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안철수 서울시장 불출마..박원순으로 단일화 본문

-미국 언론-/아시아뉴스

안철수 서울시장 불출마..박원순으로 단일화

CIA Bear 허관(許灌) 2011. 9. 6. 18:06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와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 대학원장이 6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지하 한 음식점에서 서울시장 보궐선거 후보 단일화에 관한 입장을 발표한 뒤 포옹하고 있다(연합뉴스)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은 6일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 불출마를 선언하고 박원순 변호사(희망제작소 상임이사)에 대한 지지 의사를 밝혔다.

   또 박 변호사는 한명숙 전 총리,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과 이날 전격 회동을 갖고 야권후보 단일화를 통한 한나라당과의 1대1 구도 구축에 합의하면서 서울시장 선거전 양상이 급변하고 있다.

   안 원장은 이날 오후 세종문화회관에서 박 변호사와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박 변호사가 우리 사회를 위해 헌신하면서 시민사회 운동의 새로운 꽃을 피운 분으로 서울시장직을 누구보다 잘 수행할 분이라고 생각한다"며 "나는 이번 서울시장 보선에 출마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안 원장은 "저에 대한 기대가 크다는 것도 안다. 제게 보여준 기대 역시 우리 사회의 리더십에 대한 변화 열망이 저를 통해 표현된 것으로 여긴다"고 말했다.

   박 변호사는 "안 원장과 서로 진심이 통해 정치권에서 볼 수 없는 아름다운 합의를 했다"면서 "훨씬 더 큰 책임감을 느끼며, 우리 시대를 새로운 시대로 바꾸는 일을 하고 싶다"는 포부를 피력했다.

   공동회견에 앞서 두 사람은 이날 시내 모처에서 회동, 후보 단일화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두 사람 간 후보 단일화가 이뤄짐에 따라 서울시장 보선의 구도와 판세가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들고 있으며, 내년 총선과 대선 구도에도 적지 않은 변수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민주당 등 야권이 통합후보 선출 작업을 가속화하는 데 맞서 한나라당은 외부 영입 등을 통한 중량감 있는 후보를 물색할 방침이어서 향후 선거전은 예측불허의 혼전을 거듭할 것으로 관측된다.

   나아가 안 원장이 이번 과정을 통해 상당한 지지기반을 확인함으로써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와 정몽준 전 대표, 민주당 손학규 대표,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 등으로 짜여진 내년 대선 구도에도 적지 않은 변화가 예상된다.

   일각에서 서울시장 선거는 박 변호사, 대선은 안 원장이 나서는 `역할분담론'이 제기되면서 이들을 중심으로 `제3정당 창당론'도 흘러나오고 있다.

   안 원장은 회견에서 대선출마설에 대해 "(박 변호사와) 논의하지 않았다. 생각해보지 않았다"고 일단 선을 그었다.

   한나라당 김기현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지난 며칠간 국민을 혼란시켰던 강남좌파 `안철수 파동'은 결국 좌파 단일화로 막을 내렸다"며 "정치적 소신이나 정책과 무관하게 선거를 위해 밀실 야합하는 단일화쇼"라고 비판했다.

   민주당 이용섭 대변인은 "두 분의 결정은 야권통합과 서울시장 후보 단일화를 향한 큰 진전"이라며 "모든 민주진보진영 후보들이 단일화를 이루는데 뜻을 함께해 서울시민의 성원에 보답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choinal@yna.co.kr


`안철수 지지' 이끌어낸 박원순은 누구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 후보단일화 협상에서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양보를 이끌어내 단일후보가 된 박원순(55) 변호사는 국내 시민단체 운동의 선구자이다.

   1995년∼2002년 대표적 시민단체인 참여연대 사무처장으로 활약하며 대기업 주주총회에서 `소액주주 권리찾기' 운동을 벌이는 등 사회개혁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소탈한 외모지만 대쪽같은 성품의 인권 변호사로 유명하며,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96년 `아시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막사이사이상을 받았다.

   박 변호사는 이른바 `긴급조치 9호세대'로 1975년 서울대 법대 1학년 재학시절 유신체제에 항거해 할복한 고(故) 김상진 열사의 추모식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투옥, 제적된 뒤 단국대 사학과로 적을 옮겼다.

   80년 사시 22회에 합격, 대구지검 검사로 1년여 근무하다 옷을 벗고 인권변호사로 변신했다.

   권인숙 성고문사건, 미국 문화원 사건, 한국민중사 사건, 말지(誌) 보도지침 사건, 서울대 우조교 성희롱사건 등의 변론을 맡았다. 국민연금 노령수당 청구소송을 승소로 이끌며 `생활 최저선'이라는 개념을 처음 도입하기도 했다.

   참여연대 사무처장과 상임집행위원장을 역임한 데 이어 2002년부터 아름다운재단과 아름다운가게 상임이사를 맡아 활발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쳐왔다.

   여론조사에서 압도적인 1위를 달리던 안 원장이 `마음 속 응원자'라며 애정을 나타냈고, 결국 후보직을 양보할 만큼 깊은 친분을 키운 것은 아름다운가게의 사회공헌 활동이 계기가 됐다.

   박 변호사는 6일 후보단일화 기자회견에서 "안 원장과는 오랜 세월 동안 서로가 공유할 수 있는 것이 많았다. 잠깐의 대화로도 서로의 진심이 통했다"면서 "앞으로 이 아름다운 관계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고마움을 표시했다.

   k0279@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