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스크랩] 러시아 정치인과 정당들, 사담 후세인정권으로부터 특혜--미국 상원 조사보고서(미국의 소리 보도) 본문
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러시아 정치인과 정당들, 사담 후세인정권으로부터 특혜--미국 상원 조사보고서(미국의 소리 보도)
CIA Bear 허관(許灌) 2005. 5. 17. 12:50유엔의 원유-식량 계획부정 사건을 조사 중인 미국 국회상원은 러시아 정치인들이 사담 후세인정권을 지지해 주는 조건으로 수 백만 배럴의 원유를 이라크로부터 제공받았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http://www.voanews.com/korean/2005-05-16-voa18.cfm
미국 국회 상원의 상임조사 소(小) 위원회는 러시아 정치인들이 축출된 사담 후세인 정권에 의해 추진된 수법을 통해 특혜를 누렸음이 드러났다고 보고했습니다 1996년부터 2003년까지 계속된 원유-식량계획은 제재로 인한 타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원유를 팔아 인도적 물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바그다드정부에게 허용한 조치였습니다
그러나 미국 상원 소(小)위원회는 이라크정부가 이 계획을 이용해 정치적인 영향력을 샀다는 주장의 증거를 발견했습니다 상원보고서는 이라크 정부가 판매 허용된 원유 중 많은 양을 유엔 안보리 상임 이사국 중 이라크에 동정적인 나라들에게 배정했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위원회에 따르면 이들 나라 중 러시아가 가장 많은 양의 원유를 배정 받았습니다 이 보고서는 실제로 러시아인들과 정당들이 전(全) 기간에 걸쳐 판매 허용된 원유의 30%를 배정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원유를 배정받은 나라들은 배럴당 최고 30센트씩의 커미션(Commission)을 받고 전통적인 원유 수입국들에게 이를 매각했다고 상원보고서는 지적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배정 양이 수백만 배럴에 달하기 때문에 커미션(Commission)은 매번 거래할때마다 수십만 달러에 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미국 상원보고서는 러시아가 유엔안보리에서 사담 후세인정권에 대해 취한 태도와 제재를 강화하기 바라는 나라들에게 반대했던 상황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2000년 미국은 제재규정을 위반하고 국경선 일대에서 벌어지고 있는 거래를 단속하기 위한 결의안을 상정했습니다 이때 러시아는 거부권을 행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결의안 문제가 더 이상 추진될 수 없도록 하겠다고 위협했습니다
러시아 관리들은 아직 미국 상원 보고서에 대해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원유를 베정받은 나라들이 커미션(Commission)으로 수백만 달러를 버는 동안 사담 후세인은 배정원유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역시 돈을 벌었습니다 미네소타주 출신 공화당 상원의원으로 이번 소(小)위원회의 위원장을 맡고 있는 놈 콜만의원은 사담 후세인이 그 계획으로 수십억 달러를 챙길수 있었다고 말합니다
이 보고서는 현재 미국 당국에 구금돼 있는 타리크 아지즈 전 부총리, 타하 야신 라마단 전 부통령등 이라크 전직 관리 16명과의 면담을 포함해 일년 여간의 조사 끝에 이루어졌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상원조사위원회가 영국 의회의 조지 갤로웨이 의원과 프랑스의 샤를 파스콰 전 내무장관이 그 같은 음모하에 원유를 배정받았다는 증거를 인용한 별도의 보고서를 공개한 지 며칠만에 나왔습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원유-식량계획과 관련해 아무런 잘목된 행동도 하지 않았다고 부인하고 있습니다 갤로웨이 의원은 2005년 5월 17일에 있을 원유-식량계획 비리에 관한 미국 국회 상원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증언할 것을 요청받고 있습니다 한편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은 유엔 본부에서 미국 국회 상원조사에서 나온 주장들이 유엔의 개혁 노력을 방해할 것으로는 믿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식량 석유계획이 처음 어떻게 수립됐고 어떻게 조직, 운영돼 왔는 지를 잘 알고 있는 유엔회원국들은 다른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유엔 원유-식량 계획의 진상과 관련해 훨씬 더 낙관하고 있는 것으로 저는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저는 회원국들이 유엔을 보다 더 발전시키고 강화시키는데 총력을 기울이기를 바랍니다 또한 저는 이번 문제가 유엔의 개혁과정을 방해할 것으로 보지 않습니다 우리는 유엔개혁을 계속 추진할 결의로 있기 때문에 저는 모든 회원국들에게 이를 계속 추진하고 또 실현할 것을 촉구합니다 어떤 면에서 원유-식량 계획의 위기사태를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입니다"
미국 국회 상원위원회는 유엔 원유-식량 계획 비리 혐의를 조사하는 여러 의회 기구들 가운데 하나입니다
*커미션(Commission)-상거래에서 중개인이 받게 되는 수수료
(2005년 5월 16일 미국소리 보도 자료)
1.후세인. 김일성정부의 소련군부쿠데타 지지와 지원
(1)소련군부쿠데타를 지지한 나라는 이라크 후세인정권과 북한 김일성정부밖에 없었습니다
이라크 바트당(사회당) 후세인정부나 북한 노동당 김일성정부는 사회민주주의 노선보다는 국가사회주의 노선이나 일당 독재 공산주의 노선을 추구해왔습니다
그러므로 후세인이나 김일성등은 소련군부가 쿠데타로 고르바초프의 개혁 개방정책 친서방을 정책을 붕괴시키고 반미. 반서방정부가 들어서기를 바랬습니다 어쩌보면 미소대결구도 등장을 수립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중국 강택민정부가 소련군부쿠데타를 지지하지 않고 고르바초프정부 원상복귀를 요청함으로 소련군부쿠데타는 실패했습니다 그 당시 반미청년회(한국민족민주전선)도 소련군부쿠데타를 지지했다는 사실은 얼마나 북한대남공작부 한국민족민주전선(통일혁명당)이 소련군부와 북한정부 친위대로 활동하는 것인지를 잘 판단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2)후세인정부나 김일성(김정일)정부 정치 비자금이 러시아 일부 정치인들에게 제공되어왔다는 증거입니다
2.후세인정부의 석유-식량 프로그램 거액 착복
이라크 사담 후세인 정부는 유엔 <석유-식량 프로그램> 따른 물품구입과 석유수출 과정에서 거액을 체계적으로 착복해왔다는 자료가 나왔다
후세인정부는 <석유-식량 프로그램>에 의한 식량과 의약품, 석유산업 우지부품등을 구입하면서 구매가격을 부풀리고 공급업체들로부터 차액을 현금이나 외국에 개설된 비밀계좌 송금으로 돌려 받았다는 사실이 후세인정부 관련 문서들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그리고 후세인정부는 석유를 수출할때는 반대로 가격을 최대한 낮추는 수입업체들로부터 비밀에 웃돈을 같은 방식으로 건네 받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1)킥백:물품 대금 일부에서 떼낸 상납금
ㄱ.공급가격보다 10% 부풀리는 가격으로 물품구입 그리고 10% 킥백으로 후세인정부에 지불함
-->시리아업체가 밀을 이라크 후세인정부에 5천 750만 달러어치 수출하던 그 시기에 15% 킥백을 지불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ㄴ.석유등을 수출할때는 가격을 10%이상 낮추는 방식으로 수입업체들에게 비밀 옷돈을 받아왔다
(2)이라크 후세인정부는 2000년도 중반부터 3년간 킥백으로 20억달러를 착복했다
http://www.voanews.com/korean/2005-05-16-voa18.cfm
미국 국회 상원의 상임조사 소(小) 위원회는 러시아 정치인들이 축출된 사담 후세인 정권에 의해 추진된 수법을 통해 특혜를 누렸음이 드러났다고 보고했습니다 1996년부터 2003년까지 계속된 원유-식량계획은 제재로 인한 타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원유를 팔아 인도적 물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바그다드정부에게 허용한 조치였습니다
그러나 미국 상원 소(小)위원회는 이라크정부가 이 계획을 이용해 정치적인 영향력을 샀다는 주장의 증거를 발견했습니다 상원보고서는 이라크 정부가 판매 허용된 원유 중 많은 양을 유엔 안보리 상임 이사국 중 이라크에 동정적인 나라들에게 배정했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위원회에 따르면 이들 나라 중 러시아가 가장 많은 양의 원유를 배정 받았습니다 이 보고서는 실제로 러시아인들과 정당들이 전(全) 기간에 걸쳐 판매 허용된 원유의 30%를 배정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원유를 배정받은 나라들은 배럴당 최고 30센트씩의 커미션(Commission)을 받고 전통적인 원유 수입국들에게 이를 매각했다고 상원보고서는 지적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배정 양이 수백만 배럴에 달하기 때문에 커미션(Commission)은 매번 거래할때마다 수십만 달러에 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미국 상원보고서는 러시아가 유엔안보리에서 사담 후세인정권에 대해 취한 태도와 제재를 강화하기 바라는 나라들에게 반대했던 상황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2000년 미국은 제재규정을 위반하고 국경선 일대에서 벌어지고 있는 거래를 단속하기 위한 결의안을 상정했습니다 이때 러시아는 거부권을 행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결의안 문제가 더 이상 추진될 수 없도록 하겠다고 위협했습니다
러시아 관리들은 아직 미국 상원 보고서에 대해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원유를 베정받은 나라들이 커미션(Commission)으로 수백만 달러를 버는 동안 사담 후세인은 배정원유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역시 돈을 벌었습니다 미네소타주 출신 공화당 상원의원으로 이번 소(小)위원회의 위원장을 맡고 있는 놈 콜만의원은 사담 후세인이 그 계획으로 수십억 달러를 챙길수 있었다고 말합니다
이 보고서는 현재 미국 당국에 구금돼 있는 타리크 아지즈 전 부총리, 타하 야신 라마단 전 부통령등 이라크 전직 관리 16명과의 면담을 포함해 일년 여간의 조사 끝에 이루어졌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상원조사위원회가 영국 의회의 조지 갤로웨이 의원과 프랑스의 샤를 파스콰 전 내무장관이 그 같은 음모하에 원유를 배정받았다는 증거를 인용한 별도의 보고서를 공개한 지 며칠만에 나왔습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원유-식량계획과 관련해 아무런 잘목된 행동도 하지 않았다고 부인하고 있습니다 갤로웨이 의원은 2005년 5월 17일에 있을 원유-식량계획 비리에 관한 미국 국회 상원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증언할 것을 요청받고 있습니다 한편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은 유엔 본부에서 미국 국회 상원조사에서 나온 주장들이 유엔의 개혁 노력을 방해할 것으로는 믿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식량 석유계획이 처음 어떻게 수립됐고 어떻게 조직, 운영돼 왔는 지를 잘 알고 있는 유엔회원국들은 다른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유엔 원유-식량 계획의 진상과 관련해 훨씬 더 낙관하고 있는 것으로 저는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저는 회원국들이 유엔을 보다 더 발전시키고 강화시키는데 총력을 기울이기를 바랍니다 또한 저는 이번 문제가 유엔의 개혁과정을 방해할 것으로 보지 않습니다 우리는 유엔개혁을 계속 추진할 결의로 있기 때문에 저는 모든 회원국들에게 이를 계속 추진하고 또 실현할 것을 촉구합니다 어떤 면에서 원유-식량 계획의 위기사태를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입니다"
미국 국회 상원위원회는 유엔 원유-식량 계획 비리 혐의를 조사하는 여러 의회 기구들 가운데 하나입니다
*커미션(Commission)-상거래에서 중개인이 받게 되는 수수료
(2005년 5월 16일 미국소리 보도 자료)
1.후세인. 김일성정부의 소련군부쿠데타 지지와 지원
(1)소련군부쿠데타를 지지한 나라는 이라크 후세인정권과 북한 김일성정부밖에 없었습니다
이라크 바트당(사회당) 후세인정부나 북한 노동당 김일성정부는 사회민주주의 노선보다는 국가사회주의 노선이나 일당 독재 공산주의 노선을 추구해왔습니다
그러므로 후세인이나 김일성등은 소련군부가 쿠데타로 고르바초프의 개혁 개방정책 친서방을 정책을 붕괴시키고 반미. 반서방정부가 들어서기를 바랬습니다 어쩌보면 미소대결구도 등장을 수립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중국 강택민정부가 소련군부쿠데타를 지지하지 않고 고르바초프정부 원상복귀를 요청함으로 소련군부쿠데타는 실패했습니다 그 당시 반미청년회(한국민족민주전선)도 소련군부쿠데타를 지지했다는 사실은 얼마나 북한대남공작부 한국민족민주전선(통일혁명당)이 소련군부와 북한정부 친위대로 활동하는 것인지를 잘 판단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2)후세인정부나 김일성(김정일)정부 정치 비자금이 러시아 일부 정치인들에게 제공되어왔다는 증거입니다
2.후세인정부의 석유-식량 프로그램 거액 착복
이라크 사담 후세인 정부는 유엔 <석유-식량 프로그램> 따른 물품구입과 석유수출 과정에서 거액을 체계적으로 착복해왔다는 자료가 나왔다
후세인정부는 <석유-식량 프로그램>에 의한 식량과 의약품, 석유산업 우지부품등을 구입하면서 구매가격을 부풀리고 공급업체들로부터 차액을 현금이나 외국에 개설된 비밀계좌 송금으로 돌려 받았다는 사실이 후세인정부 관련 문서들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그리고 후세인정부는 석유를 수출할때는 반대로 가격을 최대한 낮추는 수입업체들로부터 비밀에 웃돈을 같은 방식으로 건네 받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1)킥백:물품 대금 일부에서 떼낸 상납금
ㄱ.공급가격보다 10% 부풀리는 가격으로 물품구입 그리고 10% 킥백으로 후세인정부에 지불함
-->시리아업체가 밀을 이라크 후세인정부에 5천 750만 달러어치 수출하던 그 시기에 15% 킥백을 지불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ㄴ.석유등을 수출할때는 가격을 10%이상 낮추는 방식으로 수입업체들에게 비밀 옷돈을 받아왔다
(2)이라크 후세인정부는 2000년도 중반부터 3년간 킥백으로 20억달러를 착복했다
출처 : 아시아연방론
글쓴이 : CIA bear 허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