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스크랩] 북한, "유엔군 사령부" 해산 유엔에 요구 본문
북한, "유엔군 사령부" 해산 유엔에 요구
--------------------------------------------------------------------------------
유엔 상임주재 북한 대표 박길연은 얼마전 유엔 아난 사무총장에게 편지를 보내 한국에 설치한 "유엔군 사령부"를 해산할것을 요구했습니다.
박길연은 편지에서 "유엔군 사령부"는 특정된 역사조건하에 미국이 유엔의 명의를 남용해 세운것으로서 한반도 문제 해결에 장애를 조성했고 유엔의 위신에 손상을 주었다고 했습니다.
그는 1975년 제 30차 유엔 총회에서 "유엔군 사령부"의 존재가 무의미함을 이미 인정하고 결의를 채택해 해산을 요구했다고 하면서 하지만 미국의 저애로 이 기구가 여전히 보류되였다고 했습니다. 박길연은 이는 한반도와 동아시아에서 군사패권을 유지하려는 미국의 시도를 충분히 보여주고 있다고 했습니다.(중국 국제방송 자료)
http://kr.chinabroadcast.cn/1/2006/03/04/1@56593.htm
- 유엔은 제2차세계대전 이후 연합국측 미국. 영국. 소련(러시아). 중국. 프랑스등의 중심으로 창설한 세계단일 평화와 번영을 위한 기구이다 한반도에서는 남북이 분단되어 단일정부를 독립하지 못함으로 유엔의 지원으로 남한에서 합법정부 대한민국이 건국되었고 북한에서는 유엔이 불인정하는 불법국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건국 되었다
한국전쟁은 중국정부의 조선족부대 조선의용대 지원으로 북한 김일성 부대 중심으로 자행된 침략전쟁으로 유엔 상임이사국 영국 미국 프랑스 중국등의 4개국 찬성과 소련등 1개국 기권으로 16개국 유엔군 중심으로 침략군 김일성부대와 모택동부대를 물려쳤다 그 당시 유엔 상임이사국 5개국 중 중국은 장개석 국민당정부이었고 1960년 이후에야 모택동정부가 유엔 상임이사국이 되었다 현(現)중국정부는 한국전쟁 참전이나 개입에 대하여 사죄를 했으며 유엔결의로 16개국 유엔군이 참전한 한국전쟁에 개입한 것에 대하여 오류와 반성을 시인했다
북한은 1990년이전까지는 유엔의 합법정부가 아닌 국가로 존재하다가 1990년이후에야 유엔가입을 함으로 유엔의 합법정부가 되었다
아직도 북한은 공산주의 국가이며 동시에 국방위원회 중심의 반미 인민전쟁과 인민민주주의 혁명을 추진하고 있는 침략주의 국가이다 그리고 세계 다수 국가들이 북한정부를 한반도 합법정부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
유엔 상임주재 북한 대표 박길연은 얼마전 유엔 아난 사무총장에게 편지를 보내 한국에 설치한 "유엔군 사령부"를 해산할것을 요구했습니다.
박길연은 편지에서 "유엔군 사령부"는 특정된 역사조건하에 미국이 유엔의 명의를 남용해 세운것으로서 한반도 문제 해결에 장애를 조성했고 유엔의 위신에 손상을 주었다고 했습니다.
그는 1975년 제 30차 유엔 총회에서 "유엔군 사령부"의 존재가 무의미함을 이미 인정하고 결의를 채택해 해산을 요구했다고 하면서 하지만 미국의 저애로 이 기구가 여전히 보류되였다고 했습니다. 박길연은 이는 한반도와 동아시아에서 군사패권을 유지하려는 미국의 시도를 충분히 보여주고 있다고 했습니다.(중국 국제방송 자료)
http://kr.chinabroadcast.cn/1/2006/03/04/1@56593.htm
- 유엔은 제2차세계대전 이후 연합국측 미국. 영국. 소련(러시아). 중국. 프랑스등의 중심으로 창설한 세계단일 평화와 번영을 위한 기구이다 한반도에서는 남북이 분단되어 단일정부를 독립하지 못함으로 유엔의 지원으로 남한에서 합법정부 대한민국이 건국되었고 북한에서는 유엔이 불인정하는 불법국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건국 되었다
한국전쟁은 중국정부의 조선족부대 조선의용대 지원으로 북한 김일성 부대 중심으로 자행된 침략전쟁으로 유엔 상임이사국 영국 미국 프랑스 중국등의 4개국 찬성과 소련등 1개국 기권으로 16개국 유엔군 중심으로 침략군 김일성부대와 모택동부대를 물려쳤다 그 당시 유엔 상임이사국 5개국 중 중국은 장개석 국민당정부이었고 1960년 이후에야 모택동정부가 유엔 상임이사국이 되었다 현(現)중국정부는 한국전쟁 참전이나 개입에 대하여 사죄를 했으며 유엔결의로 16개국 유엔군이 참전한 한국전쟁에 개입한 것에 대하여 오류와 반성을 시인했다
북한은 1990년이전까지는 유엔의 합법정부가 아닌 국가로 존재하다가 1990년이후에야 유엔가입을 함으로 유엔의 합법정부가 되었다
아직도 북한은 공산주의 국가이며 동시에 국방위원회 중심의 반미 인민전쟁과 인민민주주의 혁명을 추진하고 있는 침략주의 국가이다 그리고 세계 다수 국가들이 북한정부를 한반도 합법정부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출처 : 아시아연방론
글쓴이 : CIA bear 허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