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남파간첩 장민호와 <일심회>비밀조직이 드러난 사건을 보고 이런 생각이 든다. 지금도 북한에는 반간첩 투쟁을 국시로 내세우고 매해 “5월과 11월은 반간첩 투쟁월간이다”라는 구호를 가는 곳마다 공공장소는 물론 붙일 수 있는 자리라면 어디든 다 붙여놓는다. 그리고는 이 기간에 반탐영화를 계속 방영한다.
그런데 남한은 김대중 정권이 들어서면서부터 방첩을 무시하고 마치 북한을 이웃 대하듯 하였다. 그러나 북한은 어떤가? 북한에는 전문 간첩들을 육성하는 대학이 있다. 그 이름이 바로 김정일 군사대학이다. 이 대학은 처음에는 송도대학으로 불리다가 김정일 군사대학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만큼 김정일의 이름을 붙일 정도로 이 대학의 비중을 높였다는 것이다.
남한에 침투되거나 해외에 파견되는 공작원들은 이 대학을 졸업하여야 한다. 간첩양성학교는 김정일 군사대학 외에도 130학교가 있다. 여기에는 월북자나 납북자들이 교관이다. 납북자 김영남씨도 아마 이런 교육기관의 교관일 것이다. 북한에는 대남공작을 위한 부서가 많다. 중앙당 35호실, 중앙당 대외연락부, 중앙당소속의 통일전선사업부, 조사부, 작전부와 평양, 남포, 원산, 청진, 사리원, 등 8개의 중앙당 연락소가 있다.
또 인민무력부에 정찰국과 국가안전보위부에서도 간첩을 파견한다. 김정일 군사대학에는 1년제와 2년제 4년제로 되어 있으며 특설반이 있다. 이 특설반에는 해외에서 흡수된 간첩들을 데려다 단기간 속성교육을 주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번에 남파간첩으로 드러난 장민호도 이 특설반에서 교육을 받았을 것이다.
김정일 군사대학에는 중앙당 5과에서 엄정히 선발한 사람을 입학시키며 이들은 가족들조차 어디로 갔는지 알 수 없다. 일단 5과에 선발되면 그들의 집에서 본인사진을 회수하여 외부에 알려지지 않도록 조치한다.
대학을 졸업하면 일단 초대소에서 임무가 정해질 때까지 휴식한다. 그들은 결혼도 제 마음대로 하지 못하고 당에서 붙여주는 여자와 결혼을 한다. 90년대 초반까지 공작원들은 공작지가 어디인가에 신경을 많이 썼다. 왜냐면 남한이 아닌 다른 나라들에 파견되면 공작을 하다가 간첩으로 붙잡힌다 해도 추방되거나 감옥생활을 좀 하면 끝나지만 남한에 침투했다가 붙잡히게 되면 무조건 자살을 해야 한다고 교육을 받았기 때문이다.
김대중 정권시기부터 북한의 대남공작은 그야말로 순풍에 돛단배마냥 실적을 올렸다. 2001년 4월 남포시 와우도구역에 위치해 있는 중앙당 218연락소에 간적이 있다. 218연락소는 1983년 전투원들을 파견해 미얀마의 아웅산 묘소 폭파암살사건을 주도한 부서이다.
연락소의 모 간부와 술자리에서 그가 한말이 생각난다. 그는 나에게 “김대중이 대통령자리에 올라가니까 참 일하기가 좋다. 그전에는 남조선에 공작원을 침투시키기가 힘들었는데 지금은 식은 죽 먹기다. 국적 세탁만 하면 그만이니까. 안기부가 국정원으로 바뀌더니 걔(국정원요원)들이 일을 하지 않아도 김대중이가 돈을 주는 모양이다.”라고 웃으며 말했다.
한국에 와보니 그 사람의 말이 그럴듯하다고 여겨진다. 정부의 요직에 있는 사람들까지 방북을 하지 못해 안달아 하고 북한에 돈을 보내지 못해 몸살을 앓고 있는 것을 보니 말이다. 이 나라는 남파간첩보다도 더 북한을 위해 일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번 “일심회사건”을 계기로 정부당국자들은 정신을 차려야 한다. 이번에 북한의 조국평화통일위원회대변인 담화라는 데서 남한을 위협 공갈하는 김정일의 의도가 낱낱이 드러났다. 승냥이가 절대로 양이 될 수 없듯이 김정일의 대남적화정책은 절대로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유용남 [2005년 탈북]
*북한군 지도부 형성하고 있는 김일성군사종합대학 그리고 주요 군사대학 자료
북한정부는 1930년대 일본정부처럼 병정분리주의 국가로 군 통수권자는 국방위원회 위원장이고 국가수반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다 그리고 행정수반은 내각 총리이다 일본 군국주의처럼 북한정부 실권자는 국방위원회와 국방위원회 위원장이다
북한 최고 군사지도기관은 국방위원회이며 국방위원회 위원장이 일체의 무력을 지휘. 통솔하고 국방사업의 전반을 지도한다 그리고 국방위원회의 직접 통제를 받는 인민무력부 총참모부가 실제적인 북한 군사지휘 체계의 주축을 이룬다 북한은 총참모장이 지상군의 각 군단, 전차군단, 포병군단, 경보교도지국과 해.공군 사령부는 직접 지휘 통제하는 단일군 지휘체계를 갖추고 있다 현재 김정일 노동당 총비서는 인민군 총사령관, 국방위원장으로서 북한의 무력일체를 장악하고 군정권과 군령권을 행사하고 있는 북한정부의 실권자이다 필요시에는 총참모부 작전국장에 직접 작전명령을 하달하는 단독 지휘축선도 보유하고 있다 단,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북한정부의 대표하는 의례적 상징적 권한과 외교권등을 행사하는 국가수반은 아닌다 국가수반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김영남 위원장이다 1992년 4월에 수정한 제7차 사회주의 헌법에서는 중앙인민위원회에서 국방위원회를 독립, 확대하여 국방위원회를 신설하고 주석 대신 국방위원장이 일체의 무력을 지휘통솔하도록 규정하였다 그러나 지난 1998년 개정헌법에서는 국방위원장이 국방사업 전반을 지도하고 나아가 국방부문 중앙기관의 설치나 폐지를 주도할 수 있도록 권한을 강화시켰다 북한의 국방위원회는 형식적으로는 제2차 세계대전때 천황직속으로 내각을 누르고 전권을 장악했던 일본의 전쟁지도기구인 대본영(大本營)을 방불케 하나 실질적으로는 국방위원장을 위한 회의체 성격이 짙다
1.김일성군사종합대학 북한에서 "김일성 군사종합대학"은 중대장급 이상의 군사 지휘관에 대한 직무별 보수교육을 점담하는 최상급 군 교육기관으로 남한의 육.해.공군대학과 국방대학원을 합친 것과 유사하다 이 대학은 1950년 한국전쟁 중 김일성이 지휘관들을 수시로 재교육하기 위한 의도로 1952년 <고급군사학교>로 설립되었으며 1967년 경 현재의 명칭으로 개명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평양특별시 만경대 구역에 약 30만평 규모로 자리잡고 있으며 김일성. 김정일 혁명사상 연구실, 강의동, 실습동 등 제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교직원은 약 6백여명이며 학생수는 2천여명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총장은 최인덕 인민군 차수가 1982년부터 맡아왔으나 2003년 8월 그가 사망한 뒤 후임자가 확인되지 않았다가 조선중앙방송의 2005년 2월 8일 평양 인민문화궁전에서 열린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선군혁명업적> 중앙연구토론회 소식을 전하면서 <김일성군사종합대학 지기선 총장이 토론에 참가했다>고 소개했다 지기선 총장은 1986년 군 총참모부 부총장모장, 1992년부터 이 대학 제1부총장으로 활동해왔으며 2003년 8월 최고인민회의 제11기 대의원으로 선출됐다 조선반제투사노병위원회 부위원장도 겸하고 있다 또 1980년 9월 소장(준장), 1989년 중장(소장), 1997년 상장(중장)으로 진급했다 교육과정은 기본과정과 강습과정으로 되어 있다 기본과정은 육.해.공군 각급부대에서 선발되나 상위(중위와 대위의 중간에 해당)에서 중좌(중령)급 장교들이 입교하여 포병. 공병. 화학등 병종별 전문분야를 3-4년간 이수한다 강습과정은 1년으로 상좌(중령과 대령 사이에 해당)급 이상의 고급장교들이 입교하여 김일성 김정일의 군사부분 교시. 정세. 직무분석등을 교육 받는다 기본과정 교육생들은 졸업과 동시에 1계급 진급과 함께 상위보직에 배치되는등 인사상의 혜택이 주어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국전쟁 참전 북한 군 지휘관들이 1952년 "고급군사학교(김일성군사종합대학)"에서 군사 정치교육을 받고 일선 고위간부로 배치되었다 이들이 지금의 북한군부를 실제로 장악하고 있다 김일성종합대학교 출신들이 북한지역에서 정치와 사회.문화등을 장악하고 있다면 북한 군부와 치안, 안보분야등에서는 김일성군사종합대학교 출신들이 장악하고 있다 북한정부 국방위원회 실무자와 군간부 대부분이 김일성 군사종합대학교 출신들이다 북한군 30대 40대 50대 고급 지휘관은 대부분이 김일성군사종합대학교 출신이다 -일종의 장군 양성학교인 김일성군사종합대학
2.김일성군사종합대학 출신 북한군 주요 인물 (1)김영춘(1940년생)- 인민군 총참모장(인민군 차수) (2)장성우(1935년생)-인민군 3군단장 (3)남상락(1933년생)-인민군 대장-평양고사포사령부(반항공사령부) (4)김명국(1940년생)-제108기계화군단 군단장 (5)김하규(1936년생)-인민군 대장 (6)김대식---인민군 상장---정찰국장
3.북한 주요 군사대학 자료 (1)강건종합군관학교 ㄱ.강건(姜健) 강건은 1918년 10월 중농계급 농민의 아들로 경북 상주에서 태어났다 그는 10세 때 중국 동북지방 닝안 현(寧安懸)으로 이주했으며 1933년 <영안유격대>에 입대하여 항일 무장투쟁에 가담했다 연안 유격대는 닝안(寧安) 일대에 유격구를 확보하고 반일회. 쳥년단. 아동단. 자위대 등을 조직했다 1934년 가을에는 <길동유격대>로 1935년 1월 <동북반일연합군 제5군>으로 발전했다 그후 1935년 코민테른 제7차 대회에서 제기된 <광범한 반제통일전선>노선에 입각하여 중국 공산당이 8.1선언을 하게 되자 만주일대에서 활동하던 항일유격대들은 "동북항일연군<東北抗日聯軍>"이라는 단일 편제를 구성했다 강건은 동북항일연군에서 제3사 제9단의 정치위원을 맡았다 1942년 7월 "동북항일연군교도려<東北抗日聯軍矯導旅>"로 재편되었으며 그는 제2교도영(矯導營) 정치위원으로 활동했다 해방 직후 그는 소련군과 함께 조선(북한)으로 귀국한 김일성. 최용건. 김책등의 소련군 극동사령부 조선인 부대 지도자급과는 달리 당시 조선인 절대 다수였던 옌볜(延邊)지방 해방사업을 명목으로 김창봉. 임철수등을 이끌고 옌볜(延邊)으로 나왔다 김일성 김책 최용건등은 1944년도 만주 동북항일연군에서 블라보스토그 소련군 극동군으로 이동했다 옌볜에서 짧은 활동을 끝내고 1946년 여름 북한으로 귀국한 것으로 알려졌다 귀국 후 항일무장투쟁에서 쌓은 경험이 바탕으로 북한군을 창설하는 과정에 깊숙이 관여했으며 1948년 2월 8일 공식적으로 창설된 조선인민군 총참모장에 취임했다 1947년 4월 민족보위국장 이듬해 3월 북조선 노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같은 해 8월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등을 맡았다 6.25전쟁에서 조선인민군 총참모장으로 북한군을 지휘하다가 1950년 9월 8일 충주전투에서 한미연합군에게 전사했다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1950년 9월 9일 강건에게 공화국 영웅칭호를 수여했다 북한은 조선노동당 창건 20주년인 1968년 그의 공적을 가리기 위하여 사리원 시에 동상을 세우고 강건거리를 조성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강건군관학교를 설립했다 강건은 한국전쟁 때 인민군 총참모장으로 재직하였고 김일성등과 함께 한국전쟁 책임자이다 -강건은 스탈린주의자보다는 모택동주의자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니 자연히 중국정부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북한 김일성은 스탈린주의자로 친소련정부 인사었다 한국전쟁은 소련군 극동사령부 조선인부대와 조선의용대 주축으로 전쟁을 일으켰으며 주도세력이 중국 옌볜(延邊)출신 조선인이었다 ㄴ.강건종합군관학교 북한의 강건종합군사학교는 초급 보병지휘관을 양성하는 군사교육기관으로 그 기능상 우리의 육군사관학교와 유사하다 강건종합군관학교의 모태는 1945년 11월 군사. 정치간부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한 <평양학원>으로서 그 후 군사간부반은 1946년 6월 창설된 <중앙보안간부학교>로 흡수되었고 정치간부반은 제2군관학교(1947년 5월)에서 김일성정치대학(1972년 2월)으로 개칭 되었다 중앙보안간부학교는 다시 제1군관학교(1947년 5월), 간건군관학교(1950년 10월), 강건종합군관학교(1955년 10월)로 명칭을 변경 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강건은 이른바 항일 빨치산 시절 동료로서 북한군 총참모장을 역임하다가 6.25전쟁 중 1950년 9월에 사망했다 강건종합군관학교는 평양시 순안구역 순안비행장 인근 30만평 부지에 김일성 혁명사상연구실, 강의동, 실습동, 연병장등의 교육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2,700여명의 학생을 수용하고 있다 강건종합군관학교의 입교생은 각급부대에서 추천한 입대 5년 전후의 사병들 중에서 자체 신체검사, 면접등을 통해 최종 선발되는데 6개월간의 가입교과정에서 사상교육, 사격, 전술, 군사학등 지휘관 필수 공통과정을 이수하며 정식입교 후에는 보병. 병참(2년), 공병. 화학. 수송(3년)등의 전문병과 과정에 편성되어 교육을 받는다 졸업 후에는 소위로 임관하여 원 소속부대의 소대장으로 임용되는 것이 원칙이며 성적 우수자에게는 중위계급을 수여하는 특혜가 주어지는 경우도 있다 ㄷ.강건종합군관학교 출신 김두남(金斗南)-인민군 대장-김영남 국가수반의 친동생
(2)김일성정치대학 북한은 군 지휘체계가 병정분리 구조로 군사-정치부문으로 이원화 되어 있음에 따라 군간부도 별도로 양성하고 있는데 김일성대학은 군내 정치사상교육을 전담하는 정치간부들의 양성 및 보수교육을 담당하는 교육기관이다 김일성정치대학은 1946년 2월 군사-정치간부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된 <평양학원>이 그 전신이며 그후 정치간부 양성반은 1947년 5월 <제2군관학교>로 재창설된데 이어 1952년 2월 김일성의 빨치산 동료인 김책의 이름을 빌어 <김책군관학교>로 개명되었다가 1972년 2월 현재의 김일성정치대학으로 정차되었으며 한편 평양학원의 군사지휘관 양성 기능은 1946년 6월 창설된 중앙보안간부학교에 흡수된 후 제1군관학교(47.5), 강건군관학교(50.10), 강건종합군관학교(55.10)로 발전되었다 김일성정치대학은 평양시 형제산 구역 서포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김부자 혁명사적실, 강의동, 실습동, 연병장등 교육시설을 구비한 가운데 학생 1천여명을 수용하고 있다 한편 김일성정치대학의 교육과정은 양성과정과 보수과정으로 구분되는데 양성과정(4년)은 3년이상 복무한 사병-하사관 중에서 당성이 강하고 근무성적이 우구한 자를 선발하여 초급 정치장교로 양성하고 있는데 교육생들은 졸업 후 소위로 임관되며 최우수 졸업생에게는 특전으로 중위계급을 부여하고 있다 보수과정은 중대 정치지도원급 이상이 입교하는 직무보수과정(3년)과 진급예정자들을 대상으로 한 단기 보수과정(6개월)으로 나누어지며 교육 후 원소속 부대로 복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김정숙 해군대학 ㄱ.김정숙 김정숙은 함북화령 출신으로 김일성보다 7년 연하의 여성으로 김일성과 유사한 배경을 가진 항일 빨치산출신이었다 그녀는 어렸을 때 부친을 찾으러 어머니와 함께 만주로 들어갔다가 모친 사망 후 고아가 되었으며 1935년 16세때 빨치산부대에 입대하여 밥 짓는 일을 맡았다 동북항일연합군의 무력투쟁이 내리막길을 걸던 1940년 말경 김일성과 김정국은 결혼했고 다음해 3월쯤 김일성을 따라 소련으로 도피 88여단에 가입했다 1942년 2월 16일 하바로프스크 바틐스예 마을에서 쌍둥이 아들 유라(김정일)과 딸 슈라를 낳았다 슈라는 3-4세때 하바로프스크 바트코스예 마을 우물에 빠져 죽었다 아직도 슈라의 무덤이 있다 김일성과 김정숙은 해방 후 평양에서 장녀 김경희를 낳았다 그녀는 북한 남이 있는 김정일의 유일한 누이 동생이며 장성택이라는 당 간부와 결혼하여 김정일을 보좌하고 있다 김정숙은 1949년 9월 22일 네 번째 아이를 출산하다가 모자가 함께 사망했다 ㄴ.김정숙 해군대학 북한의 김정숙 해군대학은 해양전술학, 항해, 어뢰, 레이다등 해군 작전술, 군사기술 분야의 초급장교 양성 및 보수교육을 담당하는 군 교육기관이다 정치. 보위장교는 김일성정치대학이나 김혁 군사대학(보위대학) 졸업생으로 충원하고 있다 김정숙 해군대학은 1946년 6월 <수상보안대>가 창설되면서 해군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1947년 6월 나진에 설립된 <수상보안간부학교>가 전신이며 북한은 1972년 6월 어뢰정대 창설일인 1949년 8월 28일을 <해군절>로 제정하였으나 1993년부터 수상보안대 창설일인 1946년 6월 5일로 변경 기념해오고 있다 수상보안간부학교는 1947년 7월 <해군군관학교>로 변경되었고 1973년 3월 현재 소재지인 함흥 마전리로 이전한데 이어 1993년 7월 김정숙해군대학으로 개칭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한편 김정숙해군대학은 학생수가 1,200여명이며 교육과정은 양성과정과 보수과정으로 구분되는데 양성과정에서 전투병과는 4년이고 기술병과는 5년이다 3년이상 복무한 사병 중에서 선발된 군인이 입교하여 항해술. 해상전술학등 전문분야를 이수한 후 해군 초급장교(소위)로 임관하며 보수과정(2년-3년)에는 초. 중급장교들을 대상으로 한 함(정)장반등 직무별 전문과정이 있으며 졸업생에게는 한 단계 상위보직 임용 또는 1계급 진급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김정숙은 항일 빨치산부대에서 밥 짓는 일을 맡았다 그녀는 지금에서 볼때 취사병이다 김정숙도 해군과는 아무런 경력이 없다 ㄷ.김정숙 해군대학 출신 김일철---인민무력부장---북한 인민군 차수
(4)김형직 군의대학 ㄱ.김형직 김형직은 김일성의 아버지이다 김형직의 먼 조상은 전라도에서 살았다 김형직은 전주 김씨로 1894년 평안남도 대동에서 태어나 평양숭실학교를 마쳤고 1917년 3월 강동군에서 항일 독립운동단체인 조선국민회의를 결성했다 조선국민회의 활동 중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른 뒤 만주로 망명했다 김형직은 만주에서 한약상으로 생활하다가 김일성 나이 14세때 1926년 32세 나이로 갑자기 사망했다 -북한정부 문헌에 의하면 만주 중강. 무송등지에서 광제의원, 무림의원, 순천의원등을 설립, 의료사업과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하여 항일운동을 하였다고 한다 실제로는 만주지역에서 한약상을 운영할 것으로 증언되고 있다 ㄴ.김형직 군의대학 북한의 김형직 군의대학은 군의장교 양성과 의학연구를 전담하는 군 교육기관으로 1950년 11월 <군의학교>로 설립되었으며 1984년경 헌재의 교명으로 개칭되었다 평양시 대동강 구역 문흥동에 위치한 <김형직 군의대학>은 임상의학부, 동(한)의학부, 약학부, 구강학부등의 전문과정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입학자격은 군복무 2년 이상의 사병과 하사관 중에서 선발된 인원과 고등 중학교 우수졸업자 중 희망자들에게 부여되며 "위생지도원(위생병)" 경력 소지자에게는 가산점이 주어진다 김형직 군의대학의 군 장교 양성과정은 정규반과 초급반으로 구분되는데 <정규반>은 군의관을 양성하는 과정으로 5년제이며 병리학, 해부학등의 기본과목을 교육 후 부문별 전공의 과정을 이수하고 6개월-1년간의 실습과정을 거쳐 중위로 임관하게 된다 <초급반>은 3년제로 약사 및 군소속 병원의 행정지원장교를 육성하며 졸업생은 소위로 임관한다 또한 의대 졸업자로 전문의 자격을 보유한 민간인에 대해서는 6개월간의 보수교육 후 대위로 복무토록 하는 <특별과정>을 편성하고 있다 -김형직은 만주에서 한약사로 활동하면서 한약방을 운영한 김일성의 부친이다 김형직 이름에 적합한 대학의 군의대학보다는 한의대학이 올바른다
(5)김철주 포병종합군관학교 ㄱ.김철주 김철주은 김일성의 둘째 동생으로 어릴때 병사(病死)로 죽었다 김형직과 강반석이가 결혼하여 김형직 나이 18세, 강반석 나이 20세때 김성주(김일성) 첫 아이를 낳았고 그 후 둘째 아이 김철주(김철주는 낳았는데 오래 살지 못하고 죽었다), 막내 김영주등 삼형제를 낳았다 북한정부는 김철주를 항일 빨치산 시절 새날 어린이 학원 창단등으로 김일성을 보좌하다 1935년 일본군에게 사망했다고 경력을 미화하거나 날조하고 있다 ㄴ.김철주 포병종합군관학교 북한의 김철주 포병종합군관학교는 포병장교 양성 및 보수교육을 담당하는 군 교육기관으로서 1946년 6월 중앙 보안 간부학교내에 설치한 포병중대가 그 기원이며 6.25전쟁 중 포병군관학교로 독립한데 이어 북한은 <항일 빨치산 시절인 1935년 6월 20일 만주 길림성의 태평구 전투에서 첫 포성을 울렸다>고 주장 이를 포병의 시원으로 선전하면서 1982년 10월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으로 6월 20일을 포병절로 제정했으며 포병종합 군관학교(70년경)이 김철주 군관학교(1993년)으로 김철주 포병종합군관학교(1998년)로 개칭 하였다 김철주포병종합군관학교는 1970년경 소재지를 평양 중화에서 현재의 위치인 평남 순천시로 이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김철주 포병종합군관학교의 교육과정은 양성 및 보수과정으로 구분되는데 양성과정은 육군.해군. 공군 각 포병부대에서 2년 이상 복무한 사병 중에서 선발된 자들이 입교하여 3년간 주체사상, 화기, 관측등 기본 소양 및 실무 교육을 이수한 후 포병소위로 임관하고 있으며 보수 과정은 1년간의 단기과정으로 초. 중급 포병장교들에게 포병전술 및 무기체계등 전문분야를 교육시키고 있다
-김철주는 포병과 아무런 연관이 없고 중국 하남군관학교 졸업한 후 포병 중위로 활동하면서 팔로군 포병사령관 재직한 포병출신 김무정(武亭) 장군의 항일경력을 날조.위조하였다 김무정은 중국 팔로군내에서 가장 포를 잘 쏘는 사람으로 널리 알려져 왔다 김무정은 주덕장군과 가까운 사이었다 그는 한국전쟁 당시 평양지역방위군 제2군단장으로 재직하다 평양이 연합군에 점령된 후 숙청되어 죽었다
*참조 자료-국가정보원 북한의 군사대학 시리즈 그리고 EAIC 북한자료, 통일부 북한 자료 등 (동아시아 알센터장 허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