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베트남 외환위기, 러시아 금융위기 우려"- LG硏 본문

CIA.FBI(귀가 빙빙 도는 뇌 감청기)

"베트남 외환위기, 러시아 금융위기 우려"- LG硏

CIA bear 허관(許灌) 2008. 8. 24. 19:09

[LG硏, 불가리아·라트비아.리투아니아·우크라이나·남아공 6개국 지목]

-베트남·불가리아·라트비아·리투아니아·우크라이나·남아공
-라트비아·불가리아·리투아니아 외채위기 가능성도
-브라질·칠레러시아는 금융위기 가능성
베트남, 불가리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우크라이나,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에서 경제위기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나왔다. 브라질, 칠레, 러시아 등은 금융위기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G경제연구원은 24일 '신흥경제권의 경제위기 발생 가능성 점검'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들 나라는 대외 충격에 취약해 글로벌 금융쇼크가 발생할 경우 외환위기가 발생할 우려가 높다. 특히 라트비아, 불가리아, 리투아니아 3개국은 외채위기(국내 유동성이 부족해 대외 채무를 이행하지 못하는 경우)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물가상승률이 10%이상이고 경상수지 적자를 보인 나라는 위험하다고 밝혔다. 베트남, 우크라이나, 라트비아, 불가리아, 리투아니아, 남아공 등이다.

경상수지 적자가 국내총생산(GDP)의 5%를 넘고 미국과의 실질금리 격차가 마이너스인 곳도 위험하다. 베트남, 불가리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우크라이나, 남아공 등이다.

단기외채가 GDP의 20%를 넘고 미국과의 실질금리 격차가 마이너스 5%포인트 이상인 곳은 해외투자자들이 자금을 회수할 때 많은 충격을 받게 된다. 라트비아, 불가리아, 리투아니아 등이 이런 곳에 속한다.

고금리, 인플레이션 등은 세 단계만 더 발전하면 외환위기로 연결될 수 있고 경상수지 적자 확대와 과도한 외채는 두 단계만 더 나가면 외채위기를 촉발할 수 있다고 연구원 측은 밝혔다.

연구원은 또 금융위기 발생 가능성을 분석한 결과, 브라질, 칠레, 러시아 등이 가능성이 높은 나라로 꼽혔다고 밝혔다.

경상수지, 금리, 물가, 단기외채 등 대외거래 측면에서 건전하나 최근 급격히 팽창하는 국내 신용과 이를 바탕으로 한 소비증가, 정부의 금융감독 부실, 사금융 증가 등 대내여건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브라질, 러시아 등은 수차례에 걸친 외환위기와 외채위기를 통해 대외거래에서 노하우를 축적했으나 국내 신용 관리나 금융감독 측면에서의 발전이 느리다고 연구원 측은 설명했다.

 

"베트남 외환위기, 러시아 금융위기 우려"- LG硏

신흥 경제국 가운데 동유럽 일부 국가와 베트남,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이 외환위기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이 나왔다.

LG경제연구원은 24일 "신흥경제권 국가들을 검토한 결과 베트남 등 6개국은 외환위기의 가능성이 높고 러시아 등 3개국은 국내 금융기관의 취약으로 인한 금융위기의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김형주 연구원은 우선 경제위기의 징후와 증상에 따라 ▲ 은행이나 신용카드 회사 등이 지급 불능사태에 빠지는 금융위기 ▲ 자국통화가 급격하게 절하되는 외환위기 ▲ 국내 유동성이 부족해 대외 채무를 이향하지 못하는 외채위기 등으로 분류했다.

김 연구원은 1차적으로 거시변수를 이용한 정량분석을 통해서 베트남, 불가리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우크라이나, 남아공 등이 경제위기 발생 가능성이 높은 후보국이며 이 중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불가리아는 외환위기 뿐만 아니라 외채위기의 위험성도 큰 상태라고 지적했다.

그는 글로벌 금융 쇼크가 발생하여 급격한 외화 유출이 초래될 경우 1차 검증된 6개 국가들이 직접적인 위험에 가장 먼저 노출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위험 신호가 곧 위기라는 식의 해석은 경계했다.

김 연구원은 브라질, 칠레, 러시아 등이 금융위기의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들 국가들은 대외거래 측면은 매우 건전하나 ▲ 급격히 증가하는 국내 신용 ▲ 이에 기반한 소비증가 정부의 금융감독부실 ▲ 사금융증가 등 대내여건이 좋지 않다"며 "이들은 대외거래와 관련된 부분에서는 상당한 노하우가 있으나 국내 신용관리나 금융감독 등의 측면에서는 발전 속도가 느리다"고 언급했다.

그는 "속도 관리만 잘 된다면 글로벌 유동성 팽창과정에서 형성된 버블을 털어내면서 장기적 성장에 꼭 필요한 과정"이라며 "위기적 경제 상황을 반드시 부정적으로만 볼 필요는 없다"고 덧붙였다.

http://www.newspim.com/sub_view.php?start=0&cate1=7&cate2=2&ecate=&news_id=172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