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외무부는 북한의 핵무기 실험에 대한 보도 이후 관련 당사자들이 최대한 자제할 것을 촉구했다.
"우리는 관련 당사자들이 최대한 자제하고 동북아에서 통제할 수 없는 긴장 증가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촉구하고 있다. 6자 회담의 틀 내에서 한반도 문제를 외교적으로 조정한다는 것이 우리의 입장임을 다시 한번 밝힌다"고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공식 대변인이 수요일 공표된 성명서에서 밝혔다.
핵 실험이 사실로 밝혀지는 경우, 이것은 핵무기 개발 단계에 있어 북한의 새로운 행보로 국제법 및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심각한 위반이 된다고 자하로바 대변인이 전했다.
-sputniknews[sputnik 코리아]-
러시아 의원 "북한 핵 실험, 러시아 안보에 영향"
북한의 모든 핵 실험이 러시아 국가 안보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라고 콘스탄틴 코사체프 러시아 상원 외교위원회 위원장이 간주했다.
"평양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의 거리는 700km 미만이다. 북한과 러시아가 이웃 국가라서 북한의 모든 핵 실험은 이 지역의 러시아 국가 안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코사체프 위원장이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밝혔다.
"북한의 핵 실험에 대한 정보가 사실로 밝혀지는 경우, 이는 포괄적핵확산금지조약 의미와 모순된다"고 코사체프가 성명했다.
"흥미로운 사항으로 10년 전 포괄적핵확산금지 지지 결의에 대한 유엔 총회 투표에서 172개국이 찬성 투표를 하고 북한과 미국만이 반대 투표를 하였다. 유감스럽게도 핵 비확산 및 군비축소 체제 강화에 선두적 입장을 취한 미국 당국이 수 차례 조약을 비준하고자 하는 의도를 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조약 비준을 위한 그 어떤 조치도 취하고 있지 않다. 이런 사실은 북한을 포함하여 조약에 서명하지 않고 있는 다른 나라들에게 강력한 신호를 줄 수 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고 코사체프는 확신하고 있다.
핵무기 및 군사용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포기하고 NPT 및 국제원자력기구 체제로 복귀하며 포괄적핵확산금지협약에 가입하라는 국제사회의 요구사항을 이행하는 경우, 유엔 안보리 결의에서 북한에 대한 제제가 해제될 가능성이 있다고 코사체프는 밝혔다. "이렇게 될 수 있도록 러시아는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들을 할 계획이다. 여기에는 이중 잣대가 필요하지 않다"고 코사체프는 밝혔다.
-sputniknews[sputnik 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