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우크라이나, 북한과 전격 단교 본문
우크라이나 정부가 13일 북한과의 단교를 선언했습니다.
우크라이나 외무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북한의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 등 공식 승인 조치를 언급하며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훼손하려는 시도로 간주한다"고 밝히고, 북한과의 모든 외교 관계를 끊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북한은 이날 앞서,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에서 친러시아 세력이 세운 DPR과 루한시크인민공화국(DPR)을 독립국으로 승인했습니다.
우크라이나 외무부는 이같은 북한 측의 조치가 "아무런 가치 없을 뿐 아니라 국제법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무효"라고 지적하고 "국제적으로 인식된 우크라이나 영토와 국경을 바꿀 수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북한-러시아 야합' 주장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은 이와 관련,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영토의 일부를 강제로 점령하는 것을 합법화해 달라고 북한에 요청했다"면서, 러시아와 북한이 야합 행위를 벌이고 있다고 비난했습니다.
이어서 "러시아는 재정적이나 정치적으로 의지하고 있는 나라를 제외하고는 동맹국이 없는" 고립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면서 "조만간 북한과 같은 수준으로 따돌려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신홍철 주러 북한 대사, DPR 외무장관 회동
데니스 푸실린 DPR 수반은 이날(13일) 앞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오늘 도네츠크인민공화국을 승인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어서 "도네츠크인민공화국의 국가 지위가 계속 강화하고 있다"며,"우리 외교의 또다른 승리"라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돈바스 주민들에게 보내준 커다란 지지"에 관해 북한 국민들에게 감사한다면서, 양측이 적극적이고 유익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러시아 매체들은 신홍철 러시아 주재 북한 대사가 올가 마케예바 DPR 대사에게 승인 문서를 전달하는 사진과 함께 관련 소식을 일제히 전했습니다.
DPR은 전날(12일) 러시아 모스크바에 대사관을 개설하고 공식 외교 활동에 나섰습니다.
이와 관련, 나탈리아 니코노로바 DPR 외무장관은 12일 "모스크바에서 북한 대사와 여러 차례 실무회담을 했다"고 밝혔습니다.
니코노로바 장관은 지난 5월에도 LPR 측과 함께 모스크바에서 신 대사와 만났으며, 협력 강화에 합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 친러 분리주의 세력
러시아는 지난 2월 우크라이나 도네츠크 주의 DPR과 루한시크 주의 LPR을 승인하고, 이들 지역 주민들을 우크라이나 정부의 탄압으로부터 보호한다는 목적을 우크라이나 침공 명분 가운데 하나로 내세웠습니다.
하지만 국제사회 대다수 나라들은 DPR과 LPR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DPR과 LPR을 독립국가로 승인한 것은 러시아와 시리아에 이어, 북한이 세번째입니다.
현지 매체들은 앞으로 북한 노동자들의 현지 파견 가능성 등을 관측하고 있습니다.
북한, 친러시아파 지역 독립국가 승인을 발표
북한 국영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주와 루한스크주에 있는 친러시아파 무장세력이 사실상 지배하고 있는 일부 지역에 대해, 최선희 외상이 13일 무장세력 측에 서한을 보내 독립국가로서 승인하기로 결정했다고 통지했습니다.
최선희 외상은 서한에서 "자주 평화 친선의 이념에 따라 국가관계를 발전시키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면서 관계 강화를 꾀할 의향을 나타냈습니다.
이에 대해 우크라이나 외무부는 성명을 발표해 "북한이 이른바 '독립'을 승인하는 결정을 한 것을 강력히 비난한다"면서 "우크라이나의 헌법과 유엔헌장, 국제법의 기본적인 규범과 원칙에 대한 중대한 침해"라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이러한 비우호적인 행위에 대해 우크라이나는 북한과의 국교 단절을 선언한다"면서 자국의 주권과 영토의 보전에 대한 침해에는 엄격히 대응해 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우크라이나의 이 지역은 지난 2월에 러시아가, 6월에는 시리아가 독립국가로서 일방적으로 승인한 바 있습니다.
'Guide Ear&Bird's Eye22 > 북한[P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 김정은 "위험한 시도시 윤석열 정권과 군대 전멸될 것" (0) | 2022.07.30 |
---|---|
북한, 신규 발열자 10명대 주장…반대로 '아사자'는 증가? (0) | 2022.07.27 |
북 외무성, NATO 비판하며 “국가방위력 강화 절실” (0) | 2022.07.04 |
"색다른 물건과 접촉"… 북한, 코로나19 확산 '남(南)탓' 했다 (0) | 2022.07.03 |
북 국경경비대, 연료난으로 해상경비정 운행 줄여 (0) | 2022.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