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북한 우주발사체 발사 실패…“2단계 로켓 비정상 작동” 본문

Guide Ear&Bird's Eye/북한[PRK]

북한 우주발사체 발사 실패…“2단계 로켓 비정상 작동”

CIA bear 허관(許灌) 2023. 5. 31. 17:15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31일 오전 8시 5분쯤 어청도 서방 200여km 해상에서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발사체 일부로 추정되는 물체를 식별해 인양했다며 사진을 공개했다.

북한의 우주발사체 발사가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북한도 즉각 실패를 인정하고 빠른 기간내 2차 발사를 공언했습니다.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한반도 시각 31일 우주발사체를 발사했다고 밝혔습니다.

합참은 이날 오전 6시 29분경 북한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 방향으로 발사된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발사체 1발을 포착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이 발사체는 백령도 서쪽 먼바다 상공을 통과해 어청도 서방 200여km 해상에 비정상적 비행으로 낙하했다”며 “한미가 공조해 추가적인 분석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31일 오전 8시 5분쯤 어청도 서방 200여km 해상에서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발사체 일부로 추정되는 물체를 식별해 인양했다며 사진을 공개했다.

북한은 이날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했지만 실패했다며 빠른 기간 내 2차 발사를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31일 오전 6시 27분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예정된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위성운반로켓인 ‘천리마-1형’에 탑재해 발사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전했습니다.

이어 “천리마-1형은 1단 로켓 분리 후 2단 로켓의 비정상 작동으로 추진력을 상실하면서 서해에 추락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국가우주개발국은 “중한 결함을 구체적으로 조사 해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과학기술적 대책을 시급히 강구할 것”이라며 “가급적으로 빠른 기간 내에 2차 발사를 단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북한은 이달 31일 0시부터 내달 11일 0시 사이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일본 해상보안청 등에 통보했습니다.

한국 국립해양조사원은 일본 해상보안청에 제공된 항행경보사항을 토대로 A지점을 북한의 1단 로켓 낙하 지점으로, B 지점과 C 지점을 위성 덮개인 페어링과 2단 로켓 낙하 지점으로 추정했습니다.

한국 대통령실은 31일 북한의 인공위성으로 추정되는 발사체 발사에 안보상황점검회의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잇달아 개최했습니다.

한국 NSC는 상임위원회 결과를 담은 보도자료에서 “ 상임위원들은 이번 발사는 성공 여부와 무관하게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중대한 위반이자 한반도와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도발임을 강조하고 이를 규탄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또한 참석자들은 북한의 추가적인 발사 가능성을 예의주시하며 동맹국 및 우방국들과의 공조태세를 유지하기로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발사체' 발사와 관련해 서울시 전역에 한때 경계경보가 발령됐다. 6시 41분 서울시가 경보 발령을 위급문자로 안내하고, 7시 3분 행안부가 오발령임을 알린 후, 7시 25분 서울시가 다시 북한 미사일 발사로 인한 것임을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31일 남부 오키나와현 주민들을 대상으로 "북한에서 미사일이 발사됐다"며 긴급 대피명령을 내렸다가 해제했다.

한편 북한의 발사체 발사 하루 전인 30일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의 로켓 발사대, 즉 갠트리타워가 발사 준비 상태를 유지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특히 평소 하얀색 개폐형 패널로 가려져 있던 갠트리타워가 패널을 열고 발사대의 아랫부분을 드러냈습니다.

또한 갠트리타워 바로 앞 발사패드에서는 트럭 3대가 포착됐는데, 이중 1대는 뒷부분에 길이 약 17.5m의 하얀색 물체를 싣고 있었습니다.

이와는 별도로 북한이 최근 빠른 속도로 건설한 새 발사장에서도 트럭 7~8대가 분주하게 움직이는 등 실제 발사가 임박한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31일 오전 8시5분쯤 서해 어청도 서방 200여㎞ 해상에서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 발사체'의 일부로 추정되는 물체를 식별해 인양 중이라고 밝혔다.

북한이 31일 오전 ‘우주 발사체’라고 주장하는 물체를 쏘아 올렸지만, 결국 실패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오전 6시29분 북한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 방향으로 발사한 이른바 우주 발사체 1발이 백령도 서쪽 먼바다 상공을 통과해 어청도 서방 200여km 해상에 비정상적으로 낙하했다고 밝혔다.

앞서 북한은 이달 31일 0시부터 다음 달 11일 0시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한국 정부는 미국과 협력해 발사체를 추가 분석 중이며, 조태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개최했다.

NSC 상임위원들은 이번 발사가 성공 여부와 무관하게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중대한 위반이자 한반도와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도발이라며 규탄했다.

백악관 NSC도 이날 성명을 통해 “북한이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해 (발사체를) 발사한 것은 다수의 유엔(UN) 안보리 결의를 위반한 행위”라며 강력 규탄했다.

북한은 왜 '발사 실패' 인정했을까?

북한은 발사 실패 사실을 공식 인정하며 빠른 기간 내에 2차 발사를 단행하겠다고 밝혔다.

북한 관영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은 발사 후 약 2시간30여 분 만에 국가우주개발국 발표 내용을 인용해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국가우주개발국은 “31일 6시27분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예정되였던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위성운반로켓 ‘천리마-1’형에 탑재해 발사했다”고 밝혔다.

이어 “'천리마-1'형은 정상비행하던 중 1계단 분리 후 2계단 발동기(엔진)의 시동 비정상으로 하여 추진력을 상실하면서 서해에 추락했다”고 설명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한이 실패를 빠르게 인정한 데는 크게 세 가지 이유가 있다고 분석했다.

양 교수는 “북한이 실패를 인정함으로써 정상국가를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원인을 스스로 규명할 만큼의 기술력을 갖고 있다는 걸 알리려는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 “마지막으로는 보완 후 재발사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면서도 과거 사례를 참고했을 때 2차 발사까지 한 달 정도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예상했다.

북한이 인공위성 발사 통보 후 발사체를 쏘아 올린 건 지금까지 총 4차례로 집계된다. 이 중 2차례는 궤도 진입에 성공했으나, 위성으로서 제 기능을 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북한이 위성을 탑재했다고 주장하는 발사체를 쏜 것은 2016년 2월 7일 ‘광명성 호’ 발사 이후 약 7년 만이다.

군사위성? 아니면 탄도미사일?

이번 발사체가 북한의 주장처럼 군사정찰위성이 아닌 탄도미사일이라는 시각도 있다.

양 교수는 북한이 서해위성발사장을 이용했다는 점을 들어 이번 발사체가 위성 발사체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이미 탄도미사일을 실전 배치하는 상황에 인공위성을 위장해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하려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은 설득력이 좀 떨어진다”고 밝혔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 교수도 “일본에서 (이번 발사체가) 탄도미사일이라고 주장하는 이유는 북한의 불법성을 더 부각하기 위한 것”이라며 위성 발사체 쪽에 무게를 실었다.

하지만 추진체에 실린 물체가 다를 뿐, 위성 발사체와 탄도미사일의 핵심 기술이 같기 때문에 두 가지를 아예 별개로 보긴 힘들다.

박 교수는 “(이번에 북한이 쏘아 올린) ’천리마-1’형이새로운 형태의 탄도미사일일 가능성도 있다”며 “하지만 기존에 있는 액체연료 기반 백두산 엔진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자세한 정보가 좀 더 있어야 판단이 될 것 같다”고 했다.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 발사체가 남쪽 방향으로 발사된 31일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 공습경보가 내려져 섬 주민들이 대피소에 대피해 있다

'대피 안내' 문자에 시민들 '긴장'

북한이 발사체를 발사한 후 서해 최북단인 인천 백령도뿐만 아니라 서울에도 경계경보가 발령되면서 많은 시민이 긴장감 속에 아침을 맞았다.

오전 6시32분 서울 지역에 경계경보가 발령되면서 혼란이 빚어졌다. 서울 시민들은 “대피할 준비를 하시고, 어린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내용의 문자를 받았다.

서울 내 일부 지역에선 수 분 간 사이렌 소리까지 울리면서 긴장감을 고조시켰다.

이후 행정안전부는 경계경보가 발령된 지역은 백령도뿐이며, 서울시에서 경보를 잘못 보낸 것이라고 정정했다.

서울에 거주하는 회사원 권혜민씨(31)는 “아침에 일어나서 씻으려는데 민방위 경보 같은 사이렌 소리가 울렸고, 경보 문자를 받았다”며 “대피 준비하라는 얘기에 씻지도 못하고 가족들과 어디로 대피해야 하는지 얘기하며 우왕좌왕하다가 평소보다 늦게 출근 준비를 했다”고 말했다.

16개월 된 아이를 키우는 김모씨(33)는 “원래 뉴스를 잘 안 봐서 북한이 위성 발사하는 줄 모르고 있었는데, 갑자기 아무 설명 없이 대피하라는 재난문자가 오니 너무 무서웠다. 그때부터 너무 무서워서 짐을 싸기 시작했다”고 토로했다.

“원래 (우리나라에서) 전쟁이 날 걸 믿지 않았는데,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한국도 침공당할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됐어요. 그래서 이번에 ‘북한이 진짜로 쳐들어왔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 더 무서웠습니다."

경계경보가 알린 북한 '우주 발사체' 발사...결국은 '실패' - BBC News 코리아

 

경계경보가 알린 북한 '우주 발사체' 발사...결국은 '실패' - BBC News 코리아

이날 오전 6시29분 북한이 쏘아올린 이른바 '우주 발사체' 1발이 전북 군산 어청도 서쪽 바다에 추락했다.

www.bbc.com

北, "군사정찰위성 탑재 로켓 추락, 조속히 2차 발사"

북한은 31일 아침, 북서부에서 군사정찰위성을 탑재한 로켓을 발사했으나 이상이 발생해 추락했다고 발표하고, 실패 원인을 조사해 가급적 빠른 기간 내에 2차 발사를 단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은 국영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31일 오전 6시 27분에 북서부에 있는 서해 위성발사장에서 군사정찰위성인 '만리경-1호'를 탑재한 로켓 '천리마-1형'을 발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발표에 따르면 로켓은 1단 엔진을 분리한 후 2단 엔진의 이상으로 추진력을 상실해 황해에 추락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군사정찰위성의 발사 때 사고가 발생했다"고 보도하고, 국가우주개발국 대변인이 "로켓의 신형 엔진 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떨어지고 사용 연료의 특성이 불안정한 데 사고의 원인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국가우주개발국은 "위성발사에서 발견된 중대한 결함을 조사해서 조속히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발표하고, 가급적 빠른 기간 내에 2차 발사를 단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北, "군사정찰위성 탑재 로켓 추락, 조속히 2차 발사" | NHK WORLD-JAPAN News

 

北, "군사정찰위성 탑재 로켓 추락, 조속히 2차 발사" | NHK WORLD-JAPAN News

북조선은 31일 아침, 북서부에서 군사정찰위성을 탑재한 로켓을 발사했으나 이상이 발생해 추락했다고 발표하고, 실패 원인을 조사해 가급적 빠른 기간 내에 2차 발사를 단행하겠다고 밝혔습니

www3.nhk.or.jp

미 로켓 전문가 “북, 위성발사에 ICBM엔진 ‘RD-250’ 첫 사용”

북한이 지난달 31일 첫 군사정찰위성을 실은 위성운반로켓 '천리마 1형'의 발사 장면을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공개했다. 로켓은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의 새 발사장에서 발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앵커: 북한의 신형 위성운반 로켓인 천리마1 1단 발사에 사용된 엔진은 북한이 그동안 대륙간탄도미사일에 썼던 러시아제 ‘RD-250’인 것 같다는 미국 전문가의 분석이 제기됐습니다. 

씨어도어 포스톨 미 메사추세츠공과대학(MIT) 과학·기술·국가안보정책 명예교수는 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이 이날 공개한 천리마 1 발사 사진을 토대로 로켓의 특징을 설명했습니다.

포스톨 교수는 로켓의 1단 발사에서 2개의 분사구에서 뿜어나온 연기의 길이와 색깔을 볼 때 러시아제 엔진인 ‘RD-250’ 개량형(advanced Russian RD-250 rocket motors)을 사용한 것 같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는 북한은 이 엔진을 이미 화성-15형 등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에 사용하고 있어서 이를 위성운반 로켓에 쓰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북한이 2012년에 발사한 위성운반 로켓 은하-3’을 연구했던 포스톨 교수는 당시 은하-3’ 1단계에서 4개 분사구를 가진 노동미사일 엔진을 사용했고, 2단과 3단에서는 1개의 분사구를 가진 스커드-B 미사일 엔진을 사용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이번에 위성운반 로켓에 ‘RD-250’ 엔진을 처음 사용한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어 북한의 이번 위성운반 로켓은 3단인 것 같다며 로켓을 수직으로 쏘아올리는 1단계에서는 엔진에 2개의 모터(motor) 즉 발동기가 있어야 하지만, 2단계과 3단계에서는 하나만 있어도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2단과 3단에서도 변형된 RD-250 엔진을 사용했을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RD-250 엔진은 러시아가 대륙간탄도미사일에 사용해왔는데 포스톨 교수는 북한이 이 엔진 기술을 1990년대 소련 붕괴 때 가져와 대륙간탄도미사일에 사용해왔다고 주장했습니다.

영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조지프 뎀프시 국방연구원도 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의 천리마 1 1단계 발사 엔진이 이중 분사구(nozzle)로 구성된 소련제 ‘RD-250’과 똑같은 거 같다고 말했습니다.

뎁시 연구원은 또 이번 위성발사 로켓에는 북한 대륙간탄도미사일인 화성-15형과 화성 17형 때에 사용했던 액체연료가 사용됐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그는 북한의 이전 우주발사체에 비교해 상당히 큰 페이로드 페어링’( payload fairing), 즉 발사체 상단의 위성을 보호하는 덮개는 북한의 다탄두 대륙간탄도미사일과는 상관없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포스톨 교수도 이 덮개는 로켓이 낮은층의 대기권을 통과할 때 공기와의 마찰로 가열되는 현상으로부터 위성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지 다탄두 대륙간탄도미사일 기술과는 무관하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독일 ST 애널리틱스의 미사일전문가인 마커스 실러 박사는 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의 신형 위성운반 로켓은 2단계에서 점화되지 않아 추락한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2단계에서는 그때까지 약 시간당 1 km로 날아오던 발사체를 새롭게 점화하면서 시간당 28,000 km속도로 날아가게 해야 하는데 점화가 되지 않으면 발사한 곳에서 약 100km 떨어진 곳에 추락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미 로켓 전문가 “북, 위성발사에 ICBM엔진 ‘RD-250’ 첫 사용” — RFA 자유아시아방송

 

미 로켓 전문가 “북, 위성발사에 ICBM엔진 ‘RD-250’ 첫 사용”

북한의 신형 위성운반 로켓인 ‘천리마1형’의 1단 발사에 사용된 엔진은 북한이 그동안 대륙간탄도미사일에 썼던 러시아제 ‘RD-250’인 것 같다는 미국 전문가의 분석이 제기됐습니다.

www.rfa.org

북한은 국영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31일 오전 6시 27분에 북서부에 있는 서해 위성발사장에서 군사정찰위성인 '만리경-1호'를 탑재한 로켓 '천리마-1형'을 발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발표에 따르면 로켓은 1단 엔진을 분리한 후 2단 엔진의 이상으로 추진력을 상실해 황해에 추락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군사정찰위성의 발사 때 사고가 발생했다"고 보도하고, 국가우주개발국 대변인이 "로켓의 신형 엔진 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떨어지고 사용 연료의 특성이 불안정한 데 사고의 원인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국가우주개발국은 "위성발사에서 발견된 중대한 결함을 조사해서 조속히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발표하고, 가급적 빠른 기간 내에 2차 발사를 단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의 신형 위성운반 로켓인 천리마1 1단 발사에 사용된 엔진은 북한이 그동안 대륙간탄도미사일에 썼던 러시아제 ‘RD-250’인 것 같다는 미국 전문가의 분석이 제기됐습니다. 북한은 미사일이나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중국의 베이더우 위성항법 시스템(BDS)보다는 러시아의 글로나스 항법 시스템 이용해오고 있습니다

위성항법 시스템은 중국의 베이더우 위성항법 시스템(BDS), 러시아의 글로나스, 유럽연합의 갈릴레오 시스템, 미국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전 지구 위치 파악 시스템)등입니다

한미일 연합군이  북한 군사정찰위성에 대하여 요격미사일을 발사한다면 북한 군사정찰위성의 2단계(2단)에서 실행한다면 요격이 가능할 것으로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