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북한, 핵폭탄용 플루토늄 재처리 재개 본문
북한 원자력연구원이 영변에서 핵무기 원료인 플루토늄의 생산을 위한 재처리를 재개했다고 밝혔다고 교도 통신이 17일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북한 원자력연구원은 교도와 가진 서면 인터뷰에서 이같이 확인하고 미국에서 노골적인 위협이 계속되는 한 핵실험을 중단할 계획이 없다고 천명했다.
원자력연구원은 영변 흑연 감속 원자로에서 폐연료봉을 꺼내 재처리해왔다고 설명했다.
또한 원자력연구원은 핵무기와 원자력 발전을 위해 필요한 고농축 우라늄을 '계획대로' 생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북한이 2013년 원자로 재가동 방침을 선언하고서 플루토늄 추출을 위해 폐연료봉 재처리 작업을 진행한다고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로써 북한은 국제사회의 제재를 무릅쓰고 핵무기 개발과 증산을 가속할 자세를 분명히 한 셈이다.
북한은 6자회담 합의에 따라 2007년 7월 원자로와 재처리 시설의 가동을 정지했다.
그후 주요 시설을 해체하는 등 '불능화 조치'에 나섰지만 이번 재처리 재개로 합의를 완전히 백지화했다.
아울러 원자력연구원은 핵탄두의 '소형화, 경량화, 다양화'를 달성했으며, 수소폭탄 보유에 도달했다고도 경고하기도 했다.
다만 원자력연구원은 플루토늄과 농축 우라늄 생산량에 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원자력연구원은 전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경수로 원전 건설을 진행할 것이라며, 출력 10만kw의 실험용 경수로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제임 클래퍼 국가정보국(DNI) 국장은 지난 2월 위성사진 판독 등을 통해 북한이 수주일에서 수개월 이내 플루토늄 생산이 가능한 단계에 있다고 보고했는데, 이번에 사실로 확인됐다.
북한은 1년간 핵무기 1~3개 분량에 상당하는 플루토늄 약 6kg 안팎을 추가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는 추정하고 있다.
'수소핵폭탄(핵탄두) 실험과 KN-08'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중일 외교장관 "북한 미사일 도발 용인 안 돼…국제사회 대응 주도" (0) | 2016.08.25 |
---|---|
북한, 동해상 SLBM 1발 시험발사...500km 비행·기술 진전 (0) | 2016.08.24 |
한미일, 싱가포르.쿠웨이트. 앙골라. 몰타 등 4개국에 독자 대북제재 요청 (0) | 2016.08.22 |
아베, 오바마에 ‘핵 선제 불사용 선언’ 반대 전달 (0) | 2016.08.22 |
북, 동해로 노동 미사일 발사 (0) | 2016.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