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주요 7개국 (G7) 본문

유엔

주요 7개국 (G7)

CIA bear 허관(許灌) 2021. 6. 13. 14:07

G7 정상회담에서 기념 사진에 들어갈 각국 정상들. (왼쪽부터) 캐나다 트뤼도 총리,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바이든 미국 대통령, 일본 스가 총리, 영국 존슨 총리, 이탈리아 드라기 총리,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폰데알라이엔 유럽위원장, 메르켈 독일 총리=11일 영국 콘월(AP =연합)

“2021 G7 정상회의”

올해로 47회를 맞은 2021년 G7 정상회의가 6월 11일부터 13일까지 진행됩니다. 올해 의장국은 영국인데요. 해변 휴양지로 유명한 영국 남서부의 소도시 콘월에서 회의가 열립니다. 

올해 G7의 주제는 ‘더 나은 재건 (Build Back Better)’입니다. 

이번 회의의 최대 화두는 코로나 극복과 민주주의 고취, 동맹 관계 회복입니다. 

특히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취임 후 처음으로 G7  무대에 등장하는 건데요. 바이든 대통령은 이번 G7  정상회의를 통해 민주주의의 역량을 결집하고 미국이 다시 한번 힘의 위치에서 세계를 이끌기 위한 기회의 장으로 삼고 있습니다.  

“G7이란”

G7은 ‘Group of Seven’의 줄임말입니다. 이른바 7개국으로 이루어진 집단을 말하는 건데요. 미국과 캐나다,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가 들어가 있습니다. 

G7이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40%에 달합니다. 그리고 G7의 인구 규모는 세계 인구의 10분의 1에 해당합니다. 

G7을 흔히 선진 7개국, 또는 주요 7개국이라고 부르는데요. 이는 경제적  순위나 군사적 측면만 고려한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세계 경제순위 2위인 중국이나 6위인 인도는 G7에 들어가지 못하고 있는 반면, 그보다 경제력이 뒤처지는 이탈리아나 캐나다는 당당히 G7의 일원으로 국제 사회를 주도하고 있는데요. G7의 가장 큰 공통점의 하나는 바로 민주주의가 확립된 나라라는 것입니다. 

“G7의 출발”

G7의 역사는 거의 반세기 전인 1973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주요 산업국 간의 모임이 필요하다는 데 중지가 모이면서 처음에는 미국과 영국, 프랑스, 그리고 당시 서독의 재무장관들의 비공식 모임으로 시작됐습니다. 그러다 조지 슐츠 당시 미 재무장관이 일본의 합류를 제안하면서 이른바 ‘G5’가 결성됐는데요. 

하지만 공교롭게도 4개국 모두 국내 정치 상황이 급변하면서 지도자들이 교체되는 상황이 벌어집니다. 

이런 가운데 새로 취임한 미국의 제럴드 포드 대통령이 다음 해 정상들끼리 교류하는 친목 모임을 갖자고 제안했고요. 1975년 11월, 프랑스의 주최로 이탈리아까지 포함해 이른바 G6 정상들이 처음 모임을 갖게 됩니다. 

그 후 정상들은 매년 정기적으로 만나 친목을 도모하고 국내외 정세를 논의하기로 합니다. 더불어 더욱 활발한 토론을 위해 영어권 국가가 더 합류할 필요성이 제기되는데요. 그래서 1976년, 캐나다가 초대되면서 오늘날의 G7이 구성됐습니다.  

“유럽연합(EU)과 러시아”

유럽연합(EU)은 G7의 공식 일원은 아니지만 1977년 영국의 초청으로 처음 참가한 후 지금까지 매년 참가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통상적으로 G7 정상회의는 7개국 정상 7명과 EU 측 대표 2명 등 모두 9명이 모이는데요. 하지만 명칭은 그대로 G7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1997년 러시아가 합류하면서 G8으로 명칭을 바꾼 적도 있습니다. 

구소련 붕괴 후, G7 정상들 간에는 러시아를 포함한 국제 정세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됐고요.  3년여 논의 끝에 러시아를 G7에 초대하기로 최종 결정했는데요. 

하지만 러시아는 다른 회원국과 비교할 때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훨씬 빈약해 좁히기 힘든 간극이 있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2014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크림반도를 강제 병합하는 사건이 발생하는데요. G7은 러시아의 행동을 강력히 비판하면서, 러시아를 제명하고, G8 체제는 다시 G7 체제로 돌아섰습니다.  

“ G7 확대 추진과 G20”

국제 사회가 다변화되면서 G7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1990년대 말부터 세계 경제가 급속히 성장하고, 여러 개발도상국이 선진국 반열에 오르면서, G7의 대표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커졌습니다. 

G7 국가들이 서구권 위주로 이뤄져 있다 보니 그들만의 잔치라든가, 서구권 외의 목소리는 담지 못한다는 비판도 꾸준히 제기됐는데요. 이런 비판이 초석이 돼서 1999년, 주요 20개국으로 구성된 ‘G20’이 출범합니다.  

G7을 포함해, 인구와 경제력, 정치적 안정성 등을 고려해 대륙별로 고루 안배해 20개국으로 결성한 건데요. 여기에는 중국과 인도, 한국도 들어갑니다.  

이런 가운데 최근에는 G7을 주축으로 해서, 몇 개 나라만 더 초청하는 G7 확대 모임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해 의장국이었던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G7 정상회의에 한국, 인도, 호주, 러시아 초청 의사를 밝히면서 공론화된 건데요. 한국과 인도, 호주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G7 정상회의에 특별 초대되면서, G7이 확대될 경우, 가장 가능성이 있는 나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G7의 역할과 비판”

G7은 일 년 내내 회원국 장관이나 당국자들이 관련 논의를 하고, 협정을 체결하며 국제 현안에 대한 성명 등을 발표합니다. 

최근 G7 재무장관들이 런던에 모여서 국제적으로 적용할 법인세율을 합의한 것이라든가, 지난달 외교장관들이 모여, 타이완의 세계보건총회(WHA) 참석을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한 것 등이 한 예입니다.  

그러나 G7의 가장 중요한 행사는 바로 일 년마다 한 번씩 열리는 정상회의입니다. 

G7 가 애초 정상 간의 진솔한 교류를 목적으로 출발한 만큼 회담 장소도 각국의 수도보다는 대개 휴양지 같은 조용하고 한적한 곳이 선호돼 왔습니다. 

대부분의 회의는 비공개로 이뤄지고요. 의장국이 정상들의 합의 내용을 담은 공동성명을 발표하는 것으로 일정을 마무리하는 편입니다. 

G7의 결정 사항이 국제법으로는 효력이 없는데요. 하지만 영향력 측면에서는 결코 무시할 수 없습니다. 이 때문에 여러 비판과 지적에도 불구하고 G7은 여전히 강력한 위상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G7 정상 회담 첫날의 토의에 임할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일본 스가 총리,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프랑스의 마크롱 대통령, 영국의 존슨 총리, 바이든 미국 대통령, 캐나다의 트뤼도 총리, 이탈리아의 드라기 수상, 폰데알라이엔 유럽위원장= 11일 영국 콘월 (대표 촬영 · 공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