죄조사위원회는 26일 북한 요덕수용소 내 이른바 혁명화구역의 수감자 중 신원이 확인된 254명의 명단을 공개했다. 지난해 12월25일 한국계 미국인 로버트 박이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 폐쇄 및 수감자 석방을 촉구하기 위해 자진 입북하는 등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해 국제사회는 물론 국내 민간단체 또한 활동을 더 적극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한민국 국회와 정부가 얼굴을 들 수 없게 하는 명단 공개가 아닐 수 없다.

민간단체들이 신변위험을 무릅쓰면서까지 실상 확인과 공개 등을 통한 국제 연대 활동에 적극적인 사실은 책무를 외면하다시피 해온 국회·정부와 대비하기조차 민망하기 때문이다. 북한민주화운동본부 등은 2004년 발표한 121명에 2003∼2005년 요덕수용소를 빠져나온 탈북자들의 증언을 토대로 확인한 133명을 추가하고 있다. 그 내용도 매우 구체적이다. 이들은 국제형사재판소(ICC)와 유엔 등에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에서 자행되고 있는 반인권 범죄를 고발할 계획도 밝히고 있다.

국회는 어떠한가. 북한인권법안이 제17대 국회 때 발의됐으나 자동 폐기됐고, 제18대 국회 들어와서도 외교통상통일위원회에 계류된 채 진전이 없다. 미국 의회가 2004년에, 일본 의회가 2006년6월16일 북한인권법을 각각 제정한 사실에 스스로를 비춰보면서 뒤늦게나마 자성하거나 자책하는 양식과도 거리가 먼 것이다. 통일부도 다를 바 없다. 북한민주화운동본부는 명칭부터 북한정치범수용소해체본부로 하려고 했으나 노무현 정부 당시 제동을 건 통일부의 자세가 이명박 정부 들어서도 달라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개명 신청서를 지난해 9월 접수하고도 아직까지 공식답변을 하지 않은 채 북한 정권을 자극할 우려가 있어 부담스럽다는 식의 비공식 입장을 전해왔다는 것이다.

국회와 정부는 요덕수용소 명단 자체가 국가기관의 존재 이유를 묻고 있다는 사실부터 깨닫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