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UNDP, 대북사업 관련 자료 안전하게 보관” 본문
UNDP, 즉 유엔개발계획이 북한에서 철수하기 앞서 200만 달러에 달하는 각종 자산을 북한에 무상으로 넘겨주기로 했다는 의혹에 대해, 유엔개발계획이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습니다. 유엔개발계획은 대북 사업과 관련한 모든 자료나 평양사무소에서 사용하던 모든 자산은 세계식량계획이 보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의 일간지 뉴욕 선은 25일, 대북 사업 잠정 중단을 결정한 유엔개발계획이 그간 북한에서 사용하던 고가의 시설과 장비를 북한에 넘겨주기로 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23일, 평양에 남아 있던 유엔개발계획 직원 두 명의 철수를 요구하면서, 철수하기 전에 모든 자산을 다 넘겨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뉴욕 선은, 유엔개발계획이 북한에 무상으로 넘기는 물품은, 고가의 수력발전소와 발전기, 또 여러 대의 컴퓨터와 컴퓨터 저장장치 등 시가로 2백만 달라가 된다고 보도했습니다. 특히 컴퓨터 관련 장비의 경우, 유엔개발계획 대북사업 회계감사 작업에 꼭 필요한 자료가 저장되어 있을 가능성도 제기했습니다.
그러나, 유엔개발계획은 북한에 이양되는 물건들은 대북 사업을 하기 위해 구입한 물건 등 소위 “사업 자산”(project assets)에 불과하다고 크리스티나 로니그로(Christina LoNigro) 유엔개발계획 대변인이 30일 자유아시아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설명했습니다.
LoNigro: Now all of the equipments and things we used in implementation of our projects in N. Korea which were already in the possession of N. Korean authority...
"북한에서 사업을 진행하는 데 사용됐던 장비나 물건들은 이미 북한 당국이 소유하고 있던 것입니다. 세계 어느 곳이던지, 사업이 잠정 중단되면, 사업 상대 국가에 사업 관련 장비나 물건에 대한 권리를 이양하게 됩니다."
로니그로 대변인은 이어 유엔개발계획 본부의 고유 자산, 즉 컴퓨터를 포함해 회계감사를 위해 필요한 재정이나 직원 관련 문서, 사업 현장 방문 관련 문서, 컴퓨터 저장자료 등은 모두 세계식량계획의 보호아래 있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대북사업과 관련한 모든 자료는 보호조치를 취해 놨기 때문에, 북한 당국은 포함해 다른 곳으로 누출될 가능성이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뉴욕 선은 또 이같은 기자재 이양문제와는 별도로 대북 사업 마무리 작업이 채 끝나지 않고, 또 회계감사도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유엔개발계획 직원이 모두 철수하는 데 대한 의혹도 제기했습니다. 신문은 유엔개발계획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유엔개발계획이 북한에서 벌이던 36개 사업 중 14개만이 실제 정리가 됐다며 감사 작업에도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그러나 데이비드 모리슨(David Morrison) 유엔개발계획 대변인은 대북 사업 마무리 작업은 완료가 됐다고 해명했습니다. 또한 외부 회계감사는 이번 철수에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모리슨 대변인이 지난 주 자유아시아방송과의 통화에서 밝힌 내용입니다.
Morrison: Auditing takes place on records,,,
"아시다시피 회계감사는 문서를 상대로 이뤄지는 것입니다. 복사본을 많이 만들어 뒀고, 컴퓨터 자료도 보충했습니다. 감사원들이 원하는 자료를 모두 볼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 놨습니다. 자료가 더 필요하다면, 세계식량계획을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한편, 유엔개발계획은 지난 1979년 북한과 협약을 체결하고, 1980년, 유엔기구 중에 처음으로 평양에 사무소를 개설했습니다. 그동안 북한의 공공보건과 환경, 농업, 그리고 경제개발 등의 사업을 벌여 왔습니다.
워싱턴-이진희
'CIA.FBI(귀가 빙빙 도는 뇌 감청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형사재판소, 전범혐의 수단각료등에 체포 영장 (0) | 2007.05.02 |
---|---|
미 국무부 테러보고서, 북한 테러지원국 재 지정 (0) | 2007.05.02 |
"사우디 ‘제2의 9·11’ 모의 172명 적발" (0) | 2007.04.30 |
한국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 "폭행 혐의로 경찰 소환돼,한국 청와대는 이번 사건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경찰에 지시"<미국의 소리> (0) | 2007.04.30 |
검찰, 장동익 대한의사협회의 회장 ‘성접대 혐의’도 재수사 (0) | 2007.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