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북한 묘향산 보현사(사진) 본문

-平和大忍, 信望愛./韓中日 동북아역사(한자언어문화권)

북한 묘향산 보현사(사진)

CIA Bear 허관(許灌) 2009. 3. 29. 11:08

 

 

묘향산(妙香山)은 평안북도 향산군과 구장군, 평안남도 영원군, 자강도 희천시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909m. 묘향산맥의 중앙에 솟아 있으며, 우리나라 5대 명산의 하나이자 세계적인 명산이다. 최고봉은 비로봉(1,909m)이며, 주위에 진귀봉(1,820m)·원만봉(1,825m)·향로봉(1,599m)·오선봉(1,260m)·법왕봉(1,392m)·관음봉(1,120m) 등이 솟아 있다. 연주산·태백산 등으로도 불렸으며, 산세가 기묘하고 향기를 풍기는 아름다운 산이란 의미에서 11세기초부터 묘향산이라 불렀다.
기반암은 시생대 흑운모 화강암이며, 중생대 조산운동을 비롯한 여러 차례의 지각변동으로 복잡하고 다양한 지각구조를 이루었다. 또한 습곡·단층 운동으로 기묘한 봉우리와 기암절벽 및 폭포 등이 많이 형성되었다. 비로봉을 중심으로 동쪽의 대동강 기슭과 서쪽의 청천강 기슭은 높이 1,300~1,600m의 높은 산과 산간을 흐르는 향산천·백령천·내창강·원명천 등에 의해 많은 계곡이 발달했다. 이 일대는 서해안에서 형성된 습한 대기가 묘향산맥에 부딪쳐 비를 내리는 지형성 강우지역으로 한국 3대 다우지역에 속한다. 연평균기온 8.3℃ 내외, 1월평균기온 -10.5℃ 내외, 8월평균기온 23.7℃ 내외, 연평균강수량 1,342㎜ 정도이다. 식물종이 매우 다양하고 풍부하여 가문비나무·누운향나무·누운잣나무·누운측백나무 등 북부·남부 계통의 혼합림과 고산식물이 자란다. 또한 인삼·지치 등과 산나물이 풍부하며, 사향노루·산양 등 수십 종의 짐승류와 조류가 서식하고 있다. 산뽕나무·상원암은행나무·들메나무 등의 고목(古木)은 북한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향산천 계곡 주변의 많은 봉우리와 인호대·천주석·단군대·강선대·설령대·보련대 등의 기암은 전망이 훌륭하고 상원동·만폭동·주암골 등은 계곡과 폭포 및 울창한 숲과 어우러져 절경을 이룬다.

산의 남동 기슭에 있는 보현사는 일제강점기 때 31본산 중 하나였으며, 1042년(정종 8)에 굉확(宏廓)에 의해 묘향산을 대표하는 대가람이 되었다. 대웅전·극락전·보현사 8각13층 석탑·보현사9층석탑 등과 석가여래상을 비롯한 양대보살상 등이 있으며, 또한 보현사의 연혁을 밝힌 보현사비·보현사중건비가 세워져 있다. 그밖에도 조계문·해탈문 등의 건물과 상원암·능인암 등의 부속암자가 있다. 보현사 서쪽에 있는 안심사는 1028년(현종 19) 창건되었으며, 묘향산안심사석종비가 세워져 있다. 묘향산 일대에는 조각품·그림·공예품 등의 문화유산과 20여 채의 옛 건물·비석 등이 잘 보존되어 있고, 고려초에 세워진 사각9층탑·팔각13층탑 등도 있다. 상원동·만폭동·천태동·칠성동·하비로암에서 비로봉에 이르는 등산로가 있다.


*보현사 (普賢寺)는 평안북도 향산군 묘향산에 위치한 불사(佛寺)이다. 784년의상에 의해 세워지고, 고려 때인 1024년에 복원되었다. 원래는 팔만대장경이 보관되어 있었지만 팔만대장경1984년북한평안북도 당 인민위원회가 향산문헌보존고를 만들어 옮기고, 지금은 북한 불교의 종교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