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远程导弹:印度“烈火”将会继续燃烧 본문

Guide Ear&Bird's Eye/인도

远程导弹:印度“烈火”将会继续燃烧

CIA bear 허관(許灌) 2006. 8. 7. 18:35
远程导弹:印度“烈火”将会继续燃烧
中国网 | 时间: 2006-08-02  | 文章来源: 中国国防报

阅兵式上的印度“烈火”-2型导弹

印度宣布“不首先使用核武器”,同时声明“印度的核反击将是大规模和毁灭性的”

    7月23日、24日两天,印度在东部奥里萨邦接连试射了3枚“特里舒尔”短程战术防空导弹。这说明印度导弹研发项目没有受到7月9日“烈火”-3型远程导弹试射失败的影响,继续按计划进行。印度媒体称,毫无疑问,在之后不长时间,“烈火”-3型还会试射。印度的“烈火”将继续燃烧。

    “血污的铁拳”,一个可怕的“烈火”故事

    这个可怕的“烈火”故事是印度著名国防期刊《Bharat-Rakshak》描述的:当印度与邻国为克什米尔归属问题再度发生大规模战争时,强大而有预先准备的印度陆军突破了对手的防御,完全占领了整个查谟-克什米尔地区,并深入对方领土。对手意识到自己无法通过常规战争手段获得“体面的和平”,便在不预警的情况下,对印军以及印度部署有核武器的纵深城市发动了低当量的核导弹突袭。核突袭之后,印军的进攻戛然而止。大量伤亡和财产损失使印度震惊。人口拥挤的城市让任何核攻击都能轻而易举地造成严重伤亡。在内阁总理的授权下,印度战略部队指挥部迅速下达了“二次核打击”的命令。随即残存的印度核武器平台在规定的半小时内作好战斗准备,在第一时间发射了携带核弹头的“烈火”-2型导弹。对方一切反抗都在印度战略部队的“不可抗核打击力”面前沉寂下来……

    印度海军参谋长阿龙·普拉卡什上将称:“核威慑必须要根植于对手的心中。为了阻止某些敌对之人,你必须让他们确信,使用核武器的后果是极其可怕和毁灭性的,以使他们永远不会考虑动用核武器。”印度此前曾宣布“不首先使用核武器”,但也同时声明“印度的核反击将是大规模和毁灭性的”。印度著名的防务评论家斯利达尔是这样评述印度“不可抗核打击力”的:“我们放弃了用核武器伤害别人的主动权。我们只能等待敌人的出手。我们的核力量必须承受第一轮的袭击而存活,然后用‘这双血污的铁拳’还击敌人的血腥。”

    这个故事告诉人们,印度“烈火”导弹具有核武器元素,“烈火”是印度陆基战略核导弹的雏型。令人困惑的是,这个故事没有说清楚究竟是谁挑起了战争。

    印度的大国梦点燃了“烈火”

    上个世纪后半叶,印度通过战争肢解了巴基斯坦,并由此“雄心勃勃”,一心想着借助持续增强军事实力,跃上世界军事大国和世界大国的平台。用军事实力实现大国梦,是印度历届政府的信条。现任印度总统卡拉姆曾是印度核武器的总设计师。他极力主张把印度建成一个军事上先进的强大的国家,认为印度必须有足够的军事力量才能慑住对手,维护国家安全。

    导弹发展计划是印度增强军事实力战略的重头戏。由于政府重视、军方努力,印度相继研发出了“普里特维”近程地地导弹、“烈火”中远程地地导弹、“毒蛇”反坦克导弹、“阿卡什”中程地空导弹、“特里舒尔”近程地空导弹以及“布拉莫斯”巡航导弹等,初步建成印度综合导弹体系。200家印度公司参加了这些导弹的研发和生产。

    1983年,位于海得拉巴市的印度巴拉特动力有限公司(BDL)研发出“烈火”导弹的第一个品种,即“烈火”-1型导弹,并于1989年5月22日进行了第一次试射,而后15年间又发展出“烈火”-2型和3型导弹。“烈火”,音译“阿格尼”,1型、2型为中程,3型为远程。它弹长达20米,重16吨。它是一种两级导弹。第一级长10米,重10吨,采用固体燃料。第二级长8.4米,使用液体燃料。在印度的导弹发展计划中,“烈火”系列导弹占有举足轻重的地位。这主要是因为“烈火”导弹可以携带核弹头。“烈火”导弹使印度成为世界上第7个具备发射中程弹道导弹能力的国家。它被印军方视为印度成为世界军事大国的标志之一。

    然而,印度军方始终认为,“烈火”-1型和2型导弹的射程分别为1500公里和 2000公里,只能够对巴基斯坦起到“威慑作用”,而对其他大国的主要大城市没有威胁,连起码的“劝阻”(dissuade)都谈不上。“烈火”-3型射程为3500~5000公里。只有它才能帮助印度实现这个战略目标,才能圆印度的世界大国梦。

阅兵式上的印度“烈火”-2型导弹

    “烈火”-3型让美国也担忧

    “烈火”-1型、2型的主要缺陷是使用固态-液态并存推进装置,这显然不适合用于实战。“烈火”-3型则全部采用固体火箭发动机推进。导弹第二级发动机是专门开发的,其伸缩喷口可在飞行中对推力方向进行微调,从而可以在软件控制下使导弹在重返大气层阶段拥有更强的机动性,可以躲避敌方导弹防御系统,有效攻击目标。“烈火”-3型可在火车上机动发射,可以有效避开敌方侦察卫星的跟踪,出其不意地把“蘑菇云”种在他国土地上。其战斗部可携带集束弹、制导弹头、油气弹、生化弹头或核弹头。

    “烈火”-3型的独到之处在于其飞行弹道的形状以及利用计算机软件进行的制导。它的弹体第二级装有辅助推进器补充动力损耗,能根据目标方位提供一定的推力以修正弹道,正是这些辅助推进器使导弹突防时极具威胁。据说,导弹采用中段惯性制导加末端雷达制导,弹头具有机动变轨能力。导弹命中圆概率误差为100米左右。

    “烈火”-3型远程导弹完成样弹生产后,接着是发射试验。今年5月14日,印度国防部科学顾问纳塔拉詹对媒体说,试射“烈火”-3型远程导弹的技术准备已经就绪,只因美国的反对而无法进行试射。美国反对的理由是这种远射程弹道导弹打击范围涵盖了美国海外属地。但7月9日,“烈火”-3型远程导弹在推迟一个多月时间后还是发射了,只是没有成功。

    印度“烈火”-3型研发部主任说,导弹试射虽失败,但运载火箭技术已成熟,印度不会放弃“烈火”-3型。火箭连续12次成功发射,已表明印度拥有制造远程洲际导弹以及多弹头分导的能力。印度会很快克服“烈火”-3型发射失败暴露出的问题。现在中程的“烈火”-1型、2型都已部署到印度部队。但原定最迟2008年部署“烈火”-3型的计划肯定要推迟了。据美国《防务新闻》透露,“烈火” -3的后继型、射程达1.2万公里的“苏里雅”战略导弹的研发工作正抓紧进行。不过,美国防务专家斯比尔对此很不理解:美国支持印度发展核武器,但印度的射程1.2万公里的导弹显然是专门为了打击美国而准备的。(罗山爱)

 

 

인도의 미사일 시험발사에 세계가 침묵하는 이유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를 놓고 논란이 한창인 가운데 인도는 7월 9일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의 시험 발사를 단행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국제사회로부터 비난의 소리가 높았던데 비해 인도의 경우는 비교적 조용했다. 인도 미사일의 사정권 내에 있는 중국과 파키스탄조차 이번 인도의 시험발사에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번에 발사된 미사일 아그니Ⅲ는 전장 16m, 기준 사정거리 3,500km의 2단계 추진체로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는 지난 2004년 말 이래 아그니Ⅲ의 시험발사 가능성을 수시로 시사하면서도 국제정세 등을 고려하여 발사를 연기해 왔다. 그러나 최근 발사를 위한 여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 언론에 발사계획을 사전 공지하고 2005년 체결된 인-파 양국간 합의에 따라 파키스탄에도 이같은 사실을 사전에 통보한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

그러나 시험발사 자체는 성공적이지 못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인도 언론들은 인도 국방개발기구(DRDO) 소식통을 인용, 벵갈만에서 발사된 아그니Ⅲ가 12km 상공까지 수직 비행한 뒤 2단계 추진체가 분리되지 못한 채 추락한 것으로 보이며, 설계결함 가능성을 보도했다. 미사일 발사 현장을 직접 참관한 무케르지 인도 국방장관은 약간의 장애가 있었다고 인정하면서도 흔히 있을 수 있는 과정상의 문제일 뿐 실패가 아님을 강조하고 미사일 계획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 언론도 미사일 개발을 적극 지지하고 있다. 인도 식자층이 애독하는 유력일간 힌디스탄 타임스(Hindustan Times)는 7월 10일자 기사에서 이번 아그니Ⅲ 시험발사가 성공적이지 않다 하더라도 보다 중요한 것은 미사일 개발 프로그램의 추진력(momentum)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사는 1990년대 아그니 프로그램에 따른 시험발사가 일부 실패로 끝난 뒤 인도의 미사일 개발은 5년간 동면기에 접어들었으며, 이 기간 동안 파키스탄은 중국, 북한의 지원을 받아 미사일 기술을 발전시켰다고 덧붙였다.  

북한 미사일 시험발사와는 달리 인도의 경우 국제사회의 별다른 반응이 없는 배경에는 이해가 되는 부분이 있다. 기본적으로 인도는 자유 민주주의 국가로 그동안 미사일 관련 기술이나 물자의 확산 전례가 없고, 국경을 맞대고 있는 중국과 파키스탄이 핵과 미사일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 국제사회에서 감안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기한 바와 같이 가장 껄끄러운 이웃인 파키스탄에 미리 발사 사실을 통보하고 언론에도 사전에 공지한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

또 다른 중요한 이유는 국제사회의 신뢰를 얻기 위한 인도 정부의 진지한 노력에 있다. 아그니Ⅲ 시험발사 직전인 7월7일 인도정부 관계자들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대표단들과 뉴델리에서 만났다. 동 협상에서는 지난 3월 인도-미국간에 있었던 민수용 핵협력 합의에 따라 인도가 IAEA와 핵 안전조치 협정을 체결하는 문제가 논의됐다.

인도는 핵무기비확산조약(NPT) 미가입국이다. 그러나 인도가 세계무대에서 차지하는 경제적, 정치적 위상을 중시하고 있는 미국은 인도에 대해 지속적으로 유화 제스처를 보내고 있다. NPT 미서명국인 인도에 대해 국내외로부터 불거져 나오는 특혜시비를 불사하고 미국이 예외적으로 미국-인도 민수용 핵협력 합의를 추진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미-인도 합의를 통해 미국은 지난 30년간 인도에 대해 유지해온 제재조치를 해제하고 핵연료와 기술을 공급할 계획이다. 반면 인도는 2014년까지 핵시설을 민간용과 군사용으로 구분해 22개 원자로 중 14개에 대해 국제사찰을 허용하기로 했다. 이 합의의 이행을 위해서는 미 의회가 관련 국내법령을 개정하고 45개국으로 구성된 핵공급그룹(NSG)의 지침을 바꾸는 등 추가 조치가 따라야 한다.

이와 같이 인도는 외부세계의 우려를 의식, 핵사찰 수용 등 국제적 신뢰를 얻기 위해 노력하면서 발사 계획을 사전에 언론을 통해 공지하는 투명한 자세를 보여주었다. 예측불허의 깜짝쇼로 세계의 곱지 않은 시선이 집중되고 있는 북한의 경우와는 좋은 대비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