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북한, 무수단 미사일 시험발사…"공중 폭발, 실패 추정" 본문
지난 2010년 10월 평양에서 열린 노동당 창건 65주년 기념 열병식에 등장한 이동식 중거리 탄도미사일. '무수단' 미사일로 추정된다. (자료사진)
북한이 태양절인 오늘 (15일) 새벽 무수단 미사일 발사를 시도했지만 공중 폭발한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한국 군 당국은 북한이 조만간 또다시 도발을 할 것으로 보고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15일 새벽 5시 30분쯤 동해안 지역에서 무수단 미사일 1기를 시험발사했으며 실패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15일 밝혔습니다.
북한이 쏘아 올린 미사일은 발사가 예상됐던 중거리 탄도미사일인 ‘무수단 미사일’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이 지난 2007년 실전배치한 무수단 미사일을 시험발사한 것은 10여 년 만에 처음입니다.
미-한 정보 당국은 발사된 무수단 미사일이 이동식 발사대를 벗어나 수 초 만에 레이더에서 사라져 공중 폭발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의 국책연구기관인 국방연구원 김성걸 박사의 설명입니다.
[녹취: 김성걸 박사 / 한국 국방연구원] “폭발은 레이더로 보기 때문에 미사일이 나가면 레이더 화면에 반짝이는 물체가 하나 있을 거 아닙니까, 레이저 파를 쏴서 반사돼 오는 물체, 그게 몇 초 동안에는 그 지역을 쏴서 그 반사되는 물체가 있었는데 몇 초 지나니까 그 물체가 레이더 화면에서 그게 사라진 겁니다. 그 사라진 것을 볼 때 공중 폭발이 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실패했다…”
한국 정보 당국의 한 관계자 역시 미사일이 발사된 지 수 초 만에 사라졌으며 공중 폭발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분석 중이라고 말했다고 한국의 `연합뉴스'가 보도했습니다.
북한은 김일성 주석의 생일인 4월 15일 태양절을 맞아 무수단 미사일 발사를 통해 축제 분위기를 조성하려 했지만 일단 실패한 것으로 보입니다.
서재진 전 통일연구원장은 북한이 다른 날도 아닌 태양절에 미사일 발사에 실패했기 때문에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녹취: 서재진 전 통일연구원장] “북한체제 자체의 어떤 실패에 대한 상징일 수 있다, 타이밍이 태양절이라는 날짜를 잡아서 했다는 그게 엄청난 의미 부여를 한 것인데, 그것도 자기들이 만든 게 아니라 소련에서 가져온 거니까 백발백중일 거라 생각했지만, 이제 실패한 거니까 엄청난 타격이 있는 거죠."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번 무수단 미사일 발사가 실패가 아닐 가능성도 제기됐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군사안보 전문가는 레이더에 포착된 미사일이 중간에 사라졌다는 것은 폭발했을 가능성이 크지만 북한이 처음부터 무수단 미사일의 사거리를 목표로 쏘아올린 게 아니라, 첫 시험발사인 만큼 발사 자체에 목적을 뒀을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전문가는 북한이 지난해 5월 시험발사한 잠수함 탄도미사일, SLBM의 수중 사출시험을 예로 들며, SLBM의 사거리가 2천km에 이르지만 당시 북한은 새로 개발한 SLBM이 물 밖으로 제대로 나가는지 여부만 시험했다고 강조했습니다.
당시 SLBM 수중 사출시험처럼 이번에도 무수단 미사일의 첫 시험발사를 사거리 테스트가 아닌, 발사 시험 자체를 목표로 했을 가능성도 있다는 겁니다.
이 전문가는 하지만 북한의 무수단 미사일 시험발사가 발사 자체에 목적이 있었더라도 다음에는 좀 더 긴 사거리를 목표로 또다시 발사를 시도할 것이고, 이번 발사가 실패했다고 해도 그 실패 원인을 분석해 오는 5월 7차 당 대회 이전에 또다시 도발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 전문가는 아울러 북한과 이란이 미사일을 공동 개발하고 있다면서 이 무수단 미사일이 이란에서 한 차례 시험발사된 적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앞서 북한은 지난 1월 4차 핵실험을 시작으로 2월 초 장거리 미사일, 3월 초 중, 단거리 발사체를 잇달아 발사했으며 지난달 18일에는 노동미사일 2 발을 발사했지만 1발은 공중에서 폭발했습니다.
한국 군 당국은 북한이 오는 25일 북한 군 창건일에 이어 다음달 초 열리는 7차 당 대회를 맞아 추가 핵실험이나 탄도미사일 추가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대비태세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한상미입니다
북한, 동해안 지역 미사일 발사 시도…'실패' 추정
2010년 10월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린 조선노동당 창건 65주년 기념 열병식에 등장한 '무수단' 추정 미사일.
북한이 김일성 주석의 생일인 15일 동해안 지역에서 미사일 발사를 시도했으나 실패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한국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이날 "북한이 오늘 새벽 5시 반 동해안 지역에서 미사일 1발 발사를 시도했으나, 한미 군당국이 공동평가한 결과 실패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군 관계자는 미사일이 정상적인 궤적으로 날아가지 않았다며, 공중 폭발했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이 발사를 시도한 미사일은 무수단 미사일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이 2007년 실전배치한 무수단 미사일 발사를 시도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무수단 미사일은 사거리가 3천~4천㎞에 이르는 중거리 탄도미사일로 일본 전역과 괌 미군기지도 사정권에 두고 있습니다.
한국 군은 북한이 강원도 원산 호도반도에 배치한 무수단 미사일 2기 중 나머지 한 기를 또 발사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고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이 발사체를 쏜 것은 이달 1일 함경남도 선덕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단거리 지대공미사일 3발을 발사한 이후 14일 만입니다.
앞서 미국 CNN 방송은 미국 관리들을 인용해 북한이 무수단 미사일뿐 아니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인 KN-08을 발사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 국방부도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했지만 실패한 정황을 포착했다고 14일 밝혔습니다.
미 국방부는 성명을 통해 이날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시도한 정황을 전략사령부에서 감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AADC)에 따르면 이 미사일은 북미지역에 위협을 가하지 못했다고 국방부는 덧붙였습니다.
전략사령부 대변인은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의 정확한 종류는 아직 정확히 파악되지 않았다면서 "아마도 북한이 스스로 설명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백성원 입니다.
威信かけた「ムスダン」発射 失敗で厳罰は不可避か 発射数秒後に空中爆発の可能性
韓国軍合同参謀本部によると、15日午前5時半(日本時間同)ごろ、北朝鮮の日本海岸地域から、新型の中距離弾道ミサイル「ムスダン」(射程2500~4千キロ)とみられるミサイル1発が発射されたが、失敗したもようだ。ムスダンの発射は初めて。北朝鮮最大の祝日である同日の太陽節(金日成=キム・イルソン=主席生誕記念日)に合わせて発射したとみられる。
聯合ニュースによると、ミサイルは発射の数秒後に韓国軍のレーダーから消えたという。韓国軍は空中爆発したと分析しているが、北朝鮮がミサイルの追加発射や核実験などを強行する可能性もあるとみて、警戒・監視を続けている。
聯合ニュースは韓国政府筋の話として、車両発射台に載せたムスダン1~2基が東部の元山(ウォンサン)付近に展開されていると報じていた。
日本全域のほか米グアムも射程に収めるムスダンは移動式弾道ミサイルで、発射の位置や兆候を事前に把握するのが困難とされる。韓国軍はすでに約50基が実戦配備されたとみている。
北朝鮮がミサイルを発射するのは、今月1日、短距離の地対空ミサイル3発を日本海に向けて発射して以来2週間ぶり。このときも2発が失敗したと分析されている。北朝鮮最大の祝日での発射失敗が事実であれば、関係者の厳しい処罰は避けられないとみられる。
米国防総省は14日、北朝鮮がミサイルを発射したものの、失敗したとの分析を確認した。北米航空宇宙防衛司令部(NORAD)がミサイルの発射と軌跡を探知、追跡した結果で、米国への脅威はないと説明した。国防総省は北朝鮮に対し、「地域の緊張をさらに高める行動を自制し、(核・ミサイル開発の放棄という)国際的な義務を履行する」ことを要求した。
'수소핵폭탄(핵탄두) 실험과 KN-08'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북한 5차 핵실험 유력 징후-예의주시 (0) | 2016.04.17 |
---|---|
멕시코, 북한 선박 무두봉 몰수 결정 (0) | 2016.04.16 |
미국 "중국 대북 금수품 발표, 제재 이행 진전" (0) | 2016.04.08 |
중국 상무부, 대북한 수출입 금지품목 전격 발표 (0) | 2016.04.06 |
EU “대북 수출입∙금융제재 확대” (0) | 2016.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