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트럼프 "베트남과 무역 협상 타결... 미국産 무관세로 수출" 본문

Guide Ear&Bird's Eye/베트남

트럼프 "베트남과 무역 협상 타결... 미국産 무관세로 수출"

CIA Bear 허관(許灌) 2025. 7. 3. 08:58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베트남과 새로운 무역 합의를 타결했다”고 발표했다. 트럼프는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을 통해 “베트남과의 협상은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이자 장성인 또람(To Lam)과의 직접 통화 후 이루어진 것”이라며 “양국 간 위대한 협력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전 세계에 상호관세를 부과한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협정 타결은 영국에 이어 베트남이 두번째다.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처음이다.

트럼프에 따르면 이번 합의의 핵심은 베트남이 미국에 수출하는 모든 상품에 대해 20%의 관세를 부과하고, 제3국을 우회한 재수출(Transshipping)에 대해서는 40%의 고율 관세를 적용하는 것이다. 반면 미국은 자국산 제품을 베트남 시장에 ‘전면 무관세’로 수출할 수 있게 됐다. 트럼프는 지난 4월 베트남에 대해 46%의 상호관세를 부과했지만, 이번 합의를 통해 베트남의 관세율을 20%로 대폭 낮춘 것이다.

트럼프는 “베트남이 미국에 시장을 완전히 개방하는 것은 전례 없는 조치”라며 “미국 제품이 베트남에 무관세로 진입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SUV, 또는 대형 엔진 차량이라 불리는 제품군은 베트남 내 다양한 상품 라인업에 훌륭한 추가 요소가 될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는 또람 서기장과의 개인적 협상에 대해 “절대적인 기쁨이었다”고 평가했다.

이번 발표는 지난 4월 트럼프가 발표한 상호관세에 대한 90일간의 유예 기간이 오는 8일 종료되는 가운데 나왔다. 트럼프는 최근 ‘상호관세 90일 유예기간’ 만료를 앞두고 일본 등 주요 교역국에 대한 압박을 극대화하고 있다. 일각에서 유예기간 연장 전망이 나오자 트럼프는 연이어 “유예 연장은 없다”, “일본에 30~35% 고율 관세 부과를 할 수 있다”는 등 강경 메시지를 내놓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베트남과의 합의는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4월 전 세계 57개 경제주체(56개국+EU)를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예고한 이후, 영국에 이어 두 번째로 공식 타결된 사례다. 인도·태평양 국가로는 베트남이 처음이다. 중국과도 지난 달 희토류 공급 등 일부 합의가 있었으나 아직 전면적 무역협정으로 공식 발표되지는 않았다.

트럼프 “베트남과 무역 협상 타결... 미국産 무관세로 수출”

 

트럼프 “베트남과 무역 협상 타결... 미국産 무관세로 수출”

트럼프 베트남과 무역 협상 타결... 미국産 무관세로 수출 美로 수출 베트남産 관세 46→20%로 영국 이어 두번째로 상호관세 타결

www.chosun.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