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예멘 후티 반군과 이란에 북한제 무기 다수…국제사회 큰 위협” 본문

Guide Ear&Bird's Eye/예멘

“예멘 후티 반군과 이란에 북한제 무기 다수…국제사회 큰 위협”

CIA Bear 허관(許灌) 2019. 9. 18. 09:09


유엔 예멘제재위원회가 지난해 보고서에서 공개한 예멘 후티반군의 단거리탄도미사일 탄두부. 위원회는 이 미사일이 북한 '화성-6' 미사일의 개량형일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원유 설비에 큰 피해를 준 드론 공격의 배후로 지목된 예멘 후티 반군과 이란의 주력 무기 중 북한제 무기가 상당수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북한의 중단거리 미사일 등의 해외 수출은 국제사회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아프리카 예멘의 친 이란 세력인 후티 반군은 지난 14일 사우디아라비아의 원유 설비에 대한 무인기 공격이 자신들의 소행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미국과 국제사회가 이란을 배후로 지목하면서 예멘 후티 반군과 이란의 무기 체계와 규모에 새삼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란과 후티 반군 세력이 상당한 수준의 미사일, 드론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고, 관련 기술을 중동 내 친 이란 세력에 이전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의 안보전문 매체 ‘내셔널 인터레스트’는 17일, 예멘 후티 반군과 이란의 주요 무기와 기술 상당수가 북한으로부터 이전 받은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이 매체는 후티 반군의 주력 무기가 사거리 700km 이상인 북한판 스커드 미사일인 화성 6호와 옛 소련제 스커드 미사일의 개량형인 부르칸이라며, 이들 무기가 전략적 위협 요소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국경을 맞댄 예멘과 이란은 자국 깊숙한 지역에서 정밀타격이 가능한 탄도미사일과 크루즈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이 북한과 러시아로부터 직접 수입하거나 기술을 이전 받았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지난 14일 드론 공격에도 소형 유도탄을 발사할 수 있는 장거리 무인기가 포함됐을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먼거리에서 드론을 원격 조종해 자국 영토는 안전한 상태에서 목표물을 공격하는 전략이 미사일 전략과 다르지 않으며, 관련 기술이 적용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입니다.

실제로 예멘과 이란이 북한과 무기 거래를 하고 있는 정황은 수 차례 지적됐습니다.

예멘에 대한 제재를 감시하는 유엔 안보리 산하 2140 예멘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은 지난 2017년 보고서를 통해 후티 반군이 북한의 73식 기관총을 보유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기관총들이 이란에서 유입됐고, 이를 이란에 공급한 나라가 북한이라고 확인한 것입니다.

보고서는 또 북한제 화성 5호 미사일의 복제본인 스커드 B 미사일 최소 90기가 예멘에 공급된 사실도 확인했습니다.

지난해 2월 공개된 유엔 전문가패널 보고서에서도 예멘 후티 반군이 북한의 미사일 기술을 이용해 단거리 탄도미사일의 사거리를 늘린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보고서는 2015년 후티 반군이 사우디아라비아의 주요 군사기지로 발사한 20여발의 미사일도 북한제 스커드 미사일의 개량형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결론지은 바 있습니다.

데이비드 맥스웰 민주주의 수호재단 선임연구원은 북한이 이란과 무기를 거래하는 것은 잘 알려진 일이라며, 단순한 무기 수출의 문제가 아닌 국제사회의 심각한 위협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북한의 무기와 기술이 이란을 거쳐 중동 내 친 이란 세력에 넘어가면서 중동 지역의 갈등을 높이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북한과 이란이 최근까지도 무기 거래를 하고 있으며 드론 기술도 공유하고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녹취: 맥스웰 선임연구원] “Anything we see in North Korea, we will eventually see in in Iran. They've been surveillance drones I mean one was shot, or crashed in 2017 had some 500 photographs of US Air Missile Defense Systems. So North Korea is developing these capabilities, they are truly a force multiplier for military forces, and I have no doubt that they are proliferating these two rogue regimes in the Middle East and Africa.

지난 2017년 한국에서 격추된 북한 무인기에서 미국의 미사일 방어시스템과 관련된 사진 수 백 장이 나왔고, 북한은 무인기 관련 기술을 이란과 공유해 중동과 아프리카에 위협을 확산시키고 있다는 것입니다.

맥스웰 선임연구원은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아래서도 여전히 북한의 불법 무기와 기술 이전이 횡행하는 것은 북한의 무기 확산에 대한 인식과 자원 투입이 결여됐기 때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녹취: 맥스웰 선임연구원] “No one is taking a concerted effort to halt it.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not focused sufficient resources on interdicting North Korea's weapons proliferation.

맥스웰 선임연구원은 북한의 무기 거래가 국제사회 질서를 어지럽히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새로운 제재 대신 기존의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 PSI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맥스웰 선임연구원] “They really need to reinvigorate the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There were 105 countries that signed on to that. But there really needs to be an aggressive effort for the intelligence communities to track North Korean shipping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use their navy, coast guard and law enforcement to be able to interdict North Korean shipping.”

맥스웰 선임연구원은 전 세계 105개국이 서명한 PSI를 통해 각국의 정보기관과 해군 등이 북한 선박의 불법 무기 거래를 근절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예멘 후티 반군

후티(아랍어: الحوثيون)는 예멘의 이슬람 자이디야 시아파 무장 단체이다.

2004년 지도자 후세인 알후티가 정부군에 사살된 이후 예멘 정부와 내전이 진행 중이며, 20151월 대통령궁을 장악하여 후티 반란을 성공시켰다. 그러나 대통령이 남부지역으로 도피하고 옛 남예멘 지역의 지방정부들이 후티를 따르기를 거부하자 예멘 전체를 놓고 내전이 진행 중이다. 이란, 시리아, 중화인민공화국, 레바논 헤즈볼라, 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팔레스타인 하마스 , 베네수엘라, 파키스탄, 쿠바등의 지지를 얻고 있다. 이란은 후티를 예멘의 정통 정부로 승인한 상태이다. 반면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유럽연합, 일본, 이스라엘, 한국, 캐나다, 인도 등과는 적대적이다

이념 

이슬람 자이디야 시아파

반제국주의

반시온주의

반미주의

지하드주의


*후티 쿠데타

후티 쿠데타는 2014년에 후티가 일으킨 쿠데타이다. 921일 혁명이라고도 한다.

921일에는 후티 반군이 사나를 장악했다. 이후, 후티 반군과 정부군, 후티 반군과 알카에다 사이의 충돌이 잇다르고 있다.

 

2015120, 반군이 대통령 관저를 공격하고 대통령궁을 장악했다. 정보장관 나디아 알사카프에 따르면 대통령 압드라보 만수르 하디는 대통령궁 내부에서 30분 동안 거대한 포격을 받았지만, 경비원의 보호에 따라 무사히 다치지 않고 보호받았다고 말했다. 대통령 경호원은 하디 대통령이 안전하게 떠날 수 있음을 보장받은 이후 항복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이 반란으로 일어난 사건에 대해 긴급 회의를 진행했다. 유엔 사무총장 반기문은 예멘에서 "상황 악화"를 우려하고 적대적 행위를 중단하기 위해 모든 측면에서 노력할 것을 촉구했다. 122, 대통령 압드라보 만수르 하디와 총리 칼레드 바하흐는 의회에 사임을 내고 어떠한 보도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다.

 

26, 후티는 임시 헌법을 발표하며 의회를 해산하고 551명으로 된 새 의회를 구성하며, 151명의 대통령 위원회를 설치해 2년간 정부 역할을 맡게 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하디 대통령은 남예멘의 옛 수도 아덴으로 이동하여 자신이 아직까지는 헌법상의 대통령(예멘 헌법상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대통령의 사임 효력이 생기는데 후티가 의회를 해산하면서 의회가 사임안을 승인하지 않았으므로)이며 후티의 통치는 불법이라고 밝혔다. 서방 국가와 동아시아 국가, 아랍 국가들은 후티의 통치를 불법으로 보고 사나에 있는 대사관을 폐쇄하고 아덴으로 옮겼다. 그래서 사실상 아덴을 중심으로 한 예멘 정부와 사나를 중심으로 한 후티 정부로 사실상 분단이 되었다. 오직 시아파 근본주의 국가 이란만이 후티 정부가 합법이라고 인정하고 있다.




-예멘 후티 반군은 이란 시아파정부의 지하조직이다 이란은 시아파 이슳람근본주의 국가이다[이슬람 혁명 이념 및 이슬람 원리에 입각한 이슬람 지상주의 사회의 구현을 목표로 함]

러시아는 과거(구소련 시절) 이란에 군사기지를 두었고   중화인민공화국 실용주의자 등소평정부는 이란 이라크전쟁 때 스탈린주의자 아랍 사회당(바트당) 후세인 정부보다도 이란 혁명 정부를 군사적, 경제적으로 지원했다[이란과 이라크 전쟁때 미국과 사우디정부는 이라크정부를 지원했다]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공식적,실질적으로 모든 체제가 확립되었다. 그후 체제가 완전히 자리 잡혀 최고지도자는 간선제 투표를 통해 뽑고, 임기는 종신제이며 그의 하부 구조를 이루는 대통령과 국회는 모두 직선제 투표를 통해 구성한다. 그리고 최고지도자는 정치,경제,사회, 외교 등 국가 전반에 막강한 권한과 무한한 권력을 행사할 수 있다. 또 대통령은 정상회담등 외교 문제를 직접 주관하며, 국회는 탄핵을 결의할 수 있다. 또한 대통령과 여당은 야당과 세력 균형을 이루며, 또 서로 정책을 합의하여 정책을 추진한다. 또 입법부, 사법부, 행정부가 삼권 분립을 이룬다. 그리하여 최고지도자의 권력은 막강하고 무한하며 대통령과 국회는 권력을 분할하여 나눠 가지고 또 국민이 직접 투표해서 뽑는다는 점에서 대통령제와 신정 체제가 혼합되어 독특한 정치 체제가 확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란정부의 군사정책은 2차대전때 일본정부, 중국이나 북한처럼 군정분리주의 국가이다

이란정부도 군국주의, 국가사회주의(이슬람 사회주의 국가) 이론 군정분리주의(군 통수권-최고 지도자, 군 통수권의 행정부 수반에서 독립)  군사정책을 청산하고 군정통합주의(군 통수권-행정부 수반) 군사정책으로  전환이 돼야 경제국가로 나아갈 수 있다고 봅니다

 군정분리주의 군사정책은 내각(행정부)이나 의회 통제 밖에서 각종 군사작전이 일어날 수 있으며  군벌(군부 지도자)이 군사정책을 좌지우지할 수도 있습니다

이란정부는 군정분리주의 군사정책으로 최고지도자가 군 통수권자로 이란군 합참의장, 이슬람혁명수비대장, 군사령관 등 임면권자입니다 그러니 행정부 수반인 대통령은 이란군에 대해서는 아무런 권한이 없습니다

이란정부도 군정통합주의 군사정책으로 전환하여 군 통수권자를 행정부 수반 대통령이 될 때 이란 군사정책이 이란 의회 통제와 함께 이란 국방부 주도로 추진될 것입니다

이란정부의 자유선거와 대통령의 임기제한은 개혁개방과 경제국가로 나아가는데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국가사회주의[國家社會主義]  

현재의 국가 제도를 유지하면서 국가 권력의 적극적인 간섭을 통해 자본주의의 폐단을 극복하려고 하는 사상.

자본주의 체제에는 많은 모순이 내재해 있는데 자본주의 그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권력의 발동을 통해서 부와 소득의 공정한 분배와 노동조건을 개선하며, 나아가서 주요산업의 국유화와 사회정책의 실시에 의해서 노사관계의 원활화를 도모하려는 적극적인 사회개량주의를 근저로 한 체제를 국가사회주의라고 한다

*군국주의[軍國主義]

국가의 가장 중요한 목적을 군사력에 두고, 전쟁 준비를 위한 정책을 최상위에 두려는 정치 체제.

군사력에 의한 대외적 발전을 국가의 중요한 목적으로 생각하여 정치, 경제, 문화, 교육 등의 사회 구조나 국민의 생활 양식을 전면적으로 군사력 강화에 종속시키는 체제나 입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