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북한 김정은 "강대강·정면승부 투쟁" 강조... 외교라인 재정비 본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국방력 강화'와 '강대강' 원칙을 재확인했다. 대미·대남 등 외교라인도 재정비해 눈길을 끌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8~10일 진행된 전원회의 확대회의에서 "자위권은 곧 국권 수호 문제"라며 강대강·정면승부의 투쟁 원칙을 재천명했다고 11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오늘 우리 국가의 안전환경은 매우 심각하며 주변정세는 더욱 극단하게 격화될 수 있는 위험성을 띠고 있다"며 "이같은 정세는 우리로 하여금 국방력 강화를 위한 목표 점령을 더욱 앞당길 것을 재촉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급변하는 국제정치 정세와 긴장국면 일로로 치닫고 있는 조선한반도지역의 안전환경에 대처하여 책임적이고도 필수적인 해당 조치들과 완강한 투쟁을 전개한 결과 국가안전에 대한 담보와 신뢰의 기초를 다지는 데서 역사적인 전진을 이룩했다"고 강조했다.
그가 언급한 '역사적 전진'은 최근 잇따른 탄도미사일 도발을 바탕으로 한 신형무기 개발에서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과시한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임박한 것으로 관측되는 추가 핵실험 등 핵 무력에 대한 언급은 없었고 한국이나 미국을 직접 겨냥한 위협 발언도 나오지 않았다.
최선희 외무상·리선권 통전부장 등 외교라인 재정비
'강대강'을 선언한 만큼 그에 맞게 주요 인사 개편도 단행됐다.
특히 북한이 핵실험 준비를 완료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대미 전문가이자 대미 강경 메시지를 발신하곤 했던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을 외무상에 전격 임명했다.
최선희는 2018년 싱가포르에서 열린 제1차 북미정상회담과 이듬해 하노이 제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핵심 역할을 해 북미협상의 주축으로 꼽혀왔다.
북한의 손꼽히는 대미 전문가이지만 북미관계가 대립할 때마다 전면에 나서 비난전을 펼쳤던 인물 중 하나다.
하노이 회담이 결렬된 직후에도 김 위원장의 생각을 대변하며 대미 비난 발언을 쏟아냈고 북미 갈등 때마다 대화 가능성을 일축하는 등 강경 입장을 내비쳤다.
북한 역대 외무상 중에서 여성은 처음이어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신임이 상당함을 알 수 있다.
또 전원회의에서 한국을 겨냥한 '대적투쟁' 강화를 언급한 가운데 리선권을 대남문제를 총괄하는 당 통일전선부장에 임명했다.

리선권은 남북관계 화해 시절이던 2018년 9월 평양 남북정상회담 당시 남쪽 기업 총수들에게 '냉면이 목구멍으로 넘어가느냐'라고 발언해 엄청난 비난을 사 남측에서는 대남 강경 인물로 꼽히는 인물이다.
이런 인물이 대남기구를 이끈다는 점에서 향후 남북간 긴장 수위가 더욱 높아지고 윤석열 정부를 향한 거친 '말폭탄'도 예상된다.
과거 김정일 집권 시절 남북 군사회담에 주로 참여하다가 김정은 체제 출범과 함께 최고권력기구인 당시 국방위원회의 정책국 부국장, 정책국장을 거쳐 2016년 국가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를 설치한 이후 조평통의 수장을 맡았다.
2019년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그해 12월 외무상에 임명됐으나 대외적 메시지보다는 외무상의 행정업무에 치중하는 모습이었고 2년 반 만에 '전업'인 대남분야로 복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해 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은 "북한의 대남정책을 총괄하는 통일전선부장을 만 76세의 김영철에서 상대적으로 훨씬 젊은 리선권으로 교체한 것은 세대 교체와 한국에서의 보수정권으로의 정부 교체를 고려한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어 "통일전선부장이 교체됨에 따라 향후 북한의 대남 공세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향후 제7차 핵실험을 계기로 남북한 간의 대립이 더욱 격화될 것을 염두에 두고 윤석열 정부에 대한 북한의 '강대강' 공세적 대응을 위한 진용 정비 성격이 크다"고 분석했다.
그는 아울러 "미국이 중국과의 전략경쟁에 계속 매달리고 미러 대립 상황이 지속하는 한 북한의 대중-대러 외교는 더욱 강화되고 북미대화를 기대하기는 더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북한 김정은 "강대강·정면승부 투쟁" 강조... 외교라인 재정비 - BBC News 코리아
7차 핵실험 등 핵 무력 언급이나 한국이나 미국을 향한 위협 발언은 없었다.
www.bbc.com
'Guide Ear&Bird's Eye22 > 북한[P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정은은 푸틴 대통령의 정책에 대한 "전폭적 지지"를 발표했다. (0) | 2022.06.12 |
---|---|
“북 주유소 157개…김정은 집권 뒤 100개 이상 늘어” (0) | 2022.06.12 |
북, 발열환자 7만명대..평양시 격리 완화 시사 (0) | 2022.06.05 |
북한 '코로나19 과학적으로 통제'...WHO '도움 요청했다' (0) | 2022.06.04 |
북한 김정은, 영국 여왕 즉위 70주년 축하 축전 보내 (0) | 2022.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