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이란 대선 앞두고 공안 정국 분위기 고조 본문
"병정분리주의(兵政分離主義) 좌익군정 군사정책으로 외교·국방·언론·사법·전쟁선포권 등 이란 사회의 주요 권력을 쥔 종신제 제왕적 국가 군 통수권자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하메네이와 국가대표 임기제한 이란 대통령으로 권력분배를 하고 있지만 군을 장악하고 있는 종신제 최고지도자 중심 권력으로 이란 군과 사법부등 70대 후반 노인층으로 구성돼 있어 이란 개혁개방화 정책에 걸림돌로 돼 오고 있습니다 이란이 자유화 개방화 민주화 선진국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최고지도자 권력부를 해체하고 대통령 중심 권력기관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이란 정부가 14일로 예정된 제1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사회 각 분야에 대한 감시·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테헤란을 중심으로 항공 감시 시스템까지 동원하는 등 대선을 앞두고 공안 정국 분위기가 고조되는 분위기다.
현지 사정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7일 "이란 정부가 2009년 대선 이후 반정부 시위를 경험한 후 이번 대선을 앞두고 사회 전반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이란 정부는 최근 항공 시스템을 동원해 테헤란은 물론 그 주변 지역까지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있다고 이 소식통은 전했다.
이란 정부는 또 대선 취재를 위한 외국 기자들의 출입국 심사를 더욱 강화해 대선이 1주일밖에 안 남은 이날 현재까지 200명 정도에 달하는 외국 기자들의 비자 발급을 보류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이 밖에 초·중·고등학교와 대학교의 여름 방학 시작을 대선 전으로 앞당긴 것도 대선을 전후한 대규모 시위를 막으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심지어 일부 대학에서는 인터넷 차단도 종종 발생하며 특정 단어를 포함한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도 차단됐다고 현지인들은 전했다.
이란 현지 일간지 '가눈'은 지난달 말 이란 당국이 대선을 앞두고 인터넷 통제를 부쩍 강화, 속도가 느려진 탓에 많은 사람이 불편을 겪고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이란 정부의 이 같은 감시·통제 덕분에 2009년 대선 당시와 같은 대규모 시위가 발발할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2009년 당시 '녹색 운동'을 중심으로 한 야권은 대선 직후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며 대규모 시위를 벌였으나 이란 당국의 강경 진압으로 무위에 그친 바 있다.
지난 4일 이스파한에서는 개혁 성향의 이슬람 성직자 장례식에서 조문객들이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의 퇴진을 요구하는 구호를 외치기도 했으나 대규모 반정부 시위로 번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현지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2009년 당시 경찰은 물론 민병대 조직인 '바시즈'를 동원한 당국의 강경 진압이 아직 이란 시민의 기억 속에 생생하게 남아 있다는 점에서도 이 같은 분석에 무게가 실린다.
현지 소식통은 "이란 지도부는 최근 터키의 반정부 시위에 주목하면서 사회 통제에 더욱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면서 "대선 전후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발발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고 말했다.
hyunmin623@yna.co.kr
이란 대선후보 2차 TV토론…언론검열·여권 화두
이란 대통령 선거 후보들의 2차 TV 토론에서는 언론의 자유와 여권 등 문화 분야에 초점을 맞춰 진행됐다.
지난 5일 국영 방송으로 중계된 토론에서 각 후보는 이란 당국의 언론 검열과 여권 신장 정책 등에 대해 계파별로 의견 차이가 상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유일한 개혁파 후보인 모함마드 레자 아레프 국정조정위원은 "신문이나 책의 발간과 영화 상영 등을 금지하는 것은 반드시 고쳐야 할 부분"이라며 당국의 언론 검열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중도 성향 후보 하산 로우하니 국정조정위원도 "부패를 척결하고자 한다면 언론의 자유가 보장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실제 이란에서 언론은 당국의 철저한 검열을 받는다고 AFP 통신이 6일 보도했다.
문화부에 해당하는 문화이슬람지도부는 경제나 사회 분야에 부정적인 보도를 하지 말라고 정기적으로 주의를 주고 있다.
지난해 7월에도 서방 제재의 파급 효과에 대해 과장된 보도를 하지 말라는 지침을 내린 바 있다.
이란의 집권 강경 보수 세력은 이번 대선을 앞두고도 지난 2009년 대선과 같이 국내 소요의 빌미를 제공하지 않도록 개혁 성향 언론인 단속 등의 조처를 해 왔다.
그러나 보수파 후보인 사이드 잘릴리 최고국가안보위원회 사무총장은 이란에 언론의 자유가 부족하다는 이들의 주장을 강력히 반박했다.
잘릴리는 최근 수년간 개혁 성향 2개 신문의 폐간에 언급, "정치 운동에 관여한 신문사 2곳이 문을 닫았다고 해서 이란에 언론의 자유가 없다고 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보수파의 다른 후보인 골람알리 하다드 아델 국정조정위원도 이슬람의 정체성과 문화를 보호하기 위해 일정 정도 표현의 자유를 제약할 수밖에 없다고 역설했다.
보수파의 모함마드 바케르 칼리바프 테헤란 시장과 알리 아크바르 벨라야티 최고지도자 외교고문은 차기 정부가 일반 국민의 사생활에 개입을 줄여야 한다면서도 이슬람 가치는 수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모흐센 레자이 국정조정위원회 사무총장은 문화 분야의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경제 문제가 먼저 해결돼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AP 통신이 전했다.
여권 신장과 관련해서도 대선 후보의 계파별 성향은 극명하게 엇갈렸다.
로우하니 후보는 "많은 여성들이 남성과 동등한 대우를 받지 못하고 일하고 있다"면서 "여성을 위한 특별 보험을 만들고 여성부를 만들어 여권 신장과 보호에 앞장서겠다"고 공언했다.
그러나 잘릴리 후보는 "여성의 가장 중요한 일은 엄마 역할"이라면서 "우리가 엄마를 단순한 가정주부가 아니라 아이들을 기르는 정규 직업으로 생각한다면 사회의 많은 문제가 해소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난달 31일 첫 TV 토론은 경제 분야를, 두번째인 이번 토론은 문화 분야를 각각 중점적으로 다뤘다.
마지막 토론은 오는 7일 외교안보 분야에 초점을 맞춰 진행될 예정이다.
'Guide Ear&Bird's Eye41 > 이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란 차기 대통령에 중도파 하산 로우하니 당선 (0) | 2013.06.16 |
---|---|
이란 대통령 선거, 개혁파 후보 단일화 (0) | 2013.06.12 |
미국 오바마 대통령 이란에 추가 제재 (0) | 2013.06.04 |
미 부통령, 핵개발 관련해 이란에 강력 경고 (0) | 2013.03.06 |
미국 상원, 대 이란 추가제재안 만장일치로 가결 (0) | 2012.12.02 |