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생각의 노예가 되지 말라 본문

-平和大忍, 信望愛./韓中日 동북아역사(한자언어문화권)

생각의 노예가 되지 말라

CIA Bear 허관(許灌) 2007. 12. 2. 17:29

현대생활에서 많은 사람들은 저도 모르게 남들의 통제를 받고 "생각의 노예"가 되기 쉽다. 그들은 자기가 혐오하는 일을 하고 좋아하지 않는 환경에서 생활하며 자기의 소원과 틀리는 일에 매달려 있다. 여기에서 "생각의 노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거기에 따르는 대처방법을 소개한다.

1. "남들이 어떻게 생각할까"하는 생각의 노예

이런 생각은 제일 보편적인데 창조력과 인격에 모두 파괴성을 띄고 있는바 심리가 성숙되지 못한 사람들한테서 잘 나타난다. "내가 말이 많으면 남들은 내가 나서기를 좋아한다고 생각할것이다", "내가 이 일을 하면 남들이 비웃을것이다" 등등 남의 생각을 먼저 고려하는것은 남의 사유의 노예가 되기 싶다. 이런 사람들은 자격이 그닥지 않은 사람들의 충고에도 귀가 솔깃해져 창조력에 심각한 영향을 입게 된다.

대책:

(!) 만약 남을 모방하는것을 통해 마음이 유쾌해진다면 그대로 계속 모방하는것도 좋다. 그렇지 않다면 자기의 방식대로 살아야 한다.

(2) 남들의 관점과 비평, 질책을 이지적으로 대해야 한다. 직위가 높을수록 남들의 화제가 되기 쉽고 비평을 받을 기회도 더 많아지기 마련이다.

(3) 떳떳하게 행동하고 남을 돕기를 즐기며 뜻이 맞는 사람과 친구로 사귀어야 한다.

2. "필연코 실패한다"는 생각의 노예

이런 생각을 가진 사람들은 자아의식이 부족해 자신을 너무 보잘것없이 평가하며 자기를 똑바로 알지 못한다. 그들은 늘쌍 자기에게는 기회가 없다던가, 난 꼭 실패한다던가, 주위 사람들이 자기와 맞서고 있다던가, 상사가 자기를 중시하지 않는다던가 등 불만으로 가득 차있다. 사실 생각 자체가 일의 발전을 좌우지할수 있는바 어떻게 될것이다는 생각이 깊어지면 정말 그렇게 되기 싶상이다.

대책:

(1) 양호하고 적극적이고 건설적인 단어로 자주 자신을 일깨워주면서 자신감을 키워야 한다. 평소에 될수 있는한 "어떻게 하면 할수 있을까"하는 쪽으로 생각을 많이 해야지 "왜 할수 없는가"하는 생각에서 맴돌지 말아야 한다.

(2) 머리속에 늘 "나는 성공할것이다", "나는 승리자이다"라고 생각함으로서 필승의 신념을 북돋아주고 성공에 유리한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3. "시기가 너무 늦었다"라는 생각의 노예

이런 생각의 노예는 어느 연령단계에서는 응당 어떤 일을 해야 한다고 여긴다. 예를 들면 자신은 좋은 기회를 놓쳤으므로 앞날을 하늘의 뜻에 맡길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던가, 이미 26살이 다 됐으므로 다시 공부할수 없다는 생각, 40살 나이에 재혼은 불가능하다는 등등의 생각이다.

대책:

(1) 연령의 제한에 구애받지 말고 생활속에서 새로운 본보기를 찾아야 한다.

(2) 눈앞의 안일만 바라고 그럭저럭 살지 말고 계획있게 자신의 목표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4. "안전감"의 노예

많은 사람들은 소위 "단체급식"을 원할지언정 개혁은 부정하는데 이런것이 바로 전형적인 "안전감의 노예"이다. 상상력이 결핍한것은 이런 사람들의 공통된 심리적특징이다. 사실 위험이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것으로서 생존과 발전이란것은 부단히 분투하고 끊임없이 비안전적인 요소들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대책:

(1) 생활을 풍부하고 다채롭게 만들어야 한다.

(2) 난관이 있어야 돌파가 있고 압력이 있어야 분투가 있다. 여러가지 곤란과 보기 드믈고 미지의 사물에 대처하는것을 배워야 한다.

5. "과거의 착오"의 노예

마음이 과거의 실패와 상처에 사로잡혀 새로운 경험을 두려워하는것이 그 주요한 특징이다. 뱀에게 한번 물리면 십년동안 밧줄을 무서워한다는 말이 있다. 그들은 실패때문에 의기소침해지기만 할뿐 실패속에서 경험과 교훈을 얻으려고 하지 않는다. 과거의 착오에 너무 집착하는것은 탐색능력에 손상을 줘 진보하지 못한다.

대책:

(1) 실패를 일종의 투자로 간주하면 손실을 입었다는 생각이 없어진다. 사람들은 에디슨이 전구를 발명하기 위해 9999차례 실패했다고 말하지만 그 본인은 자신이 9999가지 적용할수 없는 방법을 알았다고 생각한다.

(2) 만약 적시적으로 틀린점을 깨달았다면 그것은 착오라 말할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