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스크랩] 북한(North Korea) 국가 개요(槪要)와 노동당 창당 준비위원회(김두봉. 김일성. 박헌영. 허가이등) 자료 본문
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북한(North Korea) 국가 개요(槪要)와 노동당 창당 준비위원회(김두봉. 김일성. 박헌영. 허가이등) 자료
CIA Bear 허관(許灌) 2006. 3. 26. 16:221.북한 국가개요
북한(North Korea)은 동북아시아 한반도 북위 38도 북쪽(남북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에 있는 공산주의 좌익군정체제이다 북한은 구소련(舊蘇聯) 공산주의 인민회의제 집정부 국가도 아닌 김일성 일가(一家) 주체사상 중심의 좌익군정 반미정부로 규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북한(North Korea)의 면적은 12만 1,129 평방 km이며 인구는 2196만 8000명이며 인구밀도는 178.9명/평방 km이다(북한은 한반도 전체 면적 55%이상 차지하지만 공산주의반미 주체사상 독재정부 통치로 인하여 대만보다 적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으며 남한 전체인구 절반 수준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북한 전체인구는 갈수록 감소하고 있으며 중국이나 남한으로 탈북자가 속출하고 있다)
1953년 7월 정전협정에 의해 설정된 군사분계선 이북의 지역 또는 그 지역에 세운 친소정부이며 소련군극동사령부 친위대 김일성 공산정권이다 정식명칭은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이다 김일성과 박헌영등은 미국등 연합군이 인정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부정하고 미국과 소련 군대가 한반도를 점령하기 이전에 수립한 조선인민공화국을 계승한 정부로 규정하고 있었다
한국 전체 면적 22만 1,336평방km의 약 55%인 12만 2,762평방km이며 경도와 위도상으러 동쪽 끝 동경 130도 41. 32(함북 나진.선봉 직할시 우암리), 서쪽 끝 동경 124도 10.47(평안북도 용천군 비단섬 노동자구), 남단 북위 37도 41.00(황해남도 강령군 등암리), 북단 북위 43도 00.36(함경북도 온성군 풍서리)에 놓여 있다 북한지역의 해안선은 2,495km이며 국경선은 1,675km이며 이중 중국과 1360km, 러시아와 16.5km를 접하고 있다
(1)위치-----동북아시아 한반도 38도 북쪽지역
(2)면적-----12만 1,129평방 km
(3)국경-----1,674 km
(4)해안선-----2,495km
(5)영해------12해리(경제수역 200해리 1977년 8월 1일)
(6)인구와 평균수명
ㄱ.북한인구-----2,196만 8,000명(2001년도 기준)
북한의 인구는 2002년 7월 기준 총 2천 222만 4천 195명인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200년 10월 17일 미국 중앙정보국(CIA)이 공개한 북한 관련 통계자료에 따르면 북한인구는 2001년 7월 추정치인 2천 196만 8천 288명보다 25만 5천명 가량 증가 했으며 인구증가율은 전년도의 1.22%보다 다소 줄어든 1.1%로 나타났다
인구증가율 감소는 전년도 대비 출생률이 1천명당 1명 가량 줄고 사망률은 거의 같은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2002년 1월 현재 한해 평균 출생률은 1천명당 17.95명으로 전년도 191.1명에 비해 1.15명 줄었고 사망율은 1천명당 6.96명으로 지난해 6.92명에 비해 0.04명 늘어났다
북한정부의 인구 감소의 주(主) 원인은 정치적 탄압과 경제빈곤등으로 정치범과 경제범들의 탈북자들이다
ㄴ.평균수명(미국 CIA 자료)----71.3세
북한 주민의 평균수명은 2001년도 71.02세(남자 68.04세, 여자 74.15세)보다 0.28세 늘어난 71.3세(남자 68.31세, 여자 74.44세)로 집계됐다
성비는 0.95로 여성이 다소 많았다
(7)수도------평양
평양시의 면적은 2천 629.4km로 전체 북한 면적의 1.18%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구는 250만명에 이르고 있다(평양시 인구가 북한 전체인구 9분의 1이 거주하고 있다) 평양시의 행정구역은 현재 만경대구역(동 19개구역)과 강동군등 4개 군으로 구성돼 있다
평양시는 1990년대 이후에도 평성시의 일부지역을 흡수 , 은정구역을 신설하는 등 도시의 규모를 확대해왔다 북한 전체인구는 약 2천 200만명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평양시 및 평안남도, 북도에 전체인구의 40%이상이 거주하능 등 총인구의 61%정도가 도시지역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8)공용어----한국어
북한정부는 남한정부와 다르게 한문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북한정부의 말과 글이 남한과 상당하게 차이가 있으며 고유언어가 소멸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글은 중국원어의 언어 일부이다 고려 가요나 경기체가는 중국어이다
김일성 김정일정부가 너무 자주노선과 주체사상을 표방하여 중국과 공동체 문화성장과 연구보다는 투쟁을 고취하여 반중국적인 정서가 강하다<대표적 언어--김일성 언어학 연구등>
(9)문맹률-----5%
(10)종족구성----한국인
(11)종교---불교. 기독교. 천주교등이 허용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실제활동을 불허하고 있다 북한의 종교는 김일성주의 즉 일신교(日新敎)이다
(12)독립----1945년 8월 15일
(13)헌법---1948년 9월 7일 제정(인민민주주의 혁명헌법) 그리고 72년 12월 27일 우리식사회주의 헌법 개정(주체사상 헌법) ,1992년 4월 2차 개정(국방위원회 중심 좌익군정체제)
(14)정체---인민민주주의 공화제
(15)정부형태---인민회의제와 좌익군정체제
ㄱ.인민회의 정부제---인민의회 중심의 권력----국가수반---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북한의 국가수반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김영남 위원장이다
ㄴ.좌익군정체제---군 총사령관---국방위원회 위원장
북한은 군 통수권이 독립허용된 병정분리주의 군사국가로 군 통수권자는 국가수반이 아닌 국방위원장 권한이다 북한 인민군 총사령관은 김정일 국방위원회 위원장이다
(16)국가원수---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김영남
(17)수상(총리)---정부대표---박봉주
(18)실권자---군부 실권자이며 인민군 총사령관, 노동당 총비서-----김정일
(19)대의기구----단원제(정원 655명. 임기 4년)
(20)정당----노동당 일당 독재
(21)정부성향---공산주의 국가
1972년 우리식 사회주의 주체사상 헌법에서는 세금없는 나라를 표방함으로 공산주의 국가로 선포하였다 지금은 자유화 개방화 덕분으로 주택이나 승용차등의 개인 소유화로 인하여 공산주의 경제제도가 무너지고 있다
ㄱ.북한 민법 제59조
주택과 승용차에 대한 개인 소유를 인정하고 있다 개인주택을 포함해서 개인 재산은 매매를 통한 소유권이전등 자유로운 이용과 처분이 가능하다 또 그에 대한 성속권도 법적으로 보장된다 물론 개인의 소유주택이라 하더라도 건조물이지 토지나 대지는 모두 국가나 협동단체의 소유이다 어떤 토지도 개인의 소유와 매매는 허용되지 않는다
ㄴ.주택이나 개인저축 그리고 현금, 자전거, 승용차등도 개인소유를 인정하며 상속도 인정하고 있다
ㄷ.30평이나 40평 규모로 각 농가에 주어진 개인 텃밭도 개인 소유로 인정하고 있다
ㄹ.북한도 주택매매가 보편화 되고 있으며 건물 개인소유가 보편화 되어가고 있다
ㅁ.농촌과 도시 경제적 문화적 격차로 농민들의 항거가 많다
노동자 끼리 임금격차도 북한정부에게는 하층민 노동자들의 도전을 예고할 수 있는 자료이다 북한도 상층부와 하층민 사이의 보이지 않는 계급적 갈등이 심하다
(22)UN가입---1991년 9월 17일
1991년 9월 17일 이전에는 한반도의 유일합법정부는 대한민국이었으며 유엔이나 연합군은 북한 김일성정부를 반미테러 불법단체로 규정했다
(23)비동맹가입----1975년 8월 25일
북한은 유엔가입 이전에는 비동맹 가입 활동이 활발했다
그러므로 북한이 동남아와 중동지역 국가들과 유대를 강화해왔다
(24)GDP-----158억불(1999년), 1인당 GDP 714불(1999년)
(25)화폐단위와 환율
ㄱ.화폐단위----원(Won)
ㄴ.환율--------1유로화= 북한 원화 1000원(2004년 11월)
1유로화=북한 원화 1600원(2004년 9월)
(26)무역(1999년도 기준)
ㄱ.수출------51,496만불
ㄴ.수입------96,458만불
(27)국방비----만불(년)
(28)군사력(1999년도)
ㄱ.육군-----100만명
ㄴ.해군-----6만명
ㄷ.공군----11만명
북한도 육군과 공군 중심의 국가이며 해군력이 미약하다
(29)군사동맹 관계
ㄱ.북한 소련 우호협력상호원조조약---1961년도
소련붕괴이후 북한과 러시아정부간의 우호협력상호원조조약이 사실상 폐기단계이다
과거에는 소련군 극동사령부가 북한정부 해군과 공군등의 기지역할을 해왔다
ㄴ.북한 중국 우호협력상호원조조약----1961년도
중국 등소평정부 출범이후 한국전쟁 참전파이며 항미무장투쟁노선론자 임표등 4인방이 제거되고 미국, 일본. 중국등으로 형성된 3각안보조약 체결로 사실상 북한과 중국사이의 우호협력원조조약이 사실상 폐지 되어버렸다
ㄷ.북한 짐바브웨 10개년 친선원조조약---1961년도
북한이 유엔가입 이전에 비동맹 활동으로 반미성향 이슬람교 국가와 친선군사조약을 체결해왔다 북한은 시리아나 리비아등과 군사원조조약을 체결했다
ㄹ.북한 리비아친선협조동맹조약---1982년 11월
2.인민회의제와 노동당
(1)인민회의제란
회의제 정부란 의회가 가장 우월한 권력주체 정부형태이며 의회는 정부(내각)를 불신임 할 수 있지만 내각는 의회를 불신임(해산)할 수 없다 회의제 정부형태는 본래의미 의회 통제 프랑스 국민공해,의회가 행정부 부담 스위스 정부형태 집정부제 그리고 공산주의 프롤레타리아 독재국가 인민회의제등이 있다
인민회의제는 노동자 대표자에 의한 일당 독재를 인정하는 인민주권론자 입장이다
인민회의제은 민선의회(의회)에 권력이 집중 되고 있으며 집행부(내각)는 의회에 예속, 종속되어 있다 노동당(공산당) 일당 독재를 인정함으로 당 총비서가 국가수반으로 규정되어 있다 의회는 내각을 불신임하지만 내각은 의회를 불신임하지 못한다
인민회의제 대표적인 국가가 소련공산당과 중국 공산당 그리고 북한 초기 정부형태등이다
지금의 북한은 인민회의제라기 보다는 좌익군정체제라고 규정하는 것이 올바른다 국방위원회와 국방위원회 위원장 중심의 권력기구이다
(2)노동당
ㄱ.노동당 이전의 공산당 계보
(ㄱ)고려공산당(高麗共産黨)
1919년과 1920년 한국인이 조직한 2개의 공산주의 정당 이르쿠츠크파와 상하이파(上海派)가 있다 노령파(露領派) 또는 이르쿠츠파는 1919년 4월 연해주(沿海州) 이르쿠츠크에서 당시 러시아혁명군 제5군단장인 스메스키의 지도하에 대한민국 의회(大韓民國 議會)의 김철훈(金哲勳). 문창범(文昌範). 오하묵(吳夏默). 김하석(金河錫). 한명서(韓明瑞)등이 창당 하였다
처음에는 진로한인공산당(全露韓人共産黨)이라고 하였다가 1920년 전로공산당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코민테른으로부터 상하이파 고려공산당을 통합시키라는 지령을 받고 1821년 전로고려공산당으로 고쳤다
또 아동휘(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 부통령 역임)가 상하이에서 조직한 상하이파 고려공산당은 1918년 6월 이동휘가 하바로프스크에서 박(朴)마테비. 김일(金一)등과 함께 한인사회당(韓人社會黨)을 조직하였는데 1920년 이동휘가 상하이 임시정부의 국무총리로 취임하면서 이 한인사회당을 모체로 하여 고려공산당을 조직하고 여운형. 안병찬등을 가입시켰다
그러나 상하이파는 공산주의 사상에 입각한 정당이 아니고 독립운동을 위한 외교정책상의 조직으로 당시 레닌과 관계를 맺고 그(레닌)에게서 2차에 결쳐 200만 루블의 자금을 받았다
그러나 이동휘의 비서였던 김립(金立)이 정치자금을 유용하였다는 의혹사건이 일어나 고려공산당은 분열되고 이동휘는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총리직을 사임하였다
이 두 정당은 한국 공산주의 운동의 2대 원류(源流)를 이루었으며 상하이파는 공산주의를 민족주의적 노선에 종속시키려 하였고 노령파는 러시아에서 영주(永住)와 러시아에 대한 충성을 목적으로 한 볼세비키적 정당이었다
1923년 모스크바 국제공산당 고려부(高麗部)를 설치하여 국내공산당이 조직될때까지
이를 대신하다가 이듬해 2월 고려부는 본부를 블라디보스토크로 옮기고 위원(委員)으로 노령파의 한명서, 상하이파의 이동휘, 국내 대표 정재달(鄭在達)등이 임명되어 국내에 침투 활동하였다
(ㄴ)조선공산당(朝鮮共産黨)
1919년 3.1운동 이후 1921년까지 급진적이고 점진적인 민족운동이 전개되면서 사회주의 경향이 나타나고 1922년부터 1923년까지는 민족주의 운동에서 사회주의 운동이 분리되면서 분파가 발생한 시기였다 또 1924부터 1925년까지는 민족주의와 사회주의의 대립이 심화되면서 사회주의자들이 조직 정비를 시도하던 시기였다
이 시기에 일본 유학생들에 의해 국내에 사회주의 사상, 마르크스주의가 소개되었고 1922년 2월 동우회선언(同友會宣言)을 전후로 사회주의 경향의 단체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그 중 무산자동맹회, 북풍회(北風會), 화요회(火曜會), 조선노동당, 서울청년회 좌파등이 주요 좌익사상 단체였다
1923년 6월 블라디보스토크 소재 코르뷰로(高麗局)에서 밀명을 받고 잠입한 김재봉(金在鳳)과 김약수(金若水). 유진희(兪鎭熙)등이 포함된 17명의 화요회를 모체로 하여 서울에서 코브류로 국내부가 결성되었다 이들은 1924년 4월 조선노농총동맹과 조선청년총동맹을 결속하고 이를 기반으로 비밀결사 조선공산당. 고려공산청년회를 조직하였다 당 책임비서에는 김재봉이 임명되었고 고려공산청년회의 책임비서에는 박헌영이 임명되었다
화요회가 주동이 되어 조직하였다고 해서 일명 <화요파의 당>이라고도 한다 이때부터 국내 공산주의 운동은 코민테른의 지도하에 들어갔고 조선공산당을 1국 1당 원칙의 코민테른 한국지부로 승인하였다 그러다 1925년 11월 김재봉과 박헌영이 조직 확대를 목적으로 청년회원을 모스크바에 파견하는 훈련을 진행하다 일제에 의해 체포됨으로써 조직이 무너졌다 이것을 제1차 공산당 사건이라 한다
그러나 당시 체포되지 않고 숨어 있던 당 책임비서 김재봉이가 당원 강달영(姜達永)과 함께 1926년 6월 서울에서 제2차 조선공산당을 조직 하였다
당 책임비서에 강달영, 고려공산청년회의 책임비서에는 권오설이 선출되었다 이들의 정치목표는 민족진영과 연합하여 국민적 당을 만들어 공산당이 실권을 장악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6.10만세운동을 통해 3,1운동을 재현하려던 계획이 들통나 대부분의 당원이 체포되면서 해체되고 말았다
이것이 제2차 조선공산당 사건이다
이에 과거 화요회파와 대립관계에 있던 도쿄(東京)의 좌경유학생단체인 일월회(一月會)간부 안광천(安光泉). 하필원(河弼源)등이 제2차 조선공산당 사건때 체포되지 않았던 김철수(金鐵洙)와 손 잡고 북풍회 계통의 M.L파와 합세하여 제3차 조선공산당(속칭 ML파 공산당)을 조직 하였다
이들은 정우회선언(正友會宣言)을 통해 종래의 투쟁형태를 정치투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제안을 하고 당조직 운영방침, 단일민족혁명전선 조직방침 및 운영방침등에 관한 11개조 지령을 만들었다 그러다 1928년 2월 당내의 내분에다 조직이 탄로나서 36명이 종로서(鐘路署)에 검거되었다
한편 춘경원당(春景園黨:서울 춘경원에서 결성되었다 하여 붙인 명칭) 또는 비정통파 조선공산당 조직이 1927년 12월 결성되었는데 정통파 조선공산당에서 배제된 이영(李英)등이 중심이 되었다 그러나 1928년 4월과 6월 코민테른의 승인을 얻지 못하고 일본경찰에 체포되었다
1928년 3월 제3차 조선공산당 사건 때 검거되지 않은 당간부 안광천. 한위건등이 서울 시내에 숨어 있다가 제4차 조선공산당을 조직, 중앙의 각 부서의 지방 지부 및 고려공산청년회를 재건하였다 차금봉이 당 책임비서, 고광수가 고려공산청년회 책임비서로 선임 되었다
고려공산청년회는 학생과학연구회를 간판으로 내걸고 서울의 각 중학교 학생들을 규합하여 동맹휴학. 시위행진등을 감행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제4차 조선공산당도 그해 7월 당 간부들이 거의 체포됨으로써 해체되고 말았다 그 뒤 대부분의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이 실패하고 박헌영의 서울콤그룹만이 지하에 숨어 있다가 1945년 8.15광복을 맞아 8월 20일 박헌영을 중심으로 여운형. 허헌.김원봉. 한빈. 이주하등과 함께 조선공산당을 재건 하였다
당을 부활시킨 1946년 11월 23일 조선인민당 및 남조선신민당과 함께 남조선노동당으로 통합 결성되었다 미군정의 공산당 간부 체포령으로 박헌영은 월북하고 조선공산당은 남한지역의 남조선노동당과 김일성이 창립한 북한의 북조선노동당으로 양립하였으나 남조선노동당은 모두 숙청. 체포되었다
(ㄷ)해방전후 좌익계열
A.조선독립동맹(연안파)----->조선의용대--->신민당
a.모택동주의자 모임 단체---->모택동의 신민주주의 혁명노선
b.대표적인 인물--김두봉(부산출신). 김무정(충청도 출신).최창익과 허정숙 부부등
c.중국내전에서 모택동 부대 승리로 남침 주력부대 조선의용대를 파견하여 주도권을장악했지만 남로당 숙청이후 김일성 일가중심의 주체사상 창립으로 숙청되었다
d.김두봉(金斗奉)
김두봉은 부산 동래 출신이며 1908년 보성고보과 연희전문을 졸업한 후 교사로 근무하였다 주시경선생의 제자로 한글을 연구하여 광문회(光文會)에서 조선어사전 <말모이> 편찬사업에도 참여하는 등 한글학자로도 이름이 알려졌다 1919년 3.1운동에 참여한 후 상하이(上海)로 망명하여 본격적으로 독립운동을 시작하였다
1924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의정원 의원에 선출되었고 1935년 조선민족혁명당 중앙집행위원을 맡았다 이후 1942년 옌안(延安)에서 활동하면서 조선독립동맹에 가담 그해 7월 주석이 되었다
8.15광복 후 북한에서 조선신민당을 조직하여 그 위원장을 지냈으나 1946년 8월 소련군의 압력으로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과 합당하여 북조선 노동당이 창건되자 그 위원장이 되었다 한편 그해 2월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그러나 남북한 노동당이 합당하여 조선노동당으로 개편되자 최고인민위원회 위원장이라는 실권 없는 자리로 밀려났다 이때를 전후하여 김일성 체제에 불만을 품고 연안파 중진들과 함께 저항하였다
모택동계열 김두봉선생과 장개석 계보 김구선생이 남북협상을 주도하여 남북단일국가를 수립하려고 노력했지만 실패하고 소련군부와 만주 동북3성 대표지 임표등 항미무장투쟁노선 조선의용대 출신들에게 주도권을 넘겨주게 되었다
한국전쟁때 북한 인민군이 압록강까지 후퇴했을때 중국정부에 파견되어 외교활동과 중국인민군 참전등에 상당한 도움을 주었지만 그도 김일성 일인 독재체제 희생물이 될 수 밖에 없었다
1958년 조선노동당 대표자회의의 의결로 당에서 제명당하였고 그 후 평남 순안 농장의 노동자로 쫒겨나 중노동을 강요당하며 연명하다가 1961년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B.조선공산당(국내파)----->마르크스 레닌주의 정당--->박헌영등
해방전후에는 좌익단체로 주도권을 장악했지만 소련의 등을 엎고 등장한 김일성세력에게 제거되었다 대표적인 인물이 박헌영. 이현상. 이주하등이다
C.소련파----소련군부와 기술.행정.외교등의 소련공산당 한인출신
a.소련군부-->소련군 극동사령부 88여단(소련군 극동사령부 정찰국)-->소련군부
김일성. 김책. 최용건.오진우등
b.기술. 행정. 외교등의 소련공산당 한인출신----- 허가이등--->소련공산당
ㄴ.남로당(남조선노동당, 南朝鮮勞動黨)과 박헌영
(ㄱ)남로당(남노선노동당, 南朝鮮勞動黨)
1946년 11월 마스-레닌주의 공산주의 운동 단체 조선공산당과 신민주주의 혁명론 사회주의 계열 모택동주의 그룹 남조선신민당, 사회주의 운동단체 조선 인민당이 합동하여 창당한 단체가 남조선노동당(남로당)이다
일제 강점기 1925년 조선공산당을 결셩한 공산주의자들은 광복이 되자 1945년 9월 20일 조선공산당을 재건 하였고 북한에는 같은 해 10월 북조선분국을 두었다
당시 남한에는 여러 좌익정당들이 있었는데 남한에서는 기습적인 조선인민공화국을 수립 선포했다 조선인민공화국 대통령은 이승만박사, 부통령은 여운형선생, 수상은 박헌영으로 추대하여 좌우익연합전선을 표방했지만 미국과 소련군정은 조선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 임시정부등을 불법화 하였다 박헌영과 그들의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정당성을 부정하기 위하여 건국준비 조직으로 조선인민공화국을 선포했으며 미국정부가 이 작전에 말려들었다는 분석도 제기 되고 있다 김구선생이나 여러 임정요원들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을 이승만박사로 인정하는 분위기었고 이런 상황을 알고 박헌영등이 미리 선수로 조선인민공화국 건국과 대통령을 이승만박사로 선포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소련군정 당국은 미리 소련군부를 엎고 등장한 김일성을 내세워고 박헌영 계열의 조선인민공화국을 불법화 하였다
조선공산당은 그 이후 신탁통치 지지표명 더구나 정판사사건(精版社事件) 이후 공산당의 활동은 거의 정지 상태에 있었으므로 남한에서의 세력을 재정비하기 위하여 남조선노동당을 조직하게 되었다
그러나 좌익계이면서도 공산주의자가 아닌 여운형선생 주도로 일부 지식층이 1947년 5월 근로인민당을 조직하자 좌익계 단체들은 남조선노동당과 근로인민당으로 양분되었다 근로인민당 당수 여운형선생은 좌익계열 모함과 암투로 저격되었다
남조선노동당은 합법적으로 남한의 공산화공작을 계속하였고 1946년 2월 민주주의 민족전선(대남공작부,통일혁명당과 한민전 모델)을 결성하여 좌우익대립과 폭동등으로 민족분열을 꾀하였다 1946년 8월 29일 북한에 북조선노동당이 결성되었으며 1950년4월 남북의 노동당이 조선노동당으로 통합됨으로써 남조선노동당은 김일성 지배하에 들어갔다
북한으로 간 남조선노동당 계열은 그 지도자와 함께 1955년 말까지 온갖 명목으로 숙청 또는 처형되었다<대표적인 사건---박헌영등 미국의 스파이로 처형>
(ㄴ)박헌영
박헌영 선생의 본관은 경북 영해(寧海), 충청남도 예산(禮山) 출생이다 1919년 경성고보(現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그후 상하이(上海)로 건너가서 1921년 이르츠크파(이동휘 계열,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부통령--이동휘선생) 고려공산당 상하이 지부에 입당, 그해 고려공산청년동맹 책임비서가 되었다
1922년 1월 김단야. 임원근과 함께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코민테른의 극동인민대표대회에 참가하였고, 4월 국내공산당 조직을 위하여 귀국하다가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 받고 복역하였다 1924년 출옥 후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에서 기자로 활동하였으며 그후 1925년 4월 18일 서울에서 비밀리에 조직된 조선공산당 창립에 참가 하였다 이때 고려공산청년회를 결성하여 그 책임비서가 되었다
1946년 12월 남조선신민당, 조선인민당을 조선공산당에 흡수 남조선노동당을 조직하였으며 남조선노동당 위원장은 허헌, 부위원장은 박헌영이 되었다
그리고 신탁통치 지지등 공산주의 활동을 지휘하다가 1946년 9월 미군정의 지명수배를 받자 북한으로 도피하였다 1948년 9월 남조선노동당 당수의 자격을 지닌 채 북한의 내각 부총리 겸 외무장관이 되었다
그러나 1950년 4월 남북노동당이 합쳐 조선노동당으로 발족하자 부위원장이 되어 위원장인 김일성의 밑으로 지위가 전락하였다
그후 군사위원회 위원,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등의 직위에 있었으나 1953년 김일성에 의한 남로당계 숙청작업으로 1953년 8월 3일 체포되었다 그 후 평안북도 철산에 감금되어 고문을 받다가 1955년 12월 5일 반당. 종파분자. 간첩방조. 정부 전복음모등 7가지 죄목으로 사형을 선고받고 처형되었다.
-박헌영 보증인 허가이 소련정부 도움 요청등과 함께 이승엽등 강동정치학원 중심으로 무장혁명을 시도했다는 죄명
-박헌영이가 남한 민주당 신익희 조병옥선생에게 밀사를 파견하여 도움 요청 죄명
-박헌영이가 남로당 당원을 팔아먹고 미국과 연합으로 한국전쟁을 획책하여 북한을 공격했다는 죄명
-스탈린 사후 평화공존 세력 흐루시초프등의 세력을 엎고 스탈린 계열 김일성 제거하려고 했다는 죄명
ㄷ.북로당(북조선노동당, 北朝鮮勞動黨)
북로당은 1945년 10월 평양에서 열린 <조선공산당 서북5도 당책임자 밀 열성자 대회>에서 채택한 <정치노선과 조직강화에 관한 결정서>에 의거, 창설된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을 모체로 하고 있다
같은 해 8월 29일 중국 옌안(延安)에서 평양으로 돌아온 조선독립동맹을 중심으로 지식층, 소시민층을 망라하고 있던 조선신민당과 합당 북조선노동당으로 발족하였다 합당선언에서 북조선 노동대중의 이익을 옹호하는 대중적 정당을 세울 필요에 의해서 결성되었다고 밝혔다
강령으로 민주주의적 조선자주독립국가 건설, 일본인. 민족반역자. 지주의 토지몰수와 토지없는 농민에게 무상분배, 일본인 및 민족반역자 소유의 공장. 광산. 철도. 운수.통신기관등의 국유화, 8시간 노동제 실시, 여자들에게 남자와 동등한 임금지급등을 내걸었다 북조선노동당 위원장에 김두봉(부산출신이며 독립동맹주석 출신), 부위원장에 김일성(소련군 극동사령부 정찰국 대대장 출신). 허가이(모스크바대학출신이며 소련공산당 간부 출신)가 선출되었다
북로당은 1948년 8월 정권수립을 위해 남조선노동당과 <연합위원회>를 구성하였고 정권수립(1948년 9월 9일)이후인 1949년 6월 30일과 7월 1일 평양에서 비공개로 열린 남북노동당 중앙위원회에서 1국1당 원칙에 따라 현재의 조선노동당으로 통합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모스크바 거주 레베데프씨가 제공한 사진 내용물 중 소련군정과 북로당 간부들...
<지도자 김은 스티코프가 주도한 소련군 극동사령부 작품이었다 1946년 8월 30일 소련군정 지도부가 스탈린의 지시에 따라 북조선 공산당과 신민당을 합당 북조선노동당을 결성한 후 당 고위간부들과 기념 촬영을 했다 앞 줄 오른쪽에는 허가이. 김일성. 소련군정 정치사령관 레베데프 소장. 김두봉. 소련군정 정치국장 이그나치프 대좌. 김책..뒷 줄 오른쪽에는 주영하. 박일우. 최창익등>
(ㄱ)소련군정 정치사령관 레베데프 소장과 소련군정 정치국장 이그나치프 대좌
-소련군 연해주관구 제25군단 사령부 정치위원과 소련군정 정치사령관 니콜라이 레베데프(Nikolai G Lebedebv)
A.1945년 8월 북한을 점령하고 공산정권 창출의 주역을 맡았다
소련군 25만명이 북한지역에 배치했다
B.소련군정은 극동사령부 예하 제1전선 군사령부 T.F 스티코프 상장 지시를 받았다
-평양주둔 소련군 사령관 스티코프 대장
-미소공동위원회 소련측 대표
-초대 북한주재 소련대사
C.소련군 극동사령부는 대일선전포고전에 한반도 침투조와 선발대를 투입했고 1945년 8월 9일부터 북한지역에 파견된 첩보대 조선인 박창우등과 조선인 소련군 극동정찰국 대원이었다
북한 김일성이가 소련군 극동사령부 정찰국 대대장 출신이며 북한잠입 활동때는가명 김영환으로 사용했다
D.중국내전과 한국전쟁때 소련군 극동사령부가 배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다
소련군 극동사령부는 만주국을 점령한 후 임표에게 일본군 무기를 인계했으며 임표을 동북 3성 총사령관으로 임명했으며 북한지역을 점령한 후 김일성에게 총사령관을 임명했으며 한국전쟁때는 임표등의 조선의용대 지원으로 남침을 추진했다
E.소련군 극동사령부 정찰국 요원(사진 인물)---김일성(김영환). 김책등
(ㄴ)연안파---모택동부대(사진인물,김두봉. 최창익)
A.정치조직 독립동맹(주석 김두봉. 부주석 최창익)과 군사조직 조선의용대(총사령관 무정)
B.주석 김두봉(부산 동래 출신). 부주석 최창익(허정숙의 남편)
C.김무정(무정)----함북경성출신이며 중앙고보 중퇴 그리고 북방군관학교 포병과 졸업, 한국전쟁때 팽덕회등 중국 인민군사령관과 친교, 제2군단장으로 낙동강까지 진격 그리고 후퇴 중에는 평양방위사령관으로 재직 중 패전으로 해임. 51년 47세로 죽음..
D.한국전쟁 주도는 해군이나 공군등을 소련군 극동사령부가 주도했으며 탱크나 포병등은 중국의용대 출신 조선의용대 출신이 주도했다
소련군 극동사령부는 민주국을 점령한 후 중국인민군에게 일본관동군 무기를 인계하여 중국내전에서 승리할 수 있게 했으며 중국내전에서 모택동부대가 승리하자 동북3성 총사령관 임표등을 한국전쟁 참전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한국전쟁을 추진했다 남침주력부대는 조선의용대었다
(ㄷ)소련파----소련군 대일참전 정찰국 출신(사진인물, 김일성. 김책)과 소련공산당 출신(사진 인물, 허가이)
A.소련지역에서 소련공산당이나 소련정부에 참여한 인사들
B.분류
소련군 정찰국이나 대일참전부대---김일성. 김책등 소련군 극동사령부 정찰국 요원
기술자---공군이나 해군등 기술진이나 북한정부 행정요원으로 귀순
당과 행정. 외교관료---허가이등
허가이는 소련정치담당 고문으로 노동당 조직부장으로 남로당과 북로당 합당을 총지휘했으며 허가이는 남로당 박헌영 보증인으로 한국전쟁이후 남로당 패전 책임과 박헌영등과 무장봉기 시도를 하다가 미국의 간첩으로 박헌영등과 함께 처형되었다
(ㄹ)조선공산당-----북조선공산당 출신(사진인물,주영하)
주영하등은 김용범이나 현준혁등과 다르게 김일성을 지원했다
ㄹ.조선노동당(朝鮮勞動黨)
조선노동당 http://www.dprkorea.com/20031010/index.php
조선노동당은 1949년에 창당 되었으며 사회주의 국가인 북한에서 정치 및 모든 생활을 규제하는 최고의 지위에 있는 권력의 중추이다
당면 목적으로 공화국 북반부에서의 사회주의의 완전한 승리를 보장하며 전국적 범위에서 민족해방 인민민주주의 혁명(NLPDR)의 과업수행을 규정하고 최종목적으로 공산주의 사회 건설을 내걸고 있다
조선노동당의 전신은 1945년 10월 10일 평양에서 개최된 <조선공산당 서북 5도 당 책임자 및 열성자대회>에서 결성된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이다 이 조직이 1946년 4월 북조선공산당으로 명칭을 바꾸었고 같은 해 8월 조선신민당과 합당하여 북조선노동당이 되었다
남북한 단독정부 수립 후인 1949년 6월 남한에 있던 남조선노동당과 통합 조선노동당으로 개칭되었다 당의 최고지도기관은 당대회이고, 당대회가 없을 때는 당대회가 선출한 당 중앙위원회가 최고지도기관이 된다 당 중앙위원회 산하 부서로서 정치국. 비서국. 군사위원회등이 있다..
(3)주체사상---수령론과 김일성 일가의 세습왕조
주체사상이란 김일성주의 또는 일신교(日新敎, 태양절)를 뜻한다
주체사상이 북한사회에 뿌리 내리기 시작한 시기는 1970년대 우리식 사회주의 헌법 제정이후 부터이며 김일성 일인(一人) 모든 국가 권력을 장악한 절대신격화 된 시기었다 북한의 역사책은 있는그대로 사회주의 역사관 서술한 근대이전이며 1919년 3.1운동부터 현대사는 모든 역사가 김일성 일가 우상화와 신격화이다 김일성일가는 반일(反日). 반미(反美) 민족해방운동가이며 민족의 태양 집안으로 우상화하여 서술하고 있다<북한 현대사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나 조선공산당 투쟁 역사도 없다>
북한의 모든 정책과 활동의 기초가 되는 조선노동당의 유일지도 사상으로 되어 있는데 북한에서의 주체사상은 주체확립이라는 정치적 목적으로부터 비롯되고 있으므로 철학사상은 아니다
따라서 오늘날 북한의 주체사상의 중심명제가 <사람이 모든 주인이며 모든 것을 결정한다>는 것을 내세워 <인간 중심의 새로운 철학사상>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그것은 주체확립의 의지와 실천성을 강조하는 하나의 지배적 통치이념으로 규정될 수 밖에 없다 주체사상에서 말하는 인간의 중심 이론은 넥오마르크스(Neo-MarX) 또는 청년 마르크스 사상에 불과하다
북한의 주체사상은 1926년 10월 김일성이 결성하였다고 주장하는 타도제국주의동맹에서 주창되기 시작하여 1930년 6월 열렸다는 카룬회의에서는 주체사상을 지도사상으로 하는 주체형(主體型)의 당조직을 조직했다는 밝히고 있다 말하자면 김일성이 14세 때 주장하기 시작하여 18세에 이르서는 그 원리를 공식적으로 천명하게 되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 같은 주장은 1982년에 이르러 김정일이 김일성의 위광을 높이려는 의도적인 조작에서 나온 주장이며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실제 주체사상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노선 중 자주노선입장에서 서술한 백범 김구 선생의 머슴론과 삼민주의 쑨원들의 유교적 인간형등에서 등장한 사상이다
김일성은 그의 우상화과 세습왕조 국가를 만들기 위하여 등장한 이론이 공산주의도 아닌 동양적 사상 유교를 우리식 사회주의로 위장하여 국가를 통치하는 이론이다
주체사상에서의 주체란 처음부터 정치적 성격을 띤다
김일성은 주체에 대하여 <모든 것을 북한의 실정에 맞게 해나가며 마르크스 레닌주의 일반원리와 다른 나라의 경험을 북한의 실정에 맞게 창조적으로 적용해 나간다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렇게 보면 주체사상의 핵심적 내용은 곧 북한의 사회주의 혁명과 건설에서의 주체확립을 뜻하게 된다
주체확립에 대하여 북한은 1970년 노동당 제5차 대회에서 규정을 했는데 여기서 주체확립의 중심개념은 주인다운 태도인 자주적 입장의 견지와 창조적 활동으로서 이것은 곧 자기갱생을 해야한다는 실정을 반영하는 것과 다름없다 결국 주체사상은 초기에는 북한의 실정에 알맞은 혁명과 건설의 추진을 강조하는 소박하고 통속적인 사고에 불과한 셈이었다
그런데도 주체사상은 1970년 이후 북한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마르크스. 레닌주의와 동격으로 격상되면서 철학적 성격이 분식(粉飾)되었고 오늘날에는 이 두 사상을 더욱 풍부하게 발전시켰으며 현시대의 혁명과 건설과정에서 제기되는 모든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해답을 주었다고 선전하고 있다
1978년 4월 9일 북한의 대표적인 해외친북단체인 <주체사상국제연구소>를 창설하여 주체사상의 국제적 보급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주체사상이 북한 주민의 사상을 무장시키고 정치적 총합에 효과적인 통치 이데올로기로 기능하여 왔음을 틀림없다 또 대외적으로 비동맹권 국가에게는 공산주의 세계혁명론으로 부각되고 서방권 국가에는 민족공산주의(民族共産主義)로 오인되는 등의 효과를 낳고 있다
이러한 주체사상은 폐쇄를 전제로 하는 상황에서는 통치 이데올로기로 기능할 수 있겠으나 1980년대 말 일기 시작한 동유럽 공산권의 민주화 개방화 자유화와 소련연방공화국의 해체, 중국의 개혁정책 앞에서는 더 이상 위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되었다
세계 각국 통일혁명당(한국민족민주전선) 대표부가 주체사상연구소나 주체사상연구회 형태로 북한 김일성 김정일체제 정보기구 지위와 역할로 운영되고 있다 자본주의민주주의 혁명노선 등장과 자유주의 사회주의 바람으로 김일성주의 주체사상은 무너지고 있다
자본주의 반대 공산주의! 민주주의 반대 독재주의!
자본주의민주주의 혁명 후 사회주의와 자유주의 공존으로
ㄱ.김형직과 강반석.강양욱
(ㄱ)김형직(金亨稷)과 강반석
김형직(金亨稷,1894-1926)은 김일성의 아버지이며 김정일의 할아버지이다
김형직의 먼 조상은 전라도에서 살았다
김형직은 전주(全州 또는 完山) 김씨로 1894년 평안남도 대동에서 태어나 평양숭실학교를 마쳤고 1917년 3월 강동군에서 항일 독립운동 단체인 조선국민회를 결성했다 조선국민회 활동 중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른 뒤 만주로 망명했다
북한의 문헌에 의하면 비합법적인 단체 조선국민회와 함께 학교계, 비석계, 향토계등의 계를 결성하였고 중강. 무송등지에서 광제의원. 무림의원. 순천의원등을 설립, 의료사업과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하여 항일운동을 하였다고 한다
북한 정권 수립이후 아내인 강반석과 함께 <민족해방운동의 탁월한 지도자>로 추앙받아 김형직사범대학, 김형직인민병원등이 설립되었다 북한에서는 국가적인 위대한 인물로 알려져 있으나 관련된 자료가 모두 북한 것으로 한정되어 사실을 확인하기는 어렵다
강반석은 김형직보다 두살 위로 1892년 4월 21일 기독교 목사이며 교육자 강돈욱의 둘째 딸로 태어나 기독교계 평양숭실학교를 나온 김형직과 결혼하여 김형직 나이 18세 강반석의 나이 20세때 김성주(김일성)의 첫 아이를 낳았고 그 후 둘째 아이 김철주(김철주는 낳았는데 오래 살지 못하고 죽었다). 막내 김영주등 삼형제를 낳았다(김일성은 북한 주석을 지냈고 김영주는 북한 부주석을 역임했다)
김형직은 김일성의 나이 14세때 1926년 32세 나이로 갑자기 사망했으며 강반석은 김형직을 따라 만주로 이주하여 한약상을 하는 남편의 뒷바라지를 하다가 1932년 7월 31일 40세로 병사(病死)했다
김형직과 강반석 집안 모두 독실한 기독교 신자집안이었다 평안도는 조선후기에 처음으로 기독교를 받아들인 곳이고 그 지방의 기독교도들은 그 시대의 상황에 비추어 볼때 모두 지식인에 속하는 사람들이었다
강반석의 집안은 김형직의 집안보다 더 독실한 기독교인들로 김일성의 강반석의 부친 강돈욱은 만경대 일대에서 신임을 받던 교육자이자 장로교 교회의 장로로서 열심히 성경을 가르쳤다 1992년 김일성은 회고하기를 어머니가 자신을 교회의 장로로서 열심히 성경을 가르쳤다고 했다
-독립기념관측에 따르면 소장된 "현대사 자료(강덕상 편저, 1967) 조선편 1권에 따르면 김형직은 항일조직인 조선국민회에서 활동하다 1918년 2월 18일 평안남도 일경에 의해 검거돼 형사소추를 받았다 <평안남도 경무부장 보고요지>는 김형직이 서당교사이며 평안남도 강동군 정읍면 동3리에 거주하고 있다고 기록했다 보고요지에는 또 회장 장일환(1886-1918)을 포함해 백세민. 배민수등 조국민회 회원 25명이 본적. 주소. 나이. 역할등이 상세히 나와 있다
(ㄴ)강양욱(康良煜)
강양욱은 평남 대동에서 태어났다 김일성의 외척이다
1923년 평양신학교를 나온 뒤 일본 주오대학을 졸업하였다 일본 강정기기 때 조만식선생과 함께 평양에서 장로교 목사로 활동하였다 그리고 일제말 최남선 이광수등과 함께 친일부역자로 활동했다
1945년 11월 북조선민주당 중앙위원회 상무위원, 1946년 북조선민주당 평남 도 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
1948년 이후 최고인민회의 제 1기--5기 대의원을 지냈다 1972년 국가부주석 겸 최고인민회의 중앙위원회위원을 지냈다
ㄴ.김일성(金成柱,金聖柱)
(ㄱ)가짜 김일성
김일성(金日成)의 본명은 김성주(金成柱)이며 1912년 4월 15일 평안남도 대동군 고평면(古平面) 남리(南里) 오늘날의 만경대의 농가에서 출생 했으며 아버지 김형직과 어머니 강반석 사이에 장남이며 그의 동생 김철주(金哲柱), 김영주(金英柱)를 두었다
김일성은 어려서는 일곱살 나이 1919년에 부모를 따라 만주 지린성(吉林省) 푸쑹(撫松)등의 만주로 이사하여 그의 부친 김형직의 한인동포를 상대로 의사노릇을 했으며 김일성은 만주에서 <정의부>라는 독립운동단체가 운영하는 화성의숙에서 수학했다 화성의숙의 숙장(교장)은 천도교 신자이면서 민족주의자인 최동오선생이었다 최동오는 뒷날 상해임시정부의 간부가 되었는데 그의 아들이 대한민국에서 육군소장과 외무부 장관 및 서독대사를 역임하고 나중에는 월북한 최덕신이다
1926년 김일성 나이 14세때 그의 부친 김형직 갑자기 사망했고 1926년 지린 육문중학에 입학하였으나 1929년 중퇴 하였다
김일성은 보통학교를 마치고 중국인 사립학교인 길림성(吉林省) 길림의 육문중학교(위원중학교)를 다닐 수 있었다 김일성이 이 학교에서 막스 레닌주의(마르크시즘과 레닌니즘)에 접했으며 공산주의를 이해하게 되었다
그래서 곧 공산주의 활동에 참여하여 중학교 2학년 때 퇴학을 당했고 길림에 있는 감옥에 얼마 안되는 기간이지만 투옥되기도 했다
이런 배경을 놓고 볼때 김일성은 어린 시절을 만주에서 지냈기 때문에 중국의 생활 풍습과 중국어에 상당히 익숙해졌다는 점이다 김일성은 중국 공산당의 한 산하조직에서 공산주의자로서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던 것이다
김일성의 생애에서 중요한 전기는 그가 스무 살이던 1932년에 일어났다
그 해는 그의 어머니가 죽고 일본 제국주의가 괴뢰국 <만주국>을 세운 해였다
그 해에 김일성은 남만주에서 조선인들에 의해 조직된 작은 규모의 항일 유격대에 가담하였다 이 유격대는 같은 해에 중국인 양징위(양청우,楊晴宇)가 지휘하는 <동북항일연합>의 산하로 통합했다 이 부대는 몇 해 안에 규모도 커지고 활동영역도 넓어지게 되었다(만주 항일 전설적인 영웅 김일성 장군은 북한 김성주가 아닌 일본 육사출신 김광서=김경천 장군으로 김성주가 김경천장군 항일 운동을 도용했다는 말이 사실인 것 같다)
동북인민혁명군이 1936년 초에 동북항일연합군(東北抗日聯軍)이 조직되고 여름부터 팔로군제도가 실시됨으로서 동북항일연합군 제1로군 제6사 (東北抗日聯軍 第1路軍 第6師)로 된 제6사장(第6師長) 김일성을 두고 하는 말이다 이 김일성의 대표적인 업적이 1937년 6월 4일 보천보습격사건이다
동북항일연합군 제1팔로군 제6사장 김일성부대가 자행한 보천보 습격은 철저히 물자조달을 위한 약탈사건이었다는 것이다
1938년부터 1940년까지 김일성은 몇몇 전투에 참가하여 승리를 거두었다
일제는 동북항일연합군의 뿌리를 뽑아버릴려고 갖은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 물론 회유작전도 병행했다 일제에 투항하면 돈을 주기도 하고 처벌을 면제해 주겠다고 약속했다 이런 관동군의 2중작전은 효력을 발휘하여 투항자가 속속 출현했다
1940년 2월 동북항일연군 제 1로군(東北抗日聯軍 第1路軍) 사령관 양징위도 마침내 관동군에 쫓기다 살해 되었다 관동군은 그의 배를 갈라 보았다 그의 뱃 속에는 나무 껍질이나 풀 따위가 남아 있을 뿐 곡물이라고는 전혀 없었다
극악무도한 관동군이하도 양징위에 대하여 경의를 나타내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불교의 스님을 모셔다가 극락왕생을 비는 염불도 올리게 하고 묘를 만들어 주었으며 좋은 비석도 세워 주었다고 한다
이것은 만주에서의 동북항인연군의 유격대원들이 얼마나 험난한 거시밭길을 걸었나를 극명하게 증명한 사건이었다 일본군에 끊임없이 쫓겨기면서 전투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 정상적인 보급은 거의 불가능했다
그러므로 동북항일연군(東北抗日聯軍)도 살아남기 위해서 일종에 마적이나 공비적(共匪的) 성격을 띄고 있었다고 보아야 한다
김일성도 쫓겨다녔다
그는 여섯명의 대원을 이끌고 두만강변을 따라 1941년 3월에 극동 러시아로 탈출했다
김일성은 곧 블라디보스그톡(연해주) 근처의 <오스케얀스카야 야전학교>에 배치되어 군사훈련을 받았다 최용건, 김책, 안길, 김광협, 서철, 최춘국등도 이 지역 배치되어 군사훈련을 받았다 일본과의 전쟁의 개연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판단한 소련 극동군은 하바로프스키 근처의 비밀 기지인 브야츠크에 <88특별여단>을 창설했다 이 부대는 동북항일연군( 東北抗日聯軍)에서 활동 중인 유격대원들과 조선인 유격대원들로 구성됐는데 총인원은 조선인 60여명과 중국인 160여명에 소련인 40여명이 포함되어 있었다 산하 4개 대대 가운데 김일성이 대위로서 제1대대장을 맡았으며 강건이 제4대대장을, 김책이 제3대대 정치위원을 맡았다
김일성은 이 무렵 자신의 유격대원이었고 함북 회령 출신으로 자신과 함께 극동 러시아로 탈출해 온 김일성보다 여섯 살 연하 김정숙(金貞淑)과 결혼했다
김정숙은 1942년 2월 16일에 브야츠크 야영에서 쌍둥이 유라와 슈라를 낳았다
극동 러시아의 빨치산 생활 가운데 중요한 전기는 1945년 7월에 이루어졌다
<88특별여단>에 속한 조선인 전사들이 중국인 전사들과 소련의 전사들로부터 분리된 <조선공작단>을 결성했는데 김일성이 단장으로 뽑힌 것이다 그들은 일본군과의 전투를 계획하던 가운데 한달 뒤인 8월 15일 일제의 패망 소식을 듣게 되었다
8.15광복과 더불어 소련군을 따라 평양으로 들어와 김영환이라는 가명으로 정치공작을 폈는데 그해 10월 14일 소련군 사령관 로마넨코가 평양시민들 앞에서 <김일성장군>이라고 그를 둔갑시켜 소개한 뒤부터 김일성으로 행세하였다 처음에는 자신을 제6사단장 및 제2방면 군장이던 김일성이라 주장하였다
그러나 1949년부터는 동북항일연합군과의 관계를 내세우지 않고 만주사변 후부터 독자적인 항일유격대를 조직하여 일제와 싸운 것처럼 날조된 정치적 선전을 하였다
그는 소련군의 힘으로 조선공산당 북조선조직위원회 책임비서, 북조선노동당 부위원장, 내각수상, 인민군 최고사령관을 맡고 원수 칭호까지 썼다
중앙인민위원회 겸 국방위원회 위원장등 최고위직을 역임하였다 남조선노동당등의 국내파와 소련파 중 반대파인 옌안파(延安派)등을 숙청하여 권력체제를 구축하였다 1994년 7월 8일 심근경색증으로 사망하였다
소련군
-자료 만주지역과 극동지역 좌익진영 항일운동 조직 단체
소련군 스탈린부대->중국 모택동 팔로군->조선인 부대(조선독립동맹과 조선의용대)->88특별여단(레인과 스탈린 지시에 따라 중국공산당과 조선 공산당 통제를 받았다)
-가짜설 논쟁 자료
조선인민공화국 서열 중앙위원회 위원급. 1992년 소련군부 쿠데타 지지등
(ㄴ)진짜 김일성---일본육사 23기 기병과 출신 김광서(金光瑞)
북한 김일성전주석이 일본육사 23기 기병과 출신 김광서인가에 따라서 보천보전투와 국내진공작전등을 주도한 사람을 판단할 수 있는 자료라고 조선군사령부 일본역사책에서 주장하고 있다
이육사의 광야 시에서 백마 타고 온 장군을 항일운동가이며 일본육사 23기생 김광서 탈출병 김일성장군으로 애송(愛頌)하고 있다
ㄷ.김정숙
김정숙은 함북회령 출신으로 김일성보다 7년 연하의 여성으로 김일성과 유사한 배경을 가진 빨치산이었다
그녀는 어렸을 때 부친을 찾으러 어머니와 함께 만주로 들어갔다가 모친 사망 후 고아가 되었으며 1935년 16세 때 빨치산부대에 입대하여 밥짓는 일을 맡았다 동북항일연합군의 무력투쟁이 내리막길을 걸던 1940년 말경 김일성과 김정숙은 결혼했고 다음해 3월쯤 김일성을 따라 소련으로 도피,88여단에 가입했다
1942년 2월 16일 하바로프스크 바트코스예 마을에서 쌍둥이 아들 유라와 딸 슈라를 낳았다 슈라는 3-4세때 하바로프스크 바트코스예 마을 우물에 빠져 죽었다
아직도 슈라의 무덤이 있다
김일성과 김정숙은 해방 후 평양에서 장녀 김경희를 낳았다
그녀는 북한 남아 있는 김정일의 유일한 누이동생이며 장성택이라는 당간부와 결혼하여 김정일을 보좌하고 있다
김정숙은 1949년 9월 22일 너 번째 아이를 출산하다가 모자가 함께 사망했다.
ㄹ.김정일
(ㄱ)김정일의 출생설--쌍둥이로 태어난 김정일(유라)와 동생 슈라
<김정일위원장은 1942년 2월 16일 하바로프스크 바트스코예마믈에서 쌍둥이로 태어났으며 그의 동생은 3-4세때 쯤 우물에 빠져 죽었다 김정일위원장의 러시아 이름은 유라이며 그의 동생 이름은 슈라로 불렸다 슈라의 무덤이 아직도 이곳 하바로프스크 바트스코예 마을에 있으며 지난 53년까지 북한 사람들이 이곳을 잘 관리해 왔지만 최근에 방치돼 있어 안타깝다---하바로프스크 인근 바트스코예 마을에 살고 있는 아우구스타 세르게예브나 할머니의 증언>
북한정부가 내세우고 있는 김정일의 백두산 밀영 출생설이 거짓말로 드러나는 자료이며 그의 동생 슈라가 평양 집 우물에 죽었다는 것도 거짓말로 드러나는 자료이다
김정일의 아버지 김일성이가 1942년부터 1948년까지 소련 88여단에 소속된 3개 대대 중 1개 대대를 지휘했다는 것은 하바로프스 바트스코예 마을사람들의 증언으로 나타나고 있다
하바로프스 바트스코예마을은 하바로프스크에서 약 70km 떨어진 곳으로 한때 160가구가 살았다지만 지금은 약 40가구만이 살고 있는 초라한 마을이었다
(ㄴ)김정일은 김일성의 전처인 김정숙의 소생으로 김일성종합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당중앙위원회 조직지도부 지도원으로 있었다 이어서 당중앙위원회 조직지도부 부부장을 거쳐 중앙당 문화예술부장, 중앙당 조직 및 선전비서. 정치위원회 후보 위원으로 있다가 1990년 인민군 총사령관으로 추대 1994년 7월 김일성이 죽자 김일성의 후계자로 등장하면서 세습체제의 물의를 빚고 있다.
-1942년 2월 16일 소련 하바로프스크 출생
-1949년 9월 평양 남산인민학교 입학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 발발로 만주로 피납 그리고 길림학원 공부함
-1953년 11월 만경대 혁명가 유자녀 학원(만경대 학명학원 전신) 3학년 편입
-1953년 8월 평양근교 삼석인민학교 전학 그리고 평양 제4인민학교 5학년 전학
-11960년 평양 제1초급중학교를 거쳐 남산고등학교 졸업
-1959년 1월 소련 공산당 제21차 대회 참석(김일성과 함께 모스크바 방문)
-1964년 3월 김일성종합대학교 경제학부 정치경제학과 졸업
김정일의 대표적 논문 ---군(郡)의 지위와 역할( 정치 경제학과 졸업논문)
-1982년 3월 논문--주체사상에 대하여
-현주소:평양시 중구 남산동 중앙당사
-신장:165cm
-체중:85kg
-혈액형:A형
-성격:결단력과 추진력 있으나 감정변화 심함(혁명가나 지도자보다는 김일성 후광으로 이미지형 인물 평가됨. 김영남 북한정부 국가수반은 김일성처럼 입지전형적 인물이라면 김정일은 최고지도자로 상징적 인물로 평가)
-취미, 건강관리
승마, 수영(전담연구소 운영), 영화감상, 사격등
(4)조선인민공화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ㄱ.조선인민공화국-----박헌영 조선공산당과 여운형 건국준비위원회 중심으로 수립한 국가
(ㄱ)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여운형. 수상 박헌영. 내무부장관 김구. 외무부장관 김규식. 군사부장관 김원봉등으로 추대<김일성은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추대 항일경력의 미약함>
(ㄴ)좌우익연합정부 수립
(ㄷ)국호문제에서 조선이냐 대한이냐 논쟁
박헌영과 여운형등은 조선총독부 입장을 반영하여 조선으로 국호 선택
ㄴ.조선민주인민공화국----소련군정과 노동당 주도로 수립한 국가
(ㄱ)수상은 김일성. 부수상은 허가이와 박헌영등으로 추대
(ㄴ)친소정부 수립(소련위성국가 표방)
3.좌익군정체제---국방위원회
북한은 군 통수권이 독립 허용되는 병정분리주의국가이며 군통수권자는 국가수반이 아닌 국방위원회 위원장이다 그러므로 실권자는 국가수반이나 총리가 아닌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보는 분도 많다
(1)국방위원회란
북한의 헌법상 국방정책을 전반적으로 관장하는 국가주권의 최고군사지도기관이며 전반적인 국방관리기관이다 1998년 9월 주석제가 폐지된 상황에서 주석에 버금가는 기구이기도 한다
1972년 12월 27일 개정된 제6차 개정헌법에서는 주석이 전반적 무력의 최고사령관.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서의 일체의 무력을 지휘 통솔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1992년 4월 제7차 개정된 사회주의 헌법에서는 국방위원장이 일체의 무력을 지휘 통솔하도록 규정되었다
1998년 9월 5일 최고인민회의 제10기 1차 회의에서 개정된 헌법에서 국방위원회 기능은 한층 더 강화되었다
위원장과 제1부위원장. 부위원장. 위원들로 구성되는 국방위원회는 국가의 전반적 무력과 국방건설사업을 지도하고 국방부문의 중앙기관을 내오거나 없애며 주요 군사간부를 임명 또는 해임하고 군사칭호의 제정과 수여, 그리고 전시상태와 동원령을 선포하는 임무와 권한을 가진다
이는 마치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국가전권을 장악했던 일본의 전쟁지도기구 <대본영>을 방불케하는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국방위원회의 수장인 국방위원회 위원장은 북한의 실질적인 국가최고책임자이다 북한헌법에만 의거하여 살펴본다면 국가수반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정부의 대표는 내각총리이다
하지만 1998년 9월 최고인민회의 제10기 1차회의에서 김영남은 국방위원장 추대연설을 통해 <국방위원장은 중임은 나라의 정치 .군사.경제역량의 총체를 통솔지휘하여 사회주의 조국의 국가체제와 인민의 운명을 수호하며 나라의 방위력과 전반적 국력을 강화발전시키는 사업을 조직 영도하는 국가의 최고직책이며 우리 조국의 영예와 민족의 존엄을 상징하고 대표하는 성스러운 직책>이라고 밝혔다
국방위원장은 단순한 국방부문의 수장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북한의 최고통치자라는 것을 천명한 것이다
(2)병정분리주의 침략주의 병영국가
북한은 병정분리주의(兵政分離主義)국가이며 군통수권이 독립 허용되는 문관에 대한 무관의 지배가 가능하는 군국주의 국가권력 체제이다 군정권과 군령권을 분리하는 병정분리주의는 군국주의가 대두될 우려가 있고 용병작전(用兵作戰)에 정치적 이익관계가 개입될 우려가 없고 오로지 수령(지도자)에 대한 충성심만 있어므로 강군(强軍)을 유지될 수 있고 침략주의화 될 우려가 많다
북한정부의 군 통수권자는 국가수반 최고상임위원회 위원장이나 정부대표 총리가 아닌 국방위원회 위원장이다
(3)좌익군정체제와 반미인민전쟁론자 북한정보기관 한국민족민주전선.
수령론(영도론)--->침략주의(NLPDR,민족해방인민민주주의 혁명)--->남침(반미 민족해방 전쟁 수행)
북한정부의 정보기관이 한국민족민주전선(통일혁명당 그룹)이다
이들이 남침과 각종 테러 군사적 작전등을 감행하고 있다
한국민족민주전선은 세계각국에 주체사상연구소나 연구회 형태로 조직화 되어 있으며 남한에도 한민전 서울대표부를 비공식적으로 두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북한(North Korea)은 동북아시아 한반도 북위 38도 북쪽(남북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에 있는 공산주의 좌익군정체제이다 북한은 구소련(舊蘇聯) 공산주의 인민회의제 집정부 국가도 아닌 김일성 일가(一家) 주체사상 중심의 좌익군정 반미정부로 규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북한(North Korea)의 면적은 12만 1,129 평방 km이며 인구는 2196만 8000명이며 인구밀도는 178.9명/평방 km이다(북한은 한반도 전체 면적 55%이상 차지하지만 공산주의반미 주체사상 독재정부 통치로 인하여 대만보다 적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으며 남한 전체인구 절반 수준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북한 전체인구는 갈수록 감소하고 있으며 중국이나 남한으로 탈북자가 속출하고 있다)
1953년 7월 정전협정에 의해 설정된 군사분계선 이북의 지역 또는 그 지역에 세운 친소정부이며 소련군극동사령부 친위대 김일성 공산정권이다 정식명칭은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이다 김일성과 박헌영등은 미국등 연합군이 인정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부정하고 미국과 소련 군대가 한반도를 점령하기 이전에 수립한 조선인민공화국을 계승한 정부로 규정하고 있었다
한국 전체 면적 22만 1,336평방km의 약 55%인 12만 2,762평방km이며 경도와 위도상으러 동쪽 끝 동경 130도 41. 32(함북 나진.선봉 직할시 우암리), 서쪽 끝 동경 124도 10.47(평안북도 용천군 비단섬 노동자구), 남단 북위 37도 41.00(황해남도 강령군 등암리), 북단 북위 43도 00.36(함경북도 온성군 풍서리)에 놓여 있다 북한지역의 해안선은 2,495km이며 국경선은 1,675km이며 이중 중국과 1360km, 러시아와 16.5km를 접하고 있다
(1)위치-----동북아시아 한반도 38도 북쪽지역
(2)면적-----12만 1,129평방 km
(3)국경-----1,674 km
(4)해안선-----2,495km
(5)영해------12해리(경제수역 200해리 1977년 8월 1일)
(6)인구와 평균수명
ㄱ.북한인구-----2,196만 8,000명(2001년도 기준)
북한의 인구는 2002년 7월 기준 총 2천 222만 4천 195명인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200년 10월 17일 미국 중앙정보국(CIA)이 공개한 북한 관련 통계자료에 따르면 북한인구는 2001년 7월 추정치인 2천 196만 8천 288명보다 25만 5천명 가량 증가 했으며 인구증가율은 전년도의 1.22%보다 다소 줄어든 1.1%로 나타났다
인구증가율 감소는 전년도 대비 출생률이 1천명당 1명 가량 줄고 사망률은 거의 같은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2002년 1월 현재 한해 평균 출생률은 1천명당 17.95명으로 전년도 191.1명에 비해 1.15명 줄었고 사망율은 1천명당 6.96명으로 지난해 6.92명에 비해 0.04명 늘어났다
북한정부의 인구 감소의 주(主) 원인은 정치적 탄압과 경제빈곤등으로 정치범과 경제범들의 탈북자들이다
ㄴ.평균수명(미국 CIA 자료)----71.3세
북한 주민의 평균수명은 2001년도 71.02세(남자 68.04세, 여자 74.15세)보다 0.28세 늘어난 71.3세(남자 68.31세, 여자 74.44세)로 집계됐다
성비는 0.95로 여성이 다소 많았다
(7)수도------평양
평양시의 면적은 2천 629.4km로 전체 북한 면적의 1.18%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구는 250만명에 이르고 있다(평양시 인구가 북한 전체인구 9분의 1이 거주하고 있다) 평양시의 행정구역은 현재 만경대구역(동 19개구역)과 강동군등 4개 군으로 구성돼 있다
평양시는 1990년대 이후에도 평성시의 일부지역을 흡수 , 은정구역을 신설하는 등 도시의 규모를 확대해왔다 북한 전체인구는 약 2천 200만명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평양시 및 평안남도, 북도에 전체인구의 40%이상이 거주하능 등 총인구의 61%정도가 도시지역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8)공용어----한국어
북한정부는 남한정부와 다르게 한문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북한정부의 말과 글이 남한과 상당하게 차이가 있으며 고유언어가 소멸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글은 중국원어의 언어 일부이다 고려 가요나 경기체가는 중국어이다
김일성 김정일정부가 너무 자주노선과 주체사상을 표방하여 중국과 공동체 문화성장과 연구보다는 투쟁을 고취하여 반중국적인 정서가 강하다<대표적 언어--김일성 언어학 연구등>
(9)문맹률-----5%
(10)종족구성----한국인
(11)종교---불교. 기독교. 천주교등이 허용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실제활동을 불허하고 있다 북한의 종교는 김일성주의 즉 일신교(日新敎)이다
(12)독립----1945년 8월 15일
(13)헌법---1948년 9월 7일 제정(인민민주주의 혁명헌법) 그리고 72년 12월 27일 우리식사회주의 헌법 개정(주체사상 헌법) ,1992년 4월 2차 개정(국방위원회 중심 좌익군정체제)
(14)정체---인민민주주의 공화제
(15)정부형태---인민회의제와 좌익군정체제
ㄱ.인민회의 정부제---인민의회 중심의 권력----국가수반---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북한의 국가수반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김영남 위원장이다
ㄴ.좌익군정체제---군 총사령관---국방위원회 위원장
북한은 군 통수권이 독립허용된 병정분리주의 군사국가로 군 통수권자는 국가수반이 아닌 국방위원장 권한이다 북한 인민군 총사령관은 김정일 국방위원회 위원장이다
(16)국가원수---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김영남
(17)수상(총리)---정부대표---박봉주
(18)실권자---군부 실권자이며 인민군 총사령관, 노동당 총비서-----김정일
(19)대의기구----단원제(정원 655명. 임기 4년)
(20)정당----노동당 일당 독재
(21)정부성향---공산주의 국가
1972년 우리식 사회주의 주체사상 헌법에서는 세금없는 나라를 표방함으로 공산주의 국가로 선포하였다 지금은 자유화 개방화 덕분으로 주택이나 승용차등의 개인 소유화로 인하여 공산주의 경제제도가 무너지고 있다
ㄱ.북한 민법 제59조
주택과 승용차에 대한 개인 소유를 인정하고 있다 개인주택을 포함해서 개인 재산은 매매를 통한 소유권이전등 자유로운 이용과 처분이 가능하다 또 그에 대한 성속권도 법적으로 보장된다 물론 개인의 소유주택이라 하더라도 건조물이지 토지나 대지는 모두 국가나 협동단체의 소유이다 어떤 토지도 개인의 소유와 매매는 허용되지 않는다
ㄴ.주택이나 개인저축 그리고 현금, 자전거, 승용차등도 개인소유를 인정하며 상속도 인정하고 있다
ㄷ.30평이나 40평 규모로 각 농가에 주어진 개인 텃밭도 개인 소유로 인정하고 있다
ㄹ.북한도 주택매매가 보편화 되고 있으며 건물 개인소유가 보편화 되어가고 있다
ㅁ.농촌과 도시 경제적 문화적 격차로 농민들의 항거가 많다
노동자 끼리 임금격차도 북한정부에게는 하층민 노동자들의 도전을 예고할 수 있는 자료이다 북한도 상층부와 하층민 사이의 보이지 않는 계급적 갈등이 심하다
(22)UN가입---1991년 9월 17일
1991년 9월 17일 이전에는 한반도의 유일합법정부는 대한민국이었으며 유엔이나 연합군은 북한 김일성정부를 반미테러 불법단체로 규정했다
(23)비동맹가입----1975년 8월 25일
북한은 유엔가입 이전에는 비동맹 가입 활동이 활발했다
그러므로 북한이 동남아와 중동지역 국가들과 유대를 강화해왔다
(24)GDP-----158억불(1999년), 1인당 GDP 714불(1999년)
(25)화폐단위와 환율
ㄱ.화폐단위----원(Won)
ㄴ.환율--------1유로화= 북한 원화 1000원(2004년 11월)
1유로화=북한 원화 1600원(2004년 9월)
(26)무역(1999년도 기준)
ㄱ.수출------51,496만불
ㄴ.수입------96,458만불
(27)국방비----만불(년)
(28)군사력(1999년도)
ㄱ.육군-----100만명
ㄴ.해군-----6만명
ㄷ.공군----11만명
북한도 육군과 공군 중심의 국가이며 해군력이 미약하다
(29)군사동맹 관계
ㄱ.북한 소련 우호협력상호원조조약---1961년도
소련붕괴이후 북한과 러시아정부간의 우호협력상호원조조약이 사실상 폐기단계이다
과거에는 소련군 극동사령부가 북한정부 해군과 공군등의 기지역할을 해왔다
ㄴ.북한 중국 우호협력상호원조조약----1961년도
중국 등소평정부 출범이후 한국전쟁 참전파이며 항미무장투쟁노선론자 임표등 4인방이 제거되고 미국, 일본. 중국등으로 형성된 3각안보조약 체결로 사실상 북한과 중국사이의 우호협력원조조약이 사실상 폐지 되어버렸다
ㄷ.북한 짐바브웨 10개년 친선원조조약---1961년도
북한이 유엔가입 이전에 비동맹 활동으로 반미성향 이슬람교 국가와 친선군사조약을 체결해왔다 북한은 시리아나 리비아등과 군사원조조약을 체결했다
ㄹ.북한 리비아친선협조동맹조약---1982년 11월
2.인민회의제와 노동당
(1)인민회의제란
회의제 정부란 의회가 가장 우월한 권력주체 정부형태이며 의회는 정부(내각)를 불신임 할 수 있지만 내각는 의회를 불신임(해산)할 수 없다 회의제 정부형태는 본래의미 의회 통제 프랑스 국민공해,의회가 행정부 부담 스위스 정부형태 집정부제 그리고 공산주의 프롤레타리아 독재국가 인민회의제등이 있다
인민회의제는 노동자 대표자에 의한 일당 독재를 인정하는 인민주권론자 입장이다
인민회의제은 민선의회(의회)에 권력이 집중 되고 있으며 집행부(내각)는 의회에 예속, 종속되어 있다 노동당(공산당) 일당 독재를 인정함으로 당 총비서가 국가수반으로 규정되어 있다 의회는 내각을 불신임하지만 내각은 의회를 불신임하지 못한다
인민회의제 대표적인 국가가 소련공산당과 중국 공산당 그리고 북한 초기 정부형태등이다
지금의 북한은 인민회의제라기 보다는 좌익군정체제라고 규정하는 것이 올바른다 국방위원회와 국방위원회 위원장 중심의 권력기구이다
(2)노동당
ㄱ.노동당 이전의 공산당 계보
(ㄱ)고려공산당(高麗共産黨)
1919년과 1920년 한국인이 조직한 2개의 공산주의 정당 이르쿠츠크파와 상하이파(上海派)가 있다 노령파(露領派) 또는 이르쿠츠파는 1919년 4월 연해주(沿海州) 이르쿠츠크에서 당시 러시아혁명군 제5군단장인 스메스키의 지도하에 대한민국 의회(大韓民國 議會)의 김철훈(金哲勳). 문창범(文昌範). 오하묵(吳夏默). 김하석(金河錫). 한명서(韓明瑞)등이 창당 하였다
처음에는 진로한인공산당(全露韓人共産黨)이라고 하였다가 1920년 전로공산당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코민테른으로부터 상하이파 고려공산당을 통합시키라는 지령을 받고 1821년 전로고려공산당으로 고쳤다
또 아동휘(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 부통령 역임)가 상하이에서 조직한 상하이파 고려공산당은 1918년 6월 이동휘가 하바로프스크에서 박(朴)마테비. 김일(金一)등과 함께 한인사회당(韓人社會黨)을 조직하였는데 1920년 이동휘가 상하이 임시정부의 국무총리로 취임하면서 이 한인사회당을 모체로 하여 고려공산당을 조직하고 여운형. 안병찬등을 가입시켰다
그러나 상하이파는 공산주의 사상에 입각한 정당이 아니고 독립운동을 위한 외교정책상의 조직으로 당시 레닌과 관계를 맺고 그(레닌)에게서 2차에 결쳐 200만 루블의 자금을 받았다
그러나 이동휘의 비서였던 김립(金立)이 정치자금을 유용하였다는 의혹사건이 일어나 고려공산당은 분열되고 이동휘는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총리직을 사임하였다
이 두 정당은 한국 공산주의 운동의 2대 원류(源流)를 이루었으며 상하이파는 공산주의를 민족주의적 노선에 종속시키려 하였고 노령파는 러시아에서 영주(永住)와 러시아에 대한 충성을 목적으로 한 볼세비키적 정당이었다
1923년 모스크바 국제공산당 고려부(高麗部)를 설치하여 국내공산당이 조직될때까지
이를 대신하다가 이듬해 2월 고려부는 본부를 블라디보스토크로 옮기고 위원(委員)으로 노령파의 한명서, 상하이파의 이동휘, 국내 대표 정재달(鄭在達)등이 임명되어 국내에 침투 활동하였다
(ㄴ)조선공산당(朝鮮共産黨)
1919년 3.1운동 이후 1921년까지 급진적이고 점진적인 민족운동이 전개되면서 사회주의 경향이 나타나고 1922년부터 1923년까지는 민족주의 운동에서 사회주의 운동이 분리되면서 분파가 발생한 시기였다 또 1924부터 1925년까지는 민족주의와 사회주의의 대립이 심화되면서 사회주의자들이 조직 정비를 시도하던 시기였다
이 시기에 일본 유학생들에 의해 국내에 사회주의 사상, 마르크스주의가 소개되었고 1922년 2월 동우회선언(同友會宣言)을 전후로 사회주의 경향의 단체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그 중 무산자동맹회, 북풍회(北風會), 화요회(火曜會), 조선노동당, 서울청년회 좌파등이 주요 좌익사상 단체였다
1923년 6월 블라디보스토크 소재 코르뷰로(高麗局)에서 밀명을 받고 잠입한 김재봉(金在鳳)과 김약수(金若水). 유진희(兪鎭熙)등이 포함된 17명의 화요회를 모체로 하여 서울에서 코브류로 국내부가 결성되었다 이들은 1924년 4월 조선노농총동맹과 조선청년총동맹을 결속하고 이를 기반으로 비밀결사 조선공산당. 고려공산청년회를 조직하였다 당 책임비서에는 김재봉이 임명되었고 고려공산청년회의 책임비서에는 박헌영이 임명되었다
화요회가 주동이 되어 조직하였다고 해서 일명 <화요파의 당>이라고도 한다 이때부터 국내 공산주의 운동은 코민테른의 지도하에 들어갔고 조선공산당을 1국 1당 원칙의 코민테른 한국지부로 승인하였다 그러다 1925년 11월 김재봉과 박헌영이 조직 확대를 목적으로 청년회원을 모스크바에 파견하는 훈련을 진행하다 일제에 의해 체포됨으로써 조직이 무너졌다 이것을 제1차 공산당 사건이라 한다
그러나 당시 체포되지 않고 숨어 있던 당 책임비서 김재봉이가 당원 강달영(姜達永)과 함께 1926년 6월 서울에서 제2차 조선공산당을 조직 하였다
당 책임비서에 강달영, 고려공산청년회의 책임비서에는 권오설이 선출되었다 이들의 정치목표는 민족진영과 연합하여 국민적 당을 만들어 공산당이 실권을 장악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6.10만세운동을 통해 3,1운동을 재현하려던 계획이 들통나 대부분의 당원이 체포되면서 해체되고 말았다
이것이 제2차 조선공산당 사건이다
이에 과거 화요회파와 대립관계에 있던 도쿄(東京)의 좌경유학생단체인 일월회(一月會)간부 안광천(安光泉). 하필원(河弼源)등이 제2차 조선공산당 사건때 체포되지 않았던 김철수(金鐵洙)와 손 잡고 북풍회 계통의 M.L파와 합세하여 제3차 조선공산당(속칭 ML파 공산당)을 조직 하였다
이들은 정우회선언(正友會宣言)을 통해 종래의 투쟁형태를 정치투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제안을 하고 당조직 운영방침, 단일민족혁명전선 조직방침 및 운영방침등에 관한 11개조 지령을 만들었다 그러다 1928년 2월 당내의 내분에다 조직이 탄로나서 36명이 종로서(鐘路署)에 검거되었다
한편 춘경원당(春景園黨:서울 춘경원에서 결성되었다 하여 붙인 명칭) 또는 비정통파 조선공산당 조직이 1927년 12월 결성되었는데 정통파 조선공산당에서 배제된 이영(李英)등이 중심이 되었다 그러나 1928년 4월과 6월 코민테른의 승인을 얻지 못하고 일본경찰에 체포되었다
1928년 3월 제3차 조선공산당 사건 때 검거되지 않은 당간부 안광천. 한위건등이 서울 시내에 숨어 있다가 제4차 조선공산당을 조직, 중앙의 각 부서의 지방 지부 및 고려공산청년회를 재건하였다 차금봉이 당 책임비서, 고광수가 고려공산청년회 책임비서로 선임 되었다
고려공산청년회는 학생과학연구회를 간판으로 내걸고 서울의 각 중학교 학생들을 규합하여 동맹휴학. 시위행진등을 감행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제4차 조선공산당도 그해 7월 당 간부들이 거의 체포됨으로써 해체되고 말았다 그 뒤 대부분의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이 실패하고 박헌영의 서울콤그룹만이 지하에 숨어 있다가 1945년 8.15광복을 맞아 8월 20일 박헌영을 중심으로 여운형. 허헌.김원봉. 한빈. 이주하등과 함께 조선공산당을 재건 하였다
당을 부활시킨 1946년 11월 23일 조선인민당 및 남조선신민당과 함께 남조선노동당으로 통합 결성되었다 미군정의 공산당 간부 체포령으로 박헌영은 월북하고 조선공산당은 남한지역의 남조선노동당과 김일성이 창립한 북한의 북조선노동당으로 양립하였으나 남조선노동당은 모두 숙청. 체포되었다
(ㄷ)해방전후 좌익계열
A.조선독립동맹(연안파)----->조선의용대--->신민당
a.모택동주의자 모임 단체---->모택동의 신민주주의 혁명노선
b.대표적인 인물--김두봉(부산출신). 김무정(충청도 출신).최창익과 허정숙 부부등
c.중국내전에서 모택동 부대 승리로 남침 주력부대 조선의용대를 파견하여 주도권을장악했지만 남로당 숙청이후 김일성 일가중심의 주체사상 창립으로 숙청되었다
d.김두봉(金斗奉)
김두봉은 부산 동래 출신이며 1908년 보성고보과 연희전문을 졸업한 후 교사로 근무하였다 주시경선생의 제자로 한글을 연구하여 광문회(光文會)에서 조선어사전 <말모이> 편찬사업에도 참여하는 등 한글학자로도 이름이 알려졌다 1919년 3.1운동에 참여한 후 상하이(上海)로 망명하여 본격적으로 독립운동을 시작하였다
1924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의정원 의원에 선출되었고 1935년 조선민족혁명당 중앙집행위원을 맡았다 이후 1942년 옌안(延安)에서 활동하면서 조선독립동맹에 가담 그해 7월 주석이 되었다
8.15광복 후 북한에서 조선신민당을 조직하여 그 위원장을 지냈으나 1946년 8월 소련군의 압력으로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과 합당하여 북조선 노동당이 창건되자 그 위원장이 되었다 한편 그해 2월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그러나 남북한 노동당이 합당하여 조선노동당으로 개편되자 최고인민위원회 위원장이라는 실권 없는 자리로 밀려났다 이때를 전후하여 김일성 체제에 불만을 품고 연안파 중진들과 함께 저항하였다
모택동계열 김두봉선생과 장개석 계보 김구선생이 남북협상을 주도하여 남북단일국가를 수립하려고 노력했지만 실패하고 소련군부와 만주 동북3성 대표지 임표등 항미무장투쟁노선 조선의용대 출신들에게 주도권을 넘겨주게 되었다
한국전쟁때 북한 인민군이 압록강까지 후퇴했을때 중국정부에 파견되어 외교활동과 중국인민군 참전등에 상당한 도움을 주었지만 그도 김일성 일인 독재체제 희생물이 될 수 밖에 없었다
1958년 조선노동당 대표자회의의 의결로 당에서 제명당하였고 그 후 평남 순안 농장의 노동자로 쫒겨나 중노동을 강요당하며 연명하다가 1961년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B.조선공산당(국내파)----->마르크스 레닌주의 정당--->박헌영등
해방전후에는 좌익단체로 주도권을 장악했지만 소련의 등을 엎고 등장한 김일성세력에게 제거되었다 대표적인 인물이 박헌영. 이현상. 이주하등이다
C.소련파----소련군부와 기술.행정.외교등의 소련공산당 한인출신
a.소련군부-->소련군 극동사령부 88여단(소련군 극동사령부 정찰국)-->소련군부
김일성. 김책. 최용건.오진우등
b.기술. 행정. 외교등의 소련공산당 한인출신----- 허가이등--->소련공산당
ㄴ.남로당(남조선노동당, 南朝鮮勞動黨)과 박헌영
(ㄱ)남로당(남노선노동당, 南朝鮮勞動黨)
1946년 11월 마스-레닌주의 공산주의 운동 단체 조선공산당과 신민주주의 혁명론 사회주의 계열 모택동주의 그룹 남조선신민당, 사회주의 운동단체 조선 인민당이 합동하여 창당한 단체가 남조선노동당(남로당)이다
일제 강점기 1925년 조선공산당을 결셩한 공산주의자들은 광복이 되자 1945년 9월 20일 조선공산당을 재건 하였고 북한에는 같은 해 10월 북조선분국을 두었다
당시 남한에는 여러 좌익정당들이 있었는데 남한에서는 기습적인 조선인민공화국을 수립 선포했다 조선인민공화국 대통령은 이승만박사, 부통령은 여운형선생, 수상은 박헌영으로 추대하여 좌우익연합전선을 표방했지만 미국과 소련군정은 조선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 임시정부등을 불법화 하였다 박헌영과 그들의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정당성을 부정하기 위하여 건국준비 조직으로 조선인민공화국을 선포했으며 미국정부가 이 작전에 말려들었다는 분석도 제기 되고 있다 김구선생이나 여러 임정요원들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을 이승만박사로 인정하는 분위기었고 이런 상황을 알고 박헌영등이 미리 선수로 조선인민공화국 건국과 대통령을 이승만박사로 선포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소련군정 당국은 미리 소련군부를 엎고 등장한 김일성을 내세워고 박헌영 계열의 조선인민공화국을 불법화 하였다
조선공산당은 그 이후 신탁통치 지지표명 더구나 정판사사건(精版社事件) 이후 공산당의 활동은 거의 정지 상태에 있었으므로 남한에서의 세력을 재정비하기 위하여 남조선노동당을 조직하게 되었다
그러나 좌익계이면서도 공산주의자가 아닌 여운형선생 주도로 일부 지식층이 1947년 5월 근로인민당을 조직하자 좌익계 단체들은 남조선노동당과 근로인민당으로 양분되었다 근로인민당 당수 여운형선생은 좌익계열 모함과 암투로 저격되었다
남조선노동당은 합법적으로 남한의 공산화공작을 계속하였고 1946년 2월 민주주의 민족전선(대남공작부,통일혁명당과 한민전 모델)을 결성하여 좌우익대립과 폭동등으로 민족분열을 꾀하였다 1946년 8월 29일 북한에 북조선노동당이 결성되었으며 1950년4월 남북의 노동당이 조선노동당으로 통합됨으로써 남조선노동당은 김일성 지배하에 들어갔다
북한으로 간 남조선노동당 계열은 그 지도자와 함께 1955년 말까지 온갖 명목으로 숙청 또는 처형되었다<대표적인 사건---박헌영등 미국의 스파이로 처형>
(ㄴ)박헌영
박헌영 선생의 본관은 경북 영해(寧海), 충청남도 예산(禮山) 출생이다 1919년 경성고보(現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그후 상하이(上海)로 건너가서 1921년 이르츠크파(이동휘 계열,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부통령--이동휘선생) 고려공산당 상하이 지부에 입당, 그해 고려공산청년동맹 책임비서가 되었다
1922년 1월 김단야. 임원근과 함께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코민테른의 극동인민대표대회에 참가하였고, 4월 국내공산당 조직을 위하여 귀국하다가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 받고 복역하였다 1924년 출옥 후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에서 기자로 활동하였으며 그후 1925년 4월 18일 서울에서 비밀리에 조직된 조선공산당 창립에 참가 하였다 이때 고려공산청년회를 결성하여 그 책임비서가 되었다
1946년 12월 남조선신민당, 조선인민당을 조선공산당에 흡수 남조선노동당을 조직하였으며 남조선노동당 위원장은 허헌, 부위원장은 박헌영이 되었다
그리고 신탁통치 지지등 공산주의 활동을 지휘하다가 1946년 9월 미군정의 지명수배를 받자 북한으로 도피하였다 1948년 9월 남조선노동당 당수의 자격을 지닌 채 북한의 내각 부총리 겸 외무장관이 되었다
그러나 1950년 4월 남북노동당이 합쳐 조선노동당으로 발족하자 부위원장이 되어 위원장인 김일성의 밑으로 지위가 전락하였다
그후 군사위원회 위원,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등의 직위에 있었으나 1953년 김일성에 의한 남로당계 숙청작업으로 1953년 8월 3일 체포되었다 그 후 평안북도 철산에 감금되어 고문을 받다가 1955년 12월 5일 반당. 종파분자. 간첩방조. 정부 전복음모등 7가지 죄목으로 사형을 선고받고 처형되었다.
-박헌영 보증인 허가이 소련정부 도움 요청등과 함께 이승엽등 강동정치학원 중심으로 무장혁명을 시도했다는 죄명
-박헌영이가 남한 민주당 신익희 조병옥선생에게 밀사를 파견하여 도움 요청 죄명
-박헌영이가 남로당 당원을 팔아먹고 미국과 연합으로 한국전쟁을 획책하여 북한을 공격했다는 죄명
-스탈린 사후 평화공존 세력 흐루시초프등의 세력을 엎고 스탈린 계열 김일성 제거하려고 했다는 죄명
ㄷ.북로당(북조선노동당, 北朝鮮勞動黨)
북로당은 1945년 10월 평양에서 열린 <조선공산당 서북5도 당책임자 밀 열성자 대회>에서 채택한 <정치노선과 조직강화에 관한 결정서>에 의거, 창설된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을 모체로 하고 있다
같은 해 8월 29일 중국 옌안(延安)에서 평양으로 돌아온 조선독립동맹을 중심으로 지식층, 소시민층을 망라하고 있던 조선신민당과 합당 북조선노동당으로 발족하였다 합당선언에서 북조선 노동대중의 이익을 옹호하는 대중적 정당을 세울 필요에 의해서 결성되었다고 밝혔다
강령으로 민주주의적 조선자주독립국가 건설, 일본인. 민족반역자. 지주의 토지몰수와 토지없는 농민에게 무상분배, 일본인 및 민족반역자 소유의 공장. 광산. 철도. 운수.통신기관등의 국유화, 8시간 노동제 실시, 여자들에게 남자와 동등한 임금지급등을 내걸었다 북조선노동당 위원장에 김두봉(부산출신이며 독립동맹주석 출신), 부위원장에 김일성(소련군 극동사령부 정찰국 대대장 출신). 허가이(모스크바대학출신이며 소련공산당 간부 출신)가 선출되었다
북로당은 1948년 8월 정권수립을 위해 남조선노동당과 <연합위원회>를 구성하였고 정권수립(1948년 9월 9일)이후인 1949년 6월 30일과 7월 1일 평양에서 비공개로 열린 남북노동당 중앙위원회에서 1국1당 원칙에 따라 현재의 조선노동당으로 통합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모스크바 거주 레베데프씨가 제공한 사진 내용물 중 소련군정과 북로당 간부들...
<지도자 김은 스티코프가 주도한 소련군 극동사령부 작품이었다 1946년 8월 30일 소련군정 지도부가 스탈린의 지시에 따라 북조선 공산당과 신민당을 합당 북조선노동당을 결성한 후 당 고위간부들과 기념 촬영을 했다 앞 줄 오른쪽에는 허가이. 김일성. 소련군정 정치사령관 레베데프 소장. 김두봉. 소련군정 정치국장 이그나치프 대좌. 김책..뒷 줄 오른쪽에는 주영하. 박일우. 최창익등>
(ㄱ)소련군정 정치사령관 레베데프 소장과 소련군정 정치국장 이그나치프 대좌
-소련군 연해주관구 제25군단 사령부 정치위원과 소련군정 정치사령관 니콜라이 레베데프(Nikolai G Lebedebv)
A.1945년 8월 북한을 점령하고 공산정권 창출의 주역을 맡았다
소련군 25만명이 북한지역에 배치했다
B.소련군정은 극동사령부 예하 제1전선 군사령부 T.F 스티코프 상장 지시를 받았다
-평양주둔 소련군 사령관 스티코프 대장
-미소공동위원회 소련측 대표
-초대 북한주재 소련대사
C.소련군 극동사령부는 대일선전포고전에 한반도 침투조와 선발대를 투입했고 1945년 8월 9일부터 북한지역에 파견된 첩보대 조선인 박창우등과 조선인 소련군 극동정찰국 대원이었다
북한 김일성이가 소련군 극동사령부 정찰국 대대장 출신이며 북한잠입 활동때는가명 김영환으로 사용했다
D.중국내전과 한국전쟁때 소련군 극동사령부가 배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다
소련군 극동사령부는 만주국을 점령한 후 임표에게 일본군 무기를 인계했으며 임표을 동북 3성 총사령관으로 임명했으며 북한지역을 점령한 후 김일성에게 총사령관을 임명했으며 한국전쟁때는 임표등의 조선의용대 지원으로 남침을 추진했다
E.소련군 극동사령부 정찰국 요원(사진 인물)---김일성(김영환). 김책등
(ㄴ)연안파---모택동부대(사진인물,김두봉. 최창익)
A.정치조직 독립동맹(주석 김두봉. 부주석 최창익)과 군사조직 조선의용대(총사령관 무정)
B.주석 김두봉(부산 동래 출신). 부주석 최창익(허정숙의 남편)
C.김무정(무정)----함북경성출신이며 중앙고보 중퇴 그리고 북방군관학교 포병과 졸업, 한국전쟁때 팽덕회등 중국 인민군사령관과 친교, 제2군단장으로 낙동강까지 진격 그리고 후퇴 중에는 평양방위사령관으로 재직 중 패전으로 해임. 51년 47세로 죽음..
D.한국전쟁 주도는 해군이나 공군등을 소련군 극동사령부가 주도했으며 탱크나 포병등은 중국의용대 출신 조선의용대 출신이 주도했다
소련군 극동사령부는 민주국을 점령한 후 중국인민군에게 일본관동군 무기를 인계하여 중국내전에서 승리할 수 있게 했으며 중국내전에서 모택동부대가 승리하자 동북3성 총사령관 임표등을 한국전쟁 참전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한국전쟁을 추진했다 남침주력부대는 조선의용대었다
(ㄷ)소련파----소련군 대일참전 정찰국 출신(사진인물, 김일성. 김책)과 소련공산당 출신(사진 인물, 허가이)
A.소련지역에서 소련공산당이나 소련정부에 참여한 인사들
B.분류
소련군 정찰국이나 대일참전부대---김일성. 김책등 소련군 극동사령부 정찰국 요원
기술자---공군이나 해군등 기술진이나 북한정부 행정요원으로 귀순
당과 행정. 외교관료---허가이등
허가이는 소련정치담당 고문으로 노동당 조직부장으로 남로당과 북로당 합당을 총지휘했으며 허가이는 남로당 박헌영 보증인으로 한국전쟁이후 남로당 패전 책임과 박헌영등과 무장봉기 시도를 하다가 미국의 간첩으로 박헌영등과 함께 처형되었다
(ㄹ)조선공산당-----북조선공산당 출신(사진인물,주영하)
주영하등은 김용범이나 현준혁등과 다르게 김일성을 지원했다
ㄹ.조선노동당(朝鮮勞動黨)
조선노동당 http://www.dprkorea.com/20031010/index.php
조선노동당은 1949년에 창당 되었으며 사회주의 국가인 북한에서 정치 및 모든 생활을 규제하는 최고의 지위에 있는 권력의 중추이다
당면 목적으로 공화국 북반부에서의 사회주의의 완전한 승리를 보장하며 전국적 범위에서 민족해방 인민민주주의 혁명(NLPDR)의 과업수행을 규정하고 최종목적으로 공산주의 사회 건설을 내걸고 있다
조선노동당의 전신은 1945년 10월 10일 평양에서 개최된 <조선공산당 서북 5도 당 책임자 및 열성자대회>에서 결성된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이다 이 조직이 1946년 4월 북조선공산당으로 명칭을 바꾸었고 같은 해 8월 조선신민당과 합당하여 북조선노동당이 되었다
남북한 단독정부 수립 후인 1949년 6월 남한에 있던 남조선노동당과 통합 조선노동당으로 개칭되었다 당의 최고지도기관은 당대회이고, 당대회가 없을 때는 당대회가 선출한 당 중앙위원회가 최고지도기관이 된다 당 중앙위원회 산하 부서로서 정치국. 비서국. 군사위원회등이 있다..
(3)주체사상---수령론과 김일성 일가의 세습왕조
주체사상이란 김일성주의 또는 일신교(日新敎, 태양절)를 뜻한다
주체사상이 북한사회에 뿌리 내리기 시작한 시기는 1970년대 우리식 사회주의 헌법 제정이후 부터이며 김일성 일인(一人) 모든 국가 권력을 장악한 절대신격화 된 시기었다 북한의 역사책은 있는그대로 사회주의 역사관 서술한 근대이전이며 1919년 3.1운동부터 현대사는 모든 역사가 김일성 일가 우상화와 신격화이다 김일성일가는 반일(反日). 반미(反美) 민족해방운동가이며 민족의 태양 집안으로 우상화하여 서술하고 있다<북한 현대사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나 조선공산당 투쟁 역사도 없다>
북한의 모든 정책과 활동의 기초가 되는 조선노동당의 유일지도 사상으로 되어 있는데 북한에서의 주체사상은 주체확립이라는 정치적 목적으로부터 비롯되고 있으므로 철학사상은 아니다
따라서 오늘날 북한의 주체사상의 중심명제가 <사람이 모든 주인이며 모든 것을 결정한다>는 것을 내세워 <인간 중심의 새로운 철학사상>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그것은 주체확립의 의지와 실천성을 강조하는 하나의 지배적 통치이념으로 규정될 수 밖에 없다 주체사상에서 말하는 인간의 중심 이론은 넥오마르크스(Neo-MarX) 또는 청년 마르크스 사상에 불과하다
북한의 주체사상은 1926년 10월 김일성이 결성하였다고 주장하는 타도제국주의동맹에서 주창되기 시작하여 1930년 6월 열렸다는 카룬회의에서는 주체사상을 지도사상으로 하는 주체형(主體型)의 당조직을 조직했다는 밝히고 있다 말하자면 김일성이 14세 때 주장하기 시작하여 18세에 이르서는 그 원리를 공식적으로 천명하게 되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 같은 주장은 1982년에 이르러 김정일이 김일성의 위광을 높이려는 의도적인 조작에서 나온 주장이며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실제 주체사상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노선 중 자주노선입장에서 서술한 백범 김구 선생의 머슴론과 삼민주의 쑨원들의 유교적 인간형등에서 등장한 사상이다
김일성은 그의 우상화과 세습왕조 국가를 만들기 위하여 등장한 이론이 공산주의도 아닌 동양적 사상 유교를 우리식 사회주의로 위장하여 국가를 통치하는 이론이다
주체사상에서의 주체란 처음부터 정치적 성격을 띤다
김일성은 주체에 대하여 <모든 것을 북한의 실정에 맞게 해나가며 마르크스 레닌주의 일반원리와 다른 나라의 경험을 북한의 실정에 맞게 창조적으로 적용해 나간다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렇게 보면 주체사상의 핵심적 내용은 곧 북한의 사회주의 혁명과 건설에서의 주체확립을 뜻하게 된다
주체확립에 대하여 북한은 1970년 노동당 제5차 대회에서 규정을 했는데 여기서 주체확립의 중심개념은 주인다운 태도인 자주적 입장의 견지와 창조적 활동으로서 이것은 곧 자기갱생을 해야한다는 실정을 반영하는 것과 다름없다 결국 주체사상은 초기에는 북한의 실정에 알맞은 혁명과 건설의 추진을 강조하는 소박하고 통속적인 사고에 불과한 셈이었다
그런데도 주체사상은 1970년 이후 북한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마르크스. 레닌주의와 동격으로 격상되면서 철학적 성격이 분식(粉飾)되었고 오늘날에는 이 두 사상을 더욱 풍부하게 발전시켰으며 현시대의 혁명과 건설과정에서 제기되는 모든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해답을 주었다고 선전하고 있다
1978년 4월 9일 북한의 대표적인 해외친북단체인 <주체사상국제연구소>를 창설하여 주체사상의 국제적 보급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주체사상이 북한 주민의 사상을 무장시키고 정치적 총합에 효과적인 통치 이데올로기로 기능하여 왔음을 틀림없다 또 대외적으로 비동맹권 국가에게는 공산주의 세계혁명론으로 부각되고 서방권 국가에는 민족공산주의(民族共産主義)로 오인되는 등의 효과를 낳고 있다
이러한 주체사상은 폐쇄를 전제로 하는 상황에서는 통치 이데올로기로 기능할 수 있겠으나 1980년대 말 일기 시작한 동유럽 공산권의 민주화 개방화 자유화와 소련연방공화국의 해체, 중국의 개혁정책 앞에서는 더 이상 위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되었다
세계 각국 통일혁명당(한국민족민주전선) 대표부가 주체사상연구소나 주체사상연구회 형태로 북한 김일성 김정일체제 정보기구 지위와 역할로 운영되고 있다 자본주의민주주의 혁명노선 등장과 자유주의 사회주의 바람으로 김일성주의 주체사상은 무너지고 있다
자본주의 반대 공산주의! 민주주의 반대 독재주의!
자본주의민주주의 혁명 후 사회주의와 자유주의 공존으로
ㄱ.김형직과 강반석.강양욱
(ㄱ)김형직(金亨稷)과 강반석
김형직(金亨稷,1894-1926)은 김일성의 아버지이며 김정일의 할아버지이다
김형직의 먼 조상은 전라도에서 살았다
김형직은 전주(全州 또는 完山) 김씨로 1894년 평안남도 대동에서 태어나 평양숭실학교를 마쳤고 1917년 3월 강동군에서 항일 독립운동 단체인 조선국민회를 결성했다 조선국민회 활동 중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른 뒤 만주로 망명했다
북한의 문헌에 의하면 비합법적인 단체 조선국민회와 함께 학교계, 비석계, 향토계등의 계를 결성하였고 중강. 무송등지에서 광제의원. 무림의원. 순천의원등을 설립, 의료사업과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하여 항일운동을 하였다고 한다
북한 정권 수립이후 아내인 강반석과 함께 <민족해방운동의 탁월한 지도자>로 추앙받아 김형직사범대학, 김형직인민병원등이 설립되었다 북한에서는 국가적인 위대한 인물로 알려져 있으나 관련된 자료가 모두 북한 것으로 한정되어 사실을 확인하기는 어렵다
강반석은 김형직보다 두살 위로 1892년 4월 21일 기독교 목사이며 교육자 강돈욱의 둘째 딸로 태어나 기독교계 평양숭실학교를 나온 김형직과 결혼하여 김형직 나이 18세 강반석의 나이 20세때 김성주(김일성)의 첫 아이를 낳았고 그 후 둘째 아이 김철주(김철주는 낳았는데 오래 살지 못하고 죽었다). 막내 김영주등 삼형제를 낳았다(김일성은 북한 주석을 지냈고 김영주는 북한 부주석을 역임했다)
김형직은 김일성의 나이 14세때 1926년 32세 나이로 갑자기 사망했으며 강반석은 김형직을 따라 만주로 이주하여 한약상을 하는 남편의 뒷바라지를 하다가 1932년 7월 31일 40세로 병사(病死)했다
김형직과 강반석 집안 모두 독실한 기독교 신자집안이었다 평안도는 조선후기에 처음으로 기독교를 받아들인 곳이고 그 지방의 기독교도들은 그 시대의 상황에 비추어 볼때 모두 지식인에 속하는 사람들이었다
강반석의 집안은 김형직의 집안보다 더 독실한 기독교인들로 김일성의 강반석의 부친 강돈욱은 만경대 일대에서 신임을 받던 교육자이자 장로교 교회의 장로로서 열심히 성경을 가르쳤다 1992년 김일성은 회고하기를 어머니가 자신을 교회의 장로로서 열심히 성경을 가르쳤다고 했다
-독립기념관측에 따르면 소장된 "현대사 자료(강덕상 편저, 1967) 조선편 1권에 따르면 김형직은 항일조직인 조선국민회에서 활동하다 1918년 2월 18일 평안남도 일경에 의해 검거돼 형사소추를 받았다 <평안남도 경무부장 보고요지>는 김형직이 서당교사이며 평안남도 강동군 정읍면 동3리에 거주하고 있다고 기록했다 보고요지에는 또 회장 장일환(1886-1918)을 포함해 백세민. 배민수등 조국민회 회원 25명이 본적. 주소. 나이. 역할등이 상세히 나와 있다
(ㄴ)강양욱(康良煜)
강양욱은 평남 대동에서 태어났다 김일성의 외척이다
1923년 평양신학교를 나온 뒤 일본 주오대학을 졸업하였다 일본 강정기기 때 조만식선생과 함께 평양에서 장로교 목사로 활동하였다 그리고 일제말 최남선 이광수등과 함께 친일부역자로 활동했다
1945년 11월 북조선민주당 중앙위원회 상무위원, 1946년 북조선민주당 평남 도 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
1948년 이후 최고인민회의 제 1기--5기 대의원을 지냈다 1972년 국가부주석 겸 최고인민회의 중앙위원회위원을 지냈다
ㄴ.김일성(金成柱,金聖柱)
(ㄱ)가짜 김일성
김일성(金日成)의 본명은 김성주(金成柱)이며 1912년 4월 15일 평안남도 대동군 고평면(古平面) 남리(南里) 오늘날의 만경대의 농가에서 출생 했으며 아버지 김형직과 어머니 강반석 사이에 장남이며 그의 동생 김철주(金哲柱), 김영주(金英柱)를 두었다
김일성은 어려서는 일곱살 나이 1919년에 부모를 따라 만주 지린성(吉林省) 푸쑹(撫松)등의 만주로 이사하여 그의 부친 김형직의 한인동포를 상대로 의사노릇을 했으며 김일성은 만주에서 <정의부>라는 독립운동단체가 운영하는 화성의숙에서 수학했다 화성의숙의 숙장(교장)은 천도교 신자이면서 민족주의자인 최동오선생이었다 최동오는 뒷날 상해임시정부의 간부가 되었는데 그의 아들이 대한민국에서 육군소장과 외무부 장관 및 서독대사를 역임하고 나중에는 월북한 최덕신이다
1926년 김일성 나이 14세때 그의 부친 김형직 갑자기 사망했고 1926년 지린 육문중학에 입학하였으나 1929년 중퇴 하였다
김일성은 보통학교를 마치고 중국인 사립학교인 길림성(吉林省) 길림의 육문중학교(위원중학교)를 다닐 수 있었다 김일성이 이 학교에서 막스 레닌주의(마르크시즘과 레닌니즘)에 접했으며 공산주의를 이해하게 되었다
그래서 곧 공산주의 활동에 참여하여 중학교 2학년 때 퇴학을 당했고 길림에 있는 감옥에 얼마 안되는 기간이지만 투옥되기도 했다
이런 배경을 놓고 볼때 김일성은 어린 시절을 만주에서 지냈기 때문에 중국의 생활 풍습과 중국어에 상당히 익숙해졌다는 점이다 김일성은 중국 공산당의 한 산하조직에서 공산주의자로서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던 것이다
김일성의 생애에서 중요한 전기는 그가 스무 살이던 1932년에 일어났다
그 해는 그의 어머니가 죽고 일본 제국주의가 괴뢰국 <만주국>을 세운 해였다
그 해에 김일성은 남만주에서 조선인들에 의해 조직된 작은 규모의 항일 유격대에 가담하였다 이 유격대는 같은 해에 중국인 양징위(양청우,楊晴宇)가 지휘하는 <동북항일연합>의 산하로 통합했다 이 부대는 몇 해 안에 규모도 커지고 활동영역도 넓어지게 되었다(만주 항일 전설적인 영웅 김일성 장군은 북한 김성주가 아닌 일본 육사출신 김광서=김경천 장군으로 김성주가 김경천장군 항일 운동을 도용했다는 말이 사실인 것 같다)
동북인민혁명군이 1936년 초에 동북항일연합군(東北抗日聯軍)이 조직되고 여름부터 팔로군제도가 실시됨으로서 동북항일연합군 제1로군 제6사 (東北抗日聯軍 第1路軍 第6師)로 된 제6사장(第6師長) 김일성을 두고 하는 말이다 이 김일성의 대표적인 업적이 1937년 6월 4일 보천보습격사건이다
동북항일연합군 제1팔로군 제6사장 김일성부대가 자행한 보천보 습격은 철저히 물자조달을 위한 약탈사건이었다는 것이다
1938년부터 1940년까지 김일성은 몇몇 전투에 참가하여 승리를 거두었다
일제는 동북항일연합군의 뿌리를 뽑아버릴려고 갖은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 물론 회유작전도 병행했다 일제에 투항하면 돈을 주기도 하고 처벌을 면제해 주겠다고 약속했다 이런 관동군의 2중작전은 효력을 발휘하여 투항자가 속속 출현했다
1940년 2월 동북항일연군 제 1로군(東北抗日聯軍 第1路軍) 사령관 양징위도 마침내 관동군에 쫓기다 살해 되었다 관동군은 그의 배를 갈라 보았다 그의 뱃 속에는 나무 껍질이나 풀 따위가 남아 있을 뿐 곡물이라고는 전혀 없었다
극악무도한 관동군이하도 양징위에 대하여 경의를 나타내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불교의 스님을 모셔다가 극락왕생을 비는 염불도 올리게 하고 묘를 만들어 주었으며 좋은 비석도 세워 주었다고 한다
이것은 만주에서의 동북항인연군의 유격대원들이 얼마나 험난한 거시밭길을 걸었나를 극명하게 증명한 사건이었다 일본군에 끊임없이 쫓겨기면서 전투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 정상적인 보급은 거의 불가능했다
그러므로 동북항일연군(東北抗日聯軍)도 살아남기 위해서 일종에 마적이나 공비적(共匪的) 성격을 띄고 있었다고 보아야 한다
김일성도 쫓겨다녔다
그는 여섯명의 대원을 이끌고 두만강변을 따라 1941년 3월에 극동 러시아로 탈출했다
김일성은 곧 블라디보스그톡(연해주) 근처의 <오스케얀스카야 야전학교>에 배치되어 군사훈련을 받았다 최용건, 김책, 안길, 김광협, 서철, 최춘국등도 이 지역 배치되어 군사훈련을 받았다 일본과의 전쟁의 개연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판단한 소련 극동군은 하바로프스키 근처의 비밀 기지인 브야츠크에 <88특별여단>을 창설했다 이 부대는 동북항일연군( 東北抗日聯軍)에서 활동 중인 유격대원들과 조선인 유격대원들로 구성됐는데 총인원은 조선인 60여명과 중국인 160여명에 소련인 40여명이 포함되어 있었다 산하 4개 대대 가운데 김일성이 대위로서 제1대대장을 맡았으며 강건이 제4대대장을, 김책이 제3대대 정치위원을 맡았다
김일성은 이 무렵 자신의 유격대원이었고 함북 회령 출신으로 자신과 함께 극동 러시아로 탈출해 온 김일성보다 여섯 살 연하 김정숙(金貞淑)과 결혼했다
김정숙은 1942년 2월 16일에 브야츠크 야영에서 쌍둥이 유라와 슈라를 낳았다
극동 러시아의 빨치산 생활 가운데 중요한 전기는 1945년 7월에 이루어졌다
<88특별여단>에 속한 조선인 전사들이 중국인 전사들과 소련의 전사들로부터 분리된 <조선공작단>을 결성했는데 김일성이 단장으로 뽑힌 것이다 그들은 일본군과의 전투를 계획하던 가운데 한달 뒤인 8월 15일 일제의 패망 소식을 듣게 되었다
8.15광복과 더불어 소련군을 따라 평양으로 들어와 김영환이라는 가명으로 정치공작을 폈는데 그해 10월 14일 소련군 사령관 로마넨코가 평양시민들 앞에서 <김일성장군>이라고 그를 둔갑시켜 소개한 뒤부터 김일성으로 행세하였다 처음에는 자신을 제6사단장 및 제2방면 군장이던 김일성이라 주장하였다
그러나 1949년부터는 동북항일연합군과의 관계를 내세우지 않고 만주사변 후부터 독자적인 항일유격대를 조직하여 일제와 싸운 것처럼 날조된 정치적 선전을 하였다
그는 소련군의 힘으로 조선공산당 북조선조직위원회 책임비서, 북조선노동당 부위원장, 내각수상, 인민군 최고사령관을 맡고 원수 칭호까지 썼다
중앙인민위원회 겸 국방위원회 위원장등 최고위직을 역임하였다 남조선노동당등의 국내파와 소련파 중 반대파인 옌안파(延安派)등을 숙청하여 권력체제를 구축하였다 1994년 7월 8일 심근경색증으로 사망하였다
소련군
-자료 만주지역과 극동지역 좌익진영 항일운동 조직 단체
소련군 스탈린부대->중국 모택동 팔로군->조선인 부대(조선독립동맹과 조선의용대)->88특별여단(레인과 스탈린 지시에 따라 중국공산당과 조선 공산당 통제를 받았다)
-가짜설 논쟁 자료
조선인민공화국 서열 중앙위원회 위원급. 1992년 소련군부 쿠데타 지지등
(ㄴ)진짜 김일성---일본육사 23기 기병과 출신 김광서(金光瑞)
북한 김일성전주석이 일본육사 23기 기병과 출신 김광서인가에 따라서 보천보전투와 국내진공작전등을 주도한 사람을 판단할 수 있는 자료라고 조선군사령부 일본역사책에서 주장하고 있다
이육사의 광야 시에서 백마 타고 온 장군을 항일운동가이며 일본육사 23기생 김광서 탈출병 김일성장군으로 애송(愛頌)하고 있다
ㄷ.김정숙
김정숙은 함북회령 출신으로 김일성보다 7년 연하의 여성으로 김일성과 유사한 배경을 가진 빨치산이었다
그녀는 어렸을 때 부친을 찾으러 어머니와 함께 만주로 들어갔다가 모친 사망 후 고아가 되었으며 1935년 16세 때 빨치산부대에 입대하여 밥짓는 일을 맡았다 동북항일연합군의 무력투쟁이 내리막길을 걸던 1940년 말경 김일성과 김정숙은 결혼했고 다음해 3월쯤 김일성을 따라 소련으로 도피,88여단에 가입했다
1942년 2월 16일 하바로프스크 바트코스예 마을에서 쌍둥이 아들 유라와 딸 슈라를 낳았다 슈라는 3-4세때 하바로프스크 바트코스예 마을 우물에 빠져 죽었다
아직도 슈라의 무덤이 있다
김일성과 김정숙은 해방 후 평양에서 장녀 김경희를 낳았다
그녀는 북한 남아 있는 김정일의 유일한 누이동생이며 장성택이라는 당간부와 결혼하여 김정일을 보좌하고 있다
김정숙은 1949년 9월 22일 너 번째 아이를 출산하다가 모자가 함께 사망했다.
ㄹ.김정일
(ㄱ)김정일의 출생설--쌍둥이로 태어난 김정일(유라)와 동생 슈라
<김정일위원장은 1942년 2월 16일 하바로프스크 바트스코예마믈에서 쌍둥이로 태어났으며 그의 동생은 3-4세때 쯤 우물에 빠져 죽었다 김정일위원장의 러시아 이름은 유라이며 그의 동생 이름은 슈라로 불렸다 슈라의 무덤이 아직도 이곳 하바로프스크 바트스코예 마을에 있으며 지난 53년까지 북한 사람들이 이곳을 잘 관리해 왔지만 최근에 방치돼 있어 안타깝다---하바로프스크 인근 바트스코예 마을에 살고 있는 아우구스타 세르게예브나 할머니의 증언>
북한정부가 내세우고 있는 김정일의 백두산 밀영 출생설이 거짓말로 드러나는 자료이며 그의 동생 슈라가 평양 집 우물에 죽었다는 것도 거짓말로 드러나는 자료이다
김정일의 아버지 김일성이가 1942년부터 1948년까지 소련 88여단에 소속된 3개 대대 중 1개 대대를 지휘했다는 것은 하바로프스 바트스코예 마을사람들의 증언으로 나타나고 있다
하바로프스 바트스코예마을은 하바로프스크에서 약 70km 떨어진 곳으로 한때 160가구가 살았다지만 지금은 약 40가구만이 살고 있는 초라한 마을이었다
(ㄴ)김정일은 김일성의 전처인 김정숙의 소생으로 김일성종합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당중앙위원회 조직지도부 지도원으로 있었다 이어서 당중앙위원회 조직지도부 부부장을 거쳐 중앙당 문화예술부장, 중앙당 조직 및 선전비서. 정치위원회 후보 위원으로 있다가 1990년 인민군 총사령관으로 추대 1994년 7월 김일성이 죽자 김일성의 후계자로 등장하면서 세습체제의 물의를 빚고 있다.
-1942년 2월 16일 소련 하바로프스크 출생
-1949년 9월 평양 남산인민학교 입학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 발발로 만주로 피납 그리고 길림학원 공부함
-1953년 11월 만경대 혁명가 유자녀 학원(만경대 학명학원 전신) 3학년 편입
-1953년 8월 평양근교 삼석인민학교 전학 그리고 평양 제4인민학교 5학년 전학
-11960년 평양 제1초급중학교를 거쳐 남산고등학교 졸업
-1959년 1월 소련 공산당 제21차 대회 참석(김일성과 함께 모스크바 방문)
-1964년 3월 김일성종합대학교 경제학부 정치경제학과 졸업
김정일의 대표적 논문 ---군(郡)의 지위와 역할( 정치 경제학과 졸업논문)
-1982년 3월 논문--주체사상에 대하여
-현주소:평양시 중구 남산동 중앙당사
-신장:165cm
-체중:85kg
-혈액형:A형
-성격:결단력과 추진력 있으나 감정변화 심함(혁명가나 지도자보다는 김일성 후광으로 이미지형 인물 평가됨. 김영남 북한정부 국가수반은 김일성처럼 입지전형적 인물이라면 김정일은 최고지도자로 상징적 인물로 평가)
-취미, 건강관리
승마, 수영(전담연구소 운영), 영화감상, 사격등
(4)조선인민공화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ㄱ.조선인민공화국-----박헌영 조선공산당과 여운형 건국준비위원회 중심으로 수립한 국가
(ㄱ)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여운형. 수상 박헌영. 내무부장관 김구. 외무부장관 김규식. 군사부장관 김원봉등으로 추대<김일성은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추대 항일경력의 미약함>
(ㄴ)좌우익연합정부 수립
(ㄷ)국호문제에서 조선이냐 대한이냐 논쟁
박헌영과 여운형등은 조선총독부 입장을 반영하여 조선으로 국호 선택
ㄴ.조선민주인민공화국----소련군정과 노동당 주도로 수립한 국가
(ㄱ)수상은 김일성. 부수상은 허가이와 박헌영등으로 추대
(ㄴ)친소정부 수립(소련위성국가 표방)
3.좌익군정체제---국방위원회
북한은 군 통수권이 독립 허용되는 병정분리주의국가이며 군통수권자는 국가수반이 아닌 국방위원회 위원장이다 그러므로 실권자는 국가수반이나 총리가 아닌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보는 분도 많다
(1)국방위원회란
북한의 헌법상 국방정책을 전반적으로 관장하는 국가주권의 최고군사지도기관이며 전반적인 국방관리기관이다 1998년 9월 주석제가 폐지된 상황에서 주석에 버금가는 기구이기도 한다
1972년 12월 27일 개정된 제6차 개정헌법에서는 주석이 전반적 무력의 최고사령관.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서의 일체의 무력을 지휘 통솔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1992년 4월 제7차 개정된 사회주의 헌법에서는 국방위원장이 일체의 무력을 지휘 통솔하도록 규정되었다
1998년 9월 5일 최고인민회의 제10기 1차 회의에서 개정된 헌법에서 국방위원회 기능은 한층 더 강화되었다
위원장과 제1부위원장. 부위원장. 위원들로 구성되는 국방위원회는 국가의 전반적 무력과 국방건설사업을 지도하고 국방부문의 중앙기관을 내오거나 없애며 주요 군사간부를 임명 또는 해임하고 군사칭호의 제정과 수여, 그리고 전시상태와 동원령을 선포하는 임무와 권한을 가진다
이는 마치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국가전권을 장악했던 일본의 전쟁지도기구 <대본영>을 방불케하는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국방위원회의 수장인 국방위원회 위원장은 북한의 실질적인 국가최고책임자이다 북한헌법에만 의거하여 살펴본다면 국가수반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정부의 대표는 내각총리이다
하지만 1998년 9월 최고인민회의 제10기 1차회의에서 김영남은 국방위원장 추대연설을 통해 <국방위원장은 중임은 나라의 정치 .군사.경제역량의 총체를 통솔지휘하여 사회주의 조국의 국가체제와 인민의 운명을 수호하며 나라의 방위력과 전반적 국력을 강화발전시키는 사업을 조직 영도하는 국가의 최고직책이며 우리 조국의 영예와 민족의 존엄을 상징하고 대표하는 성스러운 직책>이라고 밝혔다
국방위원장은 단순한 국방부문의 수장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북한의 최고통치자라는 것을 천명한 것이다
(2)병정분리주의 침략주의 병영국가
북한은 병정분리주의(兵政分離主義)국가이며 군통수권이 독립 허용되는 문관에 대한 무관의 지배가 가능하는 군국주의 국가권력 체제이다 군정권과 군령권을 분리하는 병정분리주의는 군국주의가 대두될 우려가 있고 용병작전(用兵作戰)에 정치적 이익관계가 개입될 우려가 없고 오로지 수령(지도자)에 대한 충성심만 있어므로 강군(强軍)을 유지될 수 있고 침략주의화 될 우려가 많다
북한정부의 군 통수권자는 국가수반 최고상임위원회 위원장이나 정부대표 총리가 아닌 국방위원회 위원장이다
(3)좌익군정체제와 반미인민전쟁론자 북한정보기관 한국민족민주전선.
수령론(영도론)--->침략주의(NLPDR,민족해방인민민주주의 혁명)--->남침(반미 민족해방 전쟁 수행)
북한정부의 정보기관이 한국민족민주전선(통일혁명당 그룹)이다
이들이 남침과 각종 테러 군사적 작전등을 감행하고 있다
한국민족민주전선은 세계각국에 주체사상연구소나 연구회 형태로 조직화 되어 있으며 남한에도 한민전 서울대표부를 비공식적으로 두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출처 : 아시아연방론
글쓴이 : CIA bear 허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