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4년 5개월 만의 한중일 비즈니스 서밋…"경협 활성화 실무협의체 신설" 본문

'三國志[사람됨 교육장소-仁德政治]"/中韓日국가연합(漢字姓氏,兄弟國)

4년 5개월 만의 한중일 비즈니스 서밋…"경협 활성화 실무협의체 신설"

CIA bear 허관(許灌) 2024. 5. 27. 16:39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가운데)이 2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제8차 한·중·일 비즈니스 서밋에서 도쿠라 마사카즈 일본경제단체연합회 회장(왼쪽), 런훙빈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 회장(오른쪽)과 공동성명서에 서명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 일본 기업인들이 경제 활성화, 지속가능한 발전 등 3국의 경제협력 활성화를 위해 ‘실무협의체’를 신설하는 공동성명에 합의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7일 오전 서울 상공회의소회관에서 일본경제단체연합회(경단련),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CCPIT)와 공동으로 ‘제8차 한중일 비즈니스 서밋’을 개최했다.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를 계기로 개최된 이번 서밋에는 각국을 대표하는 기업인과 정부 관계자 등 280여명이 참석했다. 지난 2019년 중국 청두에서 열린 7차 한중일 비즈니스 서밋 이후 약 4년 5개월 만에 열린 행사였다.

윤석열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가 2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8차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에 참석, 박수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날 행사에는 윤석열 대통령, 리창 중국 총리,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도 참석했다. 한국 측에서는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류진 한국경제인협회 회장, 윤진식 한국무역협회 회장, 김기문 중기중앙회 회장, 손경식 경영자총협회 회장, 최진식 중견기업연합회 회장, 김윤 한일경제협회 회장 등 경제단체를 비롯해 조현상 효성그룹 부회장, 이희범 부영그룹 회장, 명노현 LS 부회장 등 기업인들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조태열 외교부 장관 등 정부 관계자 9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를 주관한 3국 경제단체는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의 실행을 지원하고, 비즈니스 서밋의 주제 발표에서 논의된 내용을 실행하기 위해 제8차 한중일 비즈니스 서밋 공동성명서를 발표했다.

공동성명서에는 3국 경제계가 경제활성화를 위해 디지털 전환과 교역활성화, 공급망 안정화 분야에서 협력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그린 전환과 고령화 대응, 의료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또, 한중일 비즈니스 서밋을 3국간 민간 경제협력 회의체로 내실화하기 위해 ‘실무협의체’를 마련하겠다는 계획도 포함됐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가운데), 도쿠라 마사카즈 일본 게이단렌(일본경제단체연합회) 회장(왼쪽), 런훙빈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CCPIT) 회장이 27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8차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에 참석해 공동성명서에 서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민간 차원의 3국 협력 플랫폼’ 설립을 제안한다”며 “앞으로 협력을 연구하는 플랫폼을 기반으로 시급한 경제 현안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고, 3국 정상회의에서 논의된 합의사항에 대한 후속조치도 함께 고민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한·일·중 세 나라의 상생∙공존의 필요성을 강조할 때, ‘빨리 가려면 혼자 가고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는 격언이 자주 인용되곤 한다”며 “세 나라가 장기적 비전을 공유하고, 상호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협력해 나가길 바란다”고 했다.

중국 측에서는 런훙빈 CCPIT 회장을 비롯해 자오둥 중국석유화학그룹 총경리, 린슌지에 중국국제전람센터그룹 동사장, 리둥성 TCL과학기술그룹 동사장, 천지엔화 헝리그룹 동사장 겸 총재 등 100여명의 기업인과 정부관계자가 참석했고, 일본 측에서는 도쿠라 마사카즈 경단련 회장을 비롯해 사토 야스히로 미즈호파이낸셜 선임고문, 히가시하라 도시아키 히타치제작소 회장, 구보타 마사카즈 경단련 부회장 등 90여명의 기업인과 정부관계자가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