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동아시아 알(I=intelligence)센타:김일성 전(前)주석의 전처(前妻) 김정숙과 후처(後妻) 김성애의 주요 자료 본문

Guide Ear&Bird's Eye/북한[PRK]

동아시아 알(I=intelligence)센타:김일성 전(前)주석의 전처(前妻) 김정숙과 후처(後妻) 김성애의 주요 자료

CIA Bear 허관(許灌) 2006. 8. 6. 09:05
1.김일성 전(前) 주석의 전처(前妻) 김정숙(金貞淑)
김정숙은 1917년 12월 24일 함북 회령 출신으로 김일성보다 5년 연하의 여성으로 김일성과 유사한 배경을 가진 빨치산이었다 그녀는 어렸을때 부친을 찾으러 어머니와 함께 만주(滿州)로 들어갔다가 모친 사망 후 고아가 되었으며 1935년 16세때 빨치산부대에 입대하여 밥 짓고 빨래하는 일을 주로 맡아했다 일설에 따르면 김일성과 같이 활동했던 빨치산대원이 김정숙과 맺어지도록 김일성의 <등을 떼밀었다>는 얘기도 있다
김정숙은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명사수로서 김일성의 생명을 구해준 적도 있다고 한다 그러나 글을 전혀 읽지도 쓰지도 못하는 문맹자였고 여성다운 부드러움은 별로 찾아볼 수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 김일성과는 사이가 별로 좋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북항일연합군의 무력투쟁이 내리막길을 걸던 1940년 말경 김일성과 김정숙은 결혼했고 다음해 3월쯤 김일성을 따라 소련으로 도피, 소련군 훈련소 생활(소련군사학교 훈련 수료)과 소련군 극동사령부 88여단에 가입했다 김정숙의 인생변화는 소련군사학교 훈련과정 수료이다 소련군사학교 출신들이 한인부대(韓人部隊)로 소련군 극동사령부 휘하부대로 사할린, 일본북방 섬 일부 그리고 만주와 한반도 38도선 이북지역을 점령하는 특수부대 지위와 역할을 했다
1942년 2월 16일 하바로프스크 바트코스예 마을에서 쌍둥이 아들 유라(김정일)와 딸 슈라를 낳았다 유아시절 김정일은 어머니의 정상적인 보살핌을 받을 수가 없었다 소련 영내에 있던 기혼여성 빨치산들은 아이들을 탁아소에 맡기도록 되어 있었다 때문에 김정일은 태어난지 40여일만에 탁아소에 맡겨졌다고 한다 김정숙은 군사훈련 중 탁아소에 젖을 먹으러 가곤 했다 그러나 당시 김정숙은 젖이 잘 나오지 않아 함께 빨치산 활동을 했던 다른 여인이 대신 김정일에게 젖을 물려주곤 했다고 전해진다 슈라는 3-4세때 김일성 전(前) 주석이 소련군 극동사령부 88여단 대대장으로 근무하던 하바로프스크 바트코예 마을 우물에 빠져 죽었다
아직도 그 곳에 슈라의 무덤이 있다
김일성과 김정숙은 극동사령부 예하 제1전선 군사령부 상장 스티코프 상장 휘하 소련군 25만명과 함께 북한으로 입성했으며 그 군대에 의하여 소련군정이 실시되었다
김정숙은 해방 후 평양에서 장녀 김경희를 낳았다 그녀는 북한에 남아 있는 유일한 누이 동생이며 정성택이라는 당 간부와 결혼하여 김정일을 보좌하고 있다
김정숙은 김정일 나이 여덟살때 1949년 9월 22일 네번째 아이를 출산하다가 모자가 함께 사망했다
(1)1917년 12월 24일생(김일성과 5년 연하)---사망
(2)출생지: 함북 회령
(3)학력--무학(無學)과 소련군사학교 졸업
(4)가족관계--김일성과 사이 1남 2녀 출생 그리고 1녀 사망
-김정일(金正日,김유라):북한 군 통수권자 최고사령관 국방위원장
-김슈라(딸--사망)
-김경희(金敬姬, 딸):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그리고 당 경공업부장
(5)경력
-1935년 16세때 동북항일연합군(소련군극동사령부 휘하 부대) 빨치산 취사병으로 활동
-1940년 말경 김일성과 결혼
-1941년 3월경 소련군사학교 수료와 소련군극동사령부 88특별여단 가입 활동
-1945년 8월 15일 전후 소련군 25만명과 함께 북한지역 점령군으로 입북(入北)
-1949년 9월 22일 네번째 아이를 출산하다가 모자 함께 사망
-소련정보기관(Cheka 체카,KGB)은 노동자. 농민. 진보적 지식인. 학생등 공산주의 운동가 위주로 창설했으며 나중에는 민족해방인민민주주의 혁명가 중심으로 조직화했다 체카(Cheka)는 공산주의자와 민족주의 사회주의자들 중에 소련공산당을 위하여 헌신적으로 투쟁한 사람들로 구성된 소련공산당 전위대이다 이들은 초기에는 공산당 지령에 따라 공장 파업이나 사보타주의 그리고 선전전, 무장봉기등을 주도했으며 나중에는 민족해방 인민전쟁(NLPDR)으로 권력을 장악하여 공산당 정부 수립이후에는 권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농민파업이나 노동자 투쟁을 억압하고 제거하는데 앞장 서며 그리고 지주와 자본가 그리고 외세들과 투쟁을 했다
김일성과 김정숙은 소련공산당 지시를 받은 만주지역 조선 공산당 출신으로 농민운동과 노동운동을 주도하면서 빨치산투쟁을 하다가 1940년대 소련군 극동사령부 소련군사학교 교육훈련 수료으로 소련군이 되었고 그 이후 2차대전 일본군이 점령하고 있는 한반도에 소련군과 함께 들어왔다

2.김일성 전(前) 주석의 후처(後妻) 김성애(金聖愛)
김성애는 1924년 평남 강서군에서 농사꾼의 장녀로 태어났으며 중학교를 마치고 6.25 한국전쟁 직전 인민군에 입대하여 특무상사로 김일성 집무실 서기로 일했다 그때 1949년 첫번째 부인인 김정숙을 사별한 북한 김일성 수상을 만났다
젊은 시절 김성애는 얼굴이 예쁜 편이었고 머리도 좋은 편으로 알려져 있다 이 무렵 김성애는 김일성의 아이를 가진 적이 있다고 한다 이를 소리 안나게 해결해준 사람이 당시 부수상 박정애였다 박정애는 김성애를 달래 고향에 내려가 쉬도록 해준 다음 생활비를 보내 주었다
그러나 김성애는 전쟁이 끝나자 그 길로 김일성의 관저로 찾아가 보따리를 풀었다 김성애는 전처에게서 난 김정일과 김경희에게 잘 대해주었다고 한다 김성애가 상황파악에 능했던 것이다 당시 김일성 관저에는 김일성의 장모가 되는 김성애의 어머니 고영칠도 같이 살았다 공식적으로는 김성애가 1949년 첫번째 부인인 김정숙을 사별한 김일성과 1963년경에 결혼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김일성은 김성애에게서 딸 하나, 아들 둘을 얻었다 바로 경진. 평일. 영일이다 장모 고영칠씨가 후덕한 성품이어서 김정일과 이복형제들을 어린 시절을 친형제처럼 잘 지냈다
<청소년 시절 김정일은 나이 차가 많이 나는 동생 평일에게 특유의 농담을 곧잘 했다 자기보다 덩치가 커서 가끔 "어이 평일이 형"하고 부르곤 했다>고 한다 김평일은 178cm 키에 80kg으로 김정일에 비해 체격이 큰 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1974년 후계자를 김정일로 공인된 후 평일. 영일. 경진등을 <곁가지>로 분류하고 이들을 쳐내기 시작했다 <곁가지>의 발달은 김성애였다 1969년 김성애가 중앙여성동맹위원장에 오르면서 그녀의 바람이 거세게 불기 시작했다 김성애는 김일성이 현지 지도차 나가면 그림자처럼 따라 다니며 김일성보다 더 많은 말을 했다 그러다 나중에 여맹 사무실에 붙어 있던 김정숙의 사진을 모두 떼어내고 자신의 사진을 붙이기까지 했다
그녀의 사회적 활동은 비교적 분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퍼스트 레이디>로서의 역할은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김일성 주석이 외국을 방문하거나 국내에서 외국대표단을 영접할때 김성애가 김일성주석과 동행하는 경우에도 북한의 언론들은 그녀의 동정에 대해서는 전혀 보도하지 않았다
이는 북한의 후계자인 김정일의 생모이자 김일성의 첫 부인인 김정숙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 권부에서 <원가지-적자> <곁가지-서자> 이야기가 공공연하게 거론된 것은 1980년대부터다 김정일이라는 이름도 1980년 10월, 정일(正一)에서 정일(正日)로 바꿨다 어머니 김정숙의 정(正)과 아버지 김일성의 일(日)자를 합성해서 직접 만든 이름이다 이는 김정일 자신이 김일성의 유일한 적자임을 나타내기 위해서다 그의 이복 동생들은 모두 한 일(一)자를 쓰고 있다
(1)출생일:1924생(김일성과 12년 연하)--생존
(2)출생지: 평남 강서군
(3)학력--중학교 졸업
(3)가족관계--김일성과 사이에는 2남 1녀 출생
-김평일(金平一, 아들):북한 주폴란드 대사(1977년 김일성종합대학교 졸업)
-김영일(아들)
-김경진(딸)
(4)경력
1965.년 11월 여성동맹 부위원장
1970년 11월 당 중앙위원(현직)
1971년 10월 여성동맹 위원장
1972년 12월 최고인민회의 제5-9기 대의원
1972년 12월 최고인민회의 상설회의 의원
1994년 7월 김일성 국가장의위원회 위원
1998년 4월 여성동맹 위원장 해임 그리고 여성동맹위원장 천연옥 임명
(5)주요동정
1975년 5월 김일성을 수행하여 루마니아. 알제리. 모리타니아. 불가리아등 방문
1994년 6월 김일성의 <시아누크 부부> <카터부부>의 면담시 배석
1994년 7월 김일성 추도대회(김일성광장) 참석
1997년 7월 김일성 사망 3주기 중앙추모대회 참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