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스크랩]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가 발간한 "2005년 군비. 군축연감" 에 따르면 북한정부 무기현황 특징 "미사일 러시아 기술이전, 잠수함 중국 기술이전" 본문

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가 발간한 "2005년 군비. 군축연감" 에 따르면 북한정부 무기현황 특징 "미사일 러시아 기술이전, 잠수함 중국 기술이전"

CIA Bear 허관(許灌) 2005. 6. 9. 17:37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http://www.sipri.se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는 150년 동안 계속된 스웨덴의 평화를 기념하여 1966년 7월 의회 의결에 의해 설립된 평화를 위한 조사연구기관이다 이 기구의 영어 명칭은 SIPRI(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이다
에산은 국가에서 충당하나 제정상의 책임은 모두 정부가 임명한 임기 5년의 이사 8명으로 이루어지는 이사회가 맡는다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문제를 과학적으로 연구함을 목적으로 하고 연구의 독자성을 확보하기 위해 외부에서의 자금원조는 금지되어 있다 이사회. 과학평의회. 소장을 포함한 연구원 모두 국제적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매년 발행하는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 연보>는 핵군축. 군비관리. 무기수출등에 관한 문제에 중요 데이터를 제공한다 연구태도는 객관적. 중립적이며 현실적 실제적임을 으뜸으로 하고 사실파악을 원칙. 방침으로 삼고 있다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의 <2005 군비. 군축연감> 집계결과 북한의 2000-2004년 재래식 무기 수입액은 5천 300만달러로 세계 86위에 불과한 반면 수출액면에서는 9천 600만달러로 세계 29위에 올라 무기교역면에서는 흑자국인 것으로 나타났다
1999-2003년 통계치와 비교할 경우 북한의 수출국 순위는 변동이 없었으나 수입국 순위는 59위에서 한참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재래식 무기 수입에 매년 500만 달러밖에 사용하지 않았다

1.북한정부의 무기수입 자료 현황
(1)무기모델 명칭
ㄱ.잠수함---중국 수입과 국내 생산화 추진
북한정부는 중국정부로부터 1973년부터 1995년까지 로미오급 잠수함 23대를 들여왔으며 이중 16대는 북한이 직접 조립 생산함
-북한정부의 잠수함 기술과 생산방법 이전은 중국정부로 보고 있으며 중국정부가 유럽에서 잠수함을 구입하여 제3국 북한에 넘겨 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ㄴ.미사일----러시아 수입과 국내 생산화 추진
1992년부터 1995년까지 SS-N-2b 대함 미사일 35대 수입
그리고 이전에는 스커드 미사일 수입
ㄷ.레이더---카자흐스탄과 러시아정부 수입과 연구 추진
(ㄱ)1995년 카자흐스탄에서 화기 관제레이더 4대 구입
(ㄴ)1992년부터 1996년까지 화기 관제레이더 6대와 대공. 대함 레이더 4대 구입
ㄹ.전투기
1999년 러시아정부로부터 미그-21 전투기 34대 수입
ㅁ.1995년 카자흐스탄에서 KS-19고사포 24대 구입
ㅂ.보병전투차량(IFV)
2000년부터 2001년 러시아로부터 보병전투차량(IFV) 32대 구입과 기술이전 추진
(2)북한정부의 무기수입현황 특징
북한정부의 무기 수입 주요국가는 중국과 러시아이며 기타 구(舊)소련국가들이다
북한정부의 신무기 기술이전은 중국이나 러시아 그리고 기타 옛소련국가등지에서 유럽이나 미국등지 무기제품을 도입하는 방법으로 입수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북한정부는 원자로 완성과 가동으로 플루토늄 원자폭탄을 확보한 이후부터 레이더 기술과 잠수함 그리고 대함 미사일 기술이전과 함께 개발에 주력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북한정부의 무기수출 자료 현황
(1)무기모델 명칭
ㄱ.미사일
(ㄱ)러시아 라이선스로 군수회사 수출
북한은 지난 1992년부터 2004년까지 러시아에 AT-4 대전차 미사일 3천 250기와 SA-16 휴대용 지대공미사일 1천 250기를 수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차 미사일은 1987년 엣 소련이 주문했다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 라이선스로 생산한 것이며 1989년 주문된 지대공 미사일도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 라이선스로 납품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함
(ㄴ)시리아
북한정부는 지난 1991년부터 1996년까지 시리아에 스커드-C 미사일 150기를 수출함
북한정부는 스커드-C 미사일 생산을 시리아 현지 조립 생산되었다고 봄(북한정부가 시리아정부에게 미사일 기술이전과 생산화 추진)
(ㄷ)리비아
북한정부는 지난 1999년 리비아에 스커드-C 미사일 5기를 리비아에 수출함
(ㄹ)예멘
북한정부는 지난 2001부터 2002년 예멘에 스커드-C 미사일 45기를 수출함
(ㅁ)이란
북한정부는 1993년부터 1995년까지 10대의 스커드 미사일 발사대를 이란에 수출함
(ㅂ)파키스탄
북한정부는 지난 1996년부터 1997년 사이에 2기의 로동 1호 미사일을 파키스탄에 수출함
ㄴ.북한제 240mm 방사포
북한정부는 지난 1988년부터 1998년까지 이란에 100대의 북한제 240mm 방사포 수출함
ㄷ.130mm 견인포
북한정부는 지난 1998년 미얀마에 130mm 견인포 수출함

(2)북한정부의 수출 무기현황 특징
미사일이나 장거리나 단거리 포 위주로 수출함
북한정부 무기 개발이 장거리나 단거리 포 공격무기에 치중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포는 작은 미사일로 인력방위체계 보병보다는 기술적 합리적 전면적 공격용으로 기계화부대와 함께 현대전쟁의 기본이다
-포대와 미사일: 공군과 육군 혼성부대





출처 : 아시아연방론
글쓴이 : CIA bear 허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