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308만명 인구가 거주하는 소비가 주입(注入)으로 생각하는 소비계층 평양. 본문
308만명 인구가 거주하는 소비가 주입(注入)으로 생각하는 소비계층 평양.
CIA Bear 허관(許灌) 2009. 2. 4. 18:53평양 면적 3,194㎢, 인구 3,084,400(2002).
평양시의 면적은 3천 194km로 전체 북한 면적의 1.18%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구는 308만명에 이르고 있다(평양시 인구가 북한 전체인구 9분의 1이 거주하고 있다) 평양시의 행정구역은 현재 만경대구역(동 19개구역)과 강동군등 4개 군으로 구성돼 있다
평양시는 1990년대 이후에도 평성시의 일부지역을 흡수 , 은정구역을 신설하는 등 도시의 규모를 확대해왔다 북한 전체인구는 약 2천 200만명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평양시 및 평안남도, 북도에 전체인구의 40%이상이 거주하능 등 총인구의 61%정도가 도시지역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평양의 궤도전차
*평양시내 영어교사와 영어 공부하는 아동모습
*평양지하철의 승강장
평양은 한반도 서북부 중앙에 자리한 북한의 수도이다
동쪽은 평안남도 회창군과 황해북도 연산군, 서쪽은 평안남도 대동군과 남포직할시, 남쪽은 황해북도 황주군·연탄군, 북쪽은 평안남도 평성시·성천군·평원군과 접해 있다. 평양은 고조선 이래 기자조선·위만조선·낙랑·고구려의 도읍지로 역사적인 고도(古都)이다. 지금은 북한의 정치·경제·문화·행정·교육의 중심지로서 '혁명의 수도'로 불리고 있으며, 김일성의 우상화를 반영하는 동상·기념비·박물관·사적관·기념관 등과 중앙기관이 자리하고 있다. 북한 최대 종합공업지대인 평양공업지구의 핵심지역으로 중공업과 경공업이 함께 발달하고 있으며, 남포직할시·사리원시 등과 대도시권으로 연결된 북한 최대의 소비지이다. 행정구역은 중구역·평천구역·보통강구역·모란봉구역·서성구역·선교구역·동대원구역·대동강구역·사동구역·대성구역·형제산구역·용성구역·삼석구역·승호구역·역포구역·낙랑구역·만경대구역·순안구역·강남군·중화군·상원군·강동군 등 18개 구역, 4개군, 4개읍, 5개 노동자구 387개 동리로 되어 있다. 면적 3,194㎢, 인구 3,084,400(2002).
1.평양시 연혁
2.자연환경
대동강과 그 지류의 작용으로 퇴적평야가 분포하며, 이를 낮은 산지들이 둘러싸고 있다. 시의 북부지역은 용골산(400m)·청운산(363m)·국사봉(448m) 등이 솟아 있고, 중심지역에는 대성산(270m)·아미산(153m) 등 낮은 산들이 산재하면서 구릉지대를 이룬다. 특히 대동강 연안을 따라 용남산(43m)·모란봉(95m)·만수대(60m) 등 100m 미만의 구릉들이 연이어 솟아 있다. 시의 동부 강동군 지역에는 추봉산(513m)·태을덕산(526m)·각흘산(630m)·풍어산(766m)·사봉산(618m) 등 높이 500m 안팎의 산들이 솟아 있으며, 동남부 상원군지역은 언진산맥의 지맥이 뻗어내려 대청산(873m)·오봉산(774m)·수산(733m) 등이 솟아 있어 시에서 가장 높은 산줄기를 이루고 있다. 평안남도 대흥군 낭림리 북부에서 발원한 대동강이 시의 중심부를 북동에서 남서 방향으로 흐르며, 수정천·남강·무진천·곤양강·순화강·보통강·합장강 등의 지류가 흘러든다. 특히 대동강은 시가지를 통과하면서 능라도·반월도·양각도·쑥섬·두루섬·두단섬 등의 하중도를 만들었으며, 밀물 때에는 사동구역 미림동까지 바닷물의 영향을 받는다. 보통강의 범람으로 평양의 홍수피해가 잦자 1946년부터 보통강 개수공사가 실시되었으며, 이 공사의 완공으로 옛 유로에 보통강운하가 건설되었고, 보통강유원지가 조성되었다. 역포구역을 중심으로 낙랑구역·강남군·중화군 등 대동강 남쪽 일대에는 침식·삭박 작용으로 준평원화된 평양평야가 펼쳐져 있다. 그밖에 임원평야·순안평야·미림평야·보통평야·동평양평야 등이 발달하고 있다. 대동강을 가로지르는 능라교, 옥류교, 대동교, 양각교, 충성의 다리 등이 건설되어 평양시를 동서로 연결하고 있다. 기후는 내륙에 위치해 있는 관계로 대륙성 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가 심하다. 연평균기온 9.6℃ 내외, 1월평균기온 -8℃ 내외, 8월평균기온은 24℃ 내외이며, 연평균강수량은 987㎜ 정도로 소우지역에 속한다. 일조율은 54%로서 첫서리는 10월 15일경에, 마감서리는 4월 24일경에 내린다. 대동강은 11월 하순에서 12월 초순 사이에 결빙하고 3월 중순경에 해빙한다. 온대북부산림대에 속하며, 산림은 시 면적의 40%이다. 주로 삼석구역·용성구역 등의 북부지대와 승호구역 및 강동군·상원군·중화군 등 동남부 일대가 삼림지대를 이루며, 소나무가 전체 수종의 80%를 차지한다
3.산업
4.교통
철도·도로·수상·항공 교통을 통해 북한 전지역 및 친공산국가들과 연결되어 있다. 철도는 단선으로 거의 전철화되었으며, 평양을 기점으로 평의선(평양-신의주)·평부선(평양-개성)·평라선(평양-나진)·평남선(평양-평남온천)·평덕선(평양-구장)이 있다. 평양-모스크바, 평양-베이징[北京] 간 국제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시내에는 평양역·서평양역·서포역·대동강역·역포역·중화역·보통강역 등이 있다. 도로 역시 평양을 중심으로 신의주·남포·원산·개성·만포 등 북한 전지역과 연결되어 있으며, 평양-원산 172km, 평양-개성 170km, 평양-남포 53km, 평양-순안 15km 간 고속도로가 나 있다. 시내교통은 무궤도전차 3개 노선, 버스 6개 노선이 주요 간선도로를 운행하고 있으며, 헝가리로 부터 도입한 궤도전차가 운행되고 있다. 지하철은 평천구역에서 서성구역 간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천리마선, 만경대구역에서 보통강구역을 거쳐 대성산까지 동서로 통하는 혁신선이 개통되어 있으며 총연장은 34km에 이르고 있다. 평양특별시는 시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대동강을 이용해 송림·남포·은율·재령 등 여러 지역과 화물 및 여객선이 운항되고 있다. 북부 순안구역에는 국제공항인 순안비행장이 있으며, 북한 내의 주요도시를 비롯해 순안-모스크바, 순안-베이징, 순안-하바로프스크 간의 국제항공로가 개설되어 있다. 통신은 평양을 중심으로 지방 주요도시간 반송전화가 가설되었으며, 각 도와 군 간에도 직통전화를 가설했다. 외국과는 위성통신망이 구성되어 홍콩·베이징 등과의 통신이 가능하다. 평양에는 국제위성통신국을 비롯해 평양통신중계소·국제전신전화국·평양전화국이 있으며, 전화회선은 4만 회선에 이른다
5.유물, 유적, 관광
평양은 오랜 역사를 간직한 도시로서 유물·유적이 많다. 구석기시대 전기의 동굴유적인 상원군 검은모루유적을 비롯해 사동구역의 미림리원시유적, 역포구역의 대현동유적, 사동구역의 금탄리유적, 강동군에 청동기시대 고인돌이 있으며 대성구역의 고구려고분, 역포구역 무진리의 동명왕릉 등이 있다. 성터 및 절터로는 낙랑구역의 낙랑리토성, 대성구역의 대성산성·안학궁터, 청암리토성, 평양성, 외성, 내성, 북성, 영명사터 등이 있다. 누정으로는 연광정·숭령전·최승대·을밀대·현무문·부벽루·청류정 등이 남아 있다. 특히 대동문·보통문은 국보급으로, 평양종·숭인전·오순정·칠성문·홍복사6각7층석탑·영명사8각석불·중흥사당간지주는 보물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대동강 주변에는 모란봉·을밀대·만경봉 등의 명승지와 능라도·양각도 같은 섬들이 있어 예로부터 풍치가 뛰어난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평양관광권을 이루고 있다. 관광 편의시설로는 고려 호텔, 서산 호텔, 양강 호텔, 청년 호텔, 양각도 호텔, 보통강 호텔, 창광산 호텔, 모란봉 호텔, 봉화산 호텔, 서평양 호텔, 유경 호텔 등이 있다.
6.교육과 문화
7.도시개발
북한에도 대부분 가정이 자녀를 한명이나 두명을 두고 있으며 북한 주민들도 개인소유 고급 아파트나 주택, 자동차, 디지털 카메라, 카메라 3세대 휴대폰등을 소유하려고 노력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토지는 국가소유로 개인소유 사유재산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도시와 농촌 격차, 빈부격차, 유상 능력제 대학입학등이 사회 문제화 되고 있습니다
'Guide Ear&Bird's Eye12 > 한국전쟁과 유엔군 16개국 자료 발굴'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8만명이 거주하는 평양시에서도 수평적권력교체 선거혁명 가능할까요 (0) | 2009.02.06 |
---|---|
연합군이 북한을 공격할때 3일이내 북한 인민군 항복 가능성 여부 (0) | 2009.02.05 |
“북한 급변사태 때 WMD는 미국이 통제 가능성” (0) | 2009.01.29 |
"北붕괴시 안정위해 한.미병력 46만명 주둔해야" (0) | 2009.01.28 |
金 유고땐 軍 ‘3인방’중에서 통수권 장악 가능성 (0) | 2009.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